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파일:external/blogfiles5.naver.net/20150220_100259.jpg|width=650]]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광주광역시 휘장.svg|width=20]] {{{#ffffff 광주광역시의 폐선된 지선버스 수완11번}}} || ||<-2> 기점 || 광주광역시 광산구 도산동(도산동) ||<-2> 종점 ||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창동(진흥고) || ||<|2> 종점행 || 첫차 || 06:00 ||<|2> 기점행 || 첫차 || 06:00 || || 막차 || 22:30 || 막차 || 22:30 || ||<-2> 평일배차 || 25~27분 ||<-2> 주말배차 || 25~27분 || ||<-2> 운수사명 || [[대창운수]] ||<-2> 인가대수 || 7대 || ||<-2> 노선 ||<-4> 도산동 - [[광주송정역]] - 송정대덕아파트 - 송정모아아파트 - (→ 송정파출소 →) - 송정IC - 우산리버힐아파트 - 우산시영2단지 - [[광주여자대학교]] - 산정초교 - 하남초교 - 흑석사거리 - 수완중흥S클래스2차 - 골옷교 - 수완보건지소 - 진흥고 || == 개요 == 대창운수에서 운행하던 지선버스 노선. == 역사 == * 2011년 4월 30일 개편 때 신설되었다. 당시에는 4개 회사(대창, 을로, 현대, 라정)에서 운행했으며 종점도 수완지구 열병합발전소였다. [[http://jungheung2.bukgu.gwangju.kr/board.es?mid=e20104000000&bid=0080&act=view&list_no=2910|관련 공지사항]] * 이후 현대, 라정이 철수하고 종점이 진흥고로 바뀌었다. * 2012년 7월에 을로운수까지 철수해 대창운수가 단독으로 운행하게 되었다. * 2017년 2월 25일에 [[광주 버스 선운101|선운101번]]과 통합되어 폐선되었다. [[http://www.bukgu.gwangju.kr/board.es?mid=a10801010400&bid=0114&act=view&list_no=8492|관련 공지사항]] [[http://news1.kr/articles/?2840337|관련 기사]] == 특징 == * 소리소문없이 신설된 노선이지만 송정동, 우산동 구간은 배차도 좋은 98번, 196번에 에 밀려 광주송정역에서 우산동으로 가는 수요, 수완지구로 향하는 수요는 찾을 수가 없었고 이후 개통된 33번에도 밀려 큰 수요는 없었다. 10번, 12번 같이 북구같은 한 번에 다른 구에 위치한 주요 번화가로 한 번에 이어주는 노선도 아니고 광산구 마을버스에 불과한데다 배차간격도 매우 길었기 때문에 수요가 매우 적었다. 사람이 많이 타는 시간대에도 빈 자리를 매우 흔하게 찾을 수 있었다. == 연계 철도역 == * [[광주 도시철도 1호선]] : [[도산역]], [[광주송정역]] * 일반 철도역 : [[광주송정역]](KTX, SRT, ITX-새마을, 무궁화호) == 관련 문서 == * [[광주 버스 선운101]] [[분류:광주광역시의 시내버스/지선]][[분류:2011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2017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