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광주광역시의 지선버스)] [[파일:대진운수1828.jpg]]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광주광역시 지선버스 상무63번'''}}} || ||<-2> 기점 || 광주광역시 서구 치평동(상무조각공원) ||<-2> 종점 || 광주광역시 북구 매곡동(대한적십자사) || ||<|2> 종점[br]행 || 첫차 || 06:00 ||<|2> 기점[br]행 || 첫차 || 06:10 || || 막차 || 22:00 || 막차 || 22:00 || ||<-2> 배차간격 ||<-4> 40~50분(1일 21회) || ||<-2> 운수사명 || [[대진운수]] ||<-2> 인가대수 || 3대 || ||<-2> 노선 ||<-4> 상무조각공원 - 5.18자유공원 - 계수초교 - (→ 상무대우아파트 → / ← [[한국은행]] ←) - [[광주광역시청|시청]] - 상무호반3차 - 동천동행정복지센터 - [[서영대학교]] - 운암도서관 - 체육고.폴리텍대학 - 국립광주박물관 - 시립역사민속박물관 - (→ 공간아파트 → / ← 매곡삼익아파트 ←) - 대한적십자사 || == 개요 == 서구 상무지구와 북구 매곡동을 오가는 지선버스 노선이다. [[http://map.naver.com/?busId=51125&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2006년 개편 때 신설되었다. 광주의 신도심인 [[상무지구]]를 경유하는 노선인 만큼 당시에는 10분대 후반 간격으로 자주 다녔다. * 예상보다 수요가 신통찮았는지, 3대 운행으로 감축되면서, 배차 간격이 크게 늘어났다. 그래도 출퇴근 시간엔 입석 승객이 보이는 편이다. == 특징 == * 전라남도교육청이 무안으로 이전함에 따라 인근 정류장 명칭도 '시립민속박물관'으로 변경되었으나, 아직도 측면엔 '도교육청'이 번듯이 붙어있다. * 상무지구 ~ 운암동 구간이 [[광주 버스 매월16|매월16번]]보다 빠르나, 자주 다니지 않아서 수요가 저조하다. [[광주 버스 북구777|777번]]이 개편 전에는 유덕초교에서 운암동까지 이어줬으나, 다시 개편이 이루어져 [[광주 버스 매월16|16번]] 타고 도는 수밖에 없어졌다. * 전남공무원교육원이 2021년경 강진군으로 이전하여 2023년 1월 정류장 명칭이 전남공무원교육원에서 대한적십자사로 변경되었다. == 연계 철도역 == 없음. [[분류:광주광역시의 시내버스/지선]][[분류:2006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