[include(틀:폐선)] [[파일:일곡180.jpg]] 위 차량은 19년식 NEW BS090으로 대차되어 [[광주 버스 518|518번]]에서 운행 중이다. [목차] == 노선 정보 == ## 여러 유저들 간의 합의를 거쳐 만든 '템플릿:버스노선'에서 모든 정류장을 적지 않도록 명시되어 있습니다. (모든 정류장을 적지 않는 것은 그렇게 하면 모바일에서 리사이징이 됐을 때 경로만 수십 줄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이의가 있으시면 나무위키 버스 프로젝트에 토론을 열어주시기 바랍니다. ||<-6> [[파일:광주광역시 휘장.svg|width=20]] {{{#ffffff 광주광역시 지선버스 일곡180번(시계방향)}}} || ||<-2> 기점 || 전라남도 담양군 수북면 수북리(수북) ||<-2> 종점 || 전라남도 담양군 수북면 수북리(수북) || ||<|2> 종점행 || 첫차 || 06:20 ||<|2> 기점행 || 첫차 || - || || 막차 || 21:30(수북 출발)/22:25(대인광장 출발) || 막차 || - || ||<-2> 평일배차 || 75~80분 ||<-2> 주말배차 || 75~80분 || ||<-2> 운수사명 || [[대창운수]] ||<-2> 인가대수 || 2대 || ||<-2> 노선 ||<-4> 수북 → 수북사거리 → 나산리 → 황금리 → 탄금리 → 봉산면사무소 → 탄금리 → 연동리 → 송강정 → 노안동 → 석곡파출소 → 장등공영차고지 → 농산물공판장 → 무등도서관 → [[동강대학교]] → 대인시장 → 대인광장 → 중흥시장 → 광주역 → [[전남대학교]] → 전남대후문 → 오치한전 → 일곡현대3차 → 우치공원 → 용전사거리(남) → 용산교 → 시목 → 대전면사무소 → 한재초교 → 성산리 → 수북면사무소 → 수북사거리 → 수북 || ||<-6> [[파일:광주광역시 휘장.svg|width=20]] {{{#ffffff 광주광역시 지선버스 일곡180번(반시계방향)}}} || ||<-2> 기점 || 전라남도 담양군 수북면 수북리(수북) ||<-2> 종점 || 전라남도 담양군 수북면 수북리(수북) || ||<|2> 종점행 || 첫차 || 06:10 ||<|2> 기점행 || 첫차 || - || || 막차 || 21:40(수북 출발)/22:35(대인광장 출발) || 막차 || - || ||<-2> 평일배차 || 75~80분 ||<-2> 주말배차 || 75~80분 || ||<-2> 운수사명 || [[대창운수]] ||<-2> 인가대수 || 2대 || ||<-2> 노선 ||<-4> '''시계방향 노선과 역순으로 운행.''' || == 개요 == 대창운수에서 운행하던 시계외노선이다. [[http://map.naver.com/?busId=51151&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구 102번이 전신이다. 1990년대 중반까지 올라가면 102번(봉선동 - 광주기독병원 - 문화동종점 - 봉산면사무소 - 수북. [[광주 버스 금남55|구 2번]]과 유사하게 갔다.)과 110번(성암야영장 - 수북 - 우치공원 - 전남대 - 대인광장 - 송암공단) 노선이 있었는데 1997년에 광주시 노선들이 세자리 번호로 바뀔 때 102번과 110번을 합쳐 222번으로 바뀌었고 노선도 현재와 같이 바뀌었다. 1998년 10월 구번호 환원 시에는 102번의 번호를 따라갔다. * 2006년 개편 때 번호만 일곡180번으로 바뀌었다. * 2017년 2월 25일에 [[광주 버스 용전184|용전184번]]과 통합되어 폐선되었다. [[http://www.bukgu.gwangju.kr/board.es?mid=a10801010400&bid=0114&act=view&list_no=8492|관련 공지사항]] [[http://news1.kr/articles/?2840337|관련 기사]] 초기 계획안에서는 '용전 - 효령동 - 5.18묘지 - 석곡동 - (기존구간 동일) - 용전'으로 단축할 계획이었으나 폐선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용전184번과 흡수·통합된 구간과 별개로 장등동에서 송강정을 지나 수북으로 가는 구간은 [[담양 버스 322|담양322-2번]]에 흡수·신설되었다.[* 공식적으로 문서에 공고된 흡수·통합은 아니지만 담양군과 광주시 협의에 따라 신설된 것은 사실이다.] == 특징 == * 광주 북부를 크게 순환했던 노선이다. * 수북종점에서 약 2km 거리에 ~~광주 청소년들에게는 별로 가고 싶지 않은 곳 중 한 곳인~~ 담양 성암야영장이 있다. 사실 1990년대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성암야영장까지 들어가는 [[광주광역시 시내버스]](위에 언급한 110번)가 있었지만 노선이 통합되는 과정에서 없어졌다.[* 현재는 담양 버스 41-1번을 타면 된다.] * 대전면에 있는 한빛고에서 광주시 시내로 가는 유일한 노선이었다. [[유스퀘어]]로 가려면 인근 행정정류장까지 가서 타야 한다. * 첫차를 제외하면 수북에서 봉산 방면이 출발하고 10분 뒤에 대치 방면 차량이 출발했다. * 행정리에서 1일 6회 운행하는 333번 시외버스(유스퀘어 - 첨단지구 - [[담양공용버스터미널]])와 연계가 가능했다. * 수북 기종점 노선이지만 폐선 전까지 차량 외부 행선지에 대인광장 기종점으로 표기하고 운행하였다. === 시외 요금표 === * 주평, 웅기 ~ 시목 = 성인 : 1300원, 청소년 : 1000원 * 노안동 ~ 원유동, 한재중 ~ 한재초교 = 성인 :1400원, 청소년 : 1050원 * 송강정 ~ 봉산지서, 병풍리 ~ 행정리 = 성인 : 1550원, 청소년 : 1150원 * 탄금리 ~ 황금리, 성산리 ~ 고서리 = 성인 : 1650원, 청소년 : 1200원 * 정중리 ~ 만화동, 수북면사무소 ~ 수북(대치) = 성인 : 1800원, 청소년 : 1250원 * 대흥리 ~ 포백(봉산) = 성인 : 1900원, 청소년 : 1350원 * 수북(봉산) = 성인 : 2000원, 청소년 : 1400원 == 연계 철도역 == * 일반 철도역 : [[광주역]](ITX-새마을, 무궁화호) == 관련 문서 == * [[광주 버스 용전184]] * [[담양 버스 322]] [[분류:광주광역시의 시내버스/지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