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광주광역시의 간선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문흥39 2161호.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문흥39.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000 '''광주광역시 간선버스 문흥{{{#red 39}}}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광주 문흥39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광주광역시 북구 장등동(장등공영차고지) ||<-2> 종점 || 광주광역시 북구 오룡동(국립광주과학관) || ||<|2> 종점[br]행 || 첫차 || 05:40 ||<|2> 기점[br]행 || 첫차 || 05:40 || || 막차 || 22:25 || 막차 || 22:25 || ||<-2> 평일배차 || 15~25분 ||<-2> 주말배차 || 22~27분 || ||<-2> 운수사명 || [[대창운수]] ||<-2> 인가대수 || 14대[* 공휴일 13대.] || ||<-2> 노선 ||<-4> 장등공영차고지(장등동) - 문흥라인아파트 - 광주병원 - 말바우시장(동) - [[동강대학교]] - [[광주고등학교(광주)|광주고]]/4.19역사관 - [[금남로4가역]] - [[광주일고]]/광주고용센터 - [[양동시장역]](남) - 서구청 - [[광주신세계|신세계백화점]] - [[유스퀘어|광주종합버스터미널]] - 유덕초교 - 동천동행정복지센터 - [[극락강역|극락강역입구]] - 목련마을 - 성덕마을 - 응암공원 - 첨단1동행정복지센터 - 정부광주지방합동청사 - [[국립광주과학관]] || ||<-2> {{{#000 '''중간 출발 정류장'''}}} || || '''양 방향''' || 양동시장역 ^^05:40^^ || == 개요 == 장등동에서 [[문흥동|문흥지구]], 동문대로와 [[금남로]], 양동시장, [[광주종합버스터미널]]을 거쳐 [[수완지구]]/[[첨단지구]]를 잇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대창운수]]에서 운행한다. [[http://map.naver.com/?busId=51136&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2006년 12월 21일 대개편 때 신설된 송정39번([[도산동]] - 대인광장 - 구시청사거리 - 광주역육교 - [[전남대학교|전남대후문]] - 오정초교 - [[문흥동|문흥지구]] - 장등동)이 전신이다. [[광주 버스 송정19|송정19번]]과 함께 [[나주 버스 160|160번]]을 견제하던 노선이며, 2006년 개편 전까지 따지면 전남대 후문을 지나 살레시오고까지 운행하던 구 6번도 전신이라 할 수 있겠다. 이때도 6분 정도 간격으로 160번을 견제했다. 본래 이 노선은 [[현대교통(광주)|현대교통]]에서 운행했다. * [[현대교통(광주)|현대교통]]의 재정난으로 이 노선은 [[광주 버스 문흥18|문흥18번]]과 함께 [[대창운수]]로 넘어왔다.(시기 미상) * 2007년 2월 8일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의 미개통 구간만 운행하던 상무02번[* 당시에는 [[광주 도시철도 1호선]] 2단계 구간([[김대중컨벤션센터역]] ~ [[평동역]] 구간)이 개통하기 이전에 임시로 운행했던 노선인데, 2007년 2월 8일에 폐선되었다가 2015년 6월 3일에 [[광주 버스 좌석02|좌석02번]]으로 02번이라는 번호만 부활하였다.] 및 [[광주 버스 진곡196|송정196번]][* 당시에는 '[[도산동]] - [[나주버스터미널|나주터미널]]' 구간만 운행했고, [[광주송정역]]으로는 가지 않았다.]과 통합하여 '[[나주버스터미널|나주터미널]] - 장등동'으로 변경했다. 하지만, [[광신고속]]의 반발로 인해 2007년 2월 21일 다시 환원되었다. * 2008년 4월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이 전 구간 개통했고 [[수완지구]] 입주가 시작되면서 동년 9월에 노선을 변경했고 수완지구로 들어가게 되었다. 노선 번호도 지금의 '''문흥39번'''[* 여담이지만 [[문흥동]] 구간은 바뀌기 전인 송정39번 시절이 더 많았다. 송정39번 시절의 문흥동 구간은 지금의 [[광주 버스 문흥80|문흥80번]]과 [[나주 버스 160|160번]]과 같다.]으로 변경됐다. [[광주 버스 첨단92|첨단92번]]과 함께 처음으로 수완지구에 들어가게 된 노선.[* 현재 첨단92번은 흑석사거리까지만 운행하기에 지금은 수완지구로 들어가지 않는다.] 노선 변경 당시에는 수완지구 도로망이 완벽히 구축되지 않았던 관계로 목련마을8단지까지만 운행했다가 수완지구 내부 도로들이 개통되면서 수완동공원까지 정식 연장되었다. * 이후 [[임방울대로]] 전 구간 개통과 맞물려 [[수완지구]] - [[첨단지구]] 통학 수요를 위해 대창운수 본사[* 국립광주과학관 바로 앞에 있다.]까지 연장되어 현재에 이른다. 그리고 이 노선의 배차간격을 줄이기 위해 '첨단2동행정복지센터 ~ 정부광주지방합동청사입구' 구간을 [[광주 버스 금호46|금호46번]]이 운행하고 있었던 '첨단1동행정복지센터 ~ 광주교통방송' 구간과 교환하였다. * [[2021년]] [[6월 21일]]부터 계림4구역 재개발 공사로 인해 장등동 행만 계림사거리 대신 서방사거리육교 정류소에 정차한다.[* 국립광주과학관 행은 기존과 동일하게 계림사거리 정류소에 정차한다.] == 특징 == * 아무래도 [[금남로]]와 대중교통이 많이 안 다니는 서구청 앞 도로(경열로)를 다니다 보니 [[광주고등학교(광주)|광주고]] 학생, 금남로나 양동시장 가는 사람 등 다양한 승객들이 탄다. * [[문흥동|문흥지구]]에서 [[금남로]]로 제일 빨리 가는 노선이다.[[광주 버스 문흥80|문흥80번]]은 [[필문대로]]를 경유해 [[조선대학교|조선대]]에서 [[금남로]] 방향으로 우회전 해서 시간이 더 걸린다. 게다가 필문대로는 출, 퇴근 시간때는 상습정체 구간이고 신호등도 많아서 소요시간이 더 걸린다. * 2008년에 노선이 바뀔 때 문흥지구 구간[* 대신 일부구간이 변경되었다.]과 서구청 구간만은 유지되었는데, 아무리 [[나주 버스 160|160번]]에게 밀린다지만 고정수요가 꽤 있어 이 두 구간은 그대로 유지된 것으로 추측된다. * 정말 여담이지만 예술의거리입구 정류장을 양방향 경유하는 유일한 간선 노선이다.[* 예술의거리입구 버스 정류장을 양방향 경유하는 또 다른 노선 중 급행간선은 [[광주 버스 매월06|매월06번]], 지선 노선은 수 없이 많다.] 다른 간선 노선들은 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방향으로 좌회전하는데 반해 이 노선은 [[금남로5가역]] 방향으로 우회전한다. 그러므로 이 구간의 고정수요도 있는 편. * 금남로 일대에 행사가 있어 통제되더라도 우회없이 그대로 다녔으나, 2017 충장축제에서 수창초교 정문까지 통제됨에 따라 일부 시간대에 우회했다. 양동시장역 ~ 수창초교후문 ~동부소방서 ~ '''__전남여고__'''[* 우회 안내문에 정말로 쓰여있다. 그런데 정작 통제 기간 같은 구간을 운행하는 518의 경우 광주고로 간다고 적어뒀다.] ~ 광주고로 우회했다. * 송정39번 시절에는 광주광역시 간선버스 중에서 [[전라남도]]([[나주시]]) 땅을 밟은, 즉, [[광주광역시]] 시외로 나가는 거의 유일한 노선이었다.[* [[2017년 광주 시내버스 개편]] 때 [[광주 버스 송정19|송정19번]]도 [[나주버스터미널|나주터미널]]까지 연장될 뻔 했지만 취소되었고 [[도산동]]까지만 운행하게 되었다. 만약 송정19번의 연장이 이루어졌다면 송정39번과 완전 판박이인 노선이 되었을지도...] 현재 대형버스 투입 노선들 중, 광주광역시 시외로 나가는 유일한 시내버스 노선은 [[광주 버스 좌석02|좌석02번]]이다. * 2013년에 [[광주 버스 매월26|매월26번]], [[광주 버스 일곡38|일곡38번]]과 함께 버스에 두다다쿵 래핑을 한 적이 있었다. * 야간에 배차간격 벌어짐이 매우 심한 노선이다. 특히 장등동행이 심한 편인데, 어느 정도냐면 최소 30분에서 최대 '''50분'''까지 벌어지기도 한다. 그 때문에 앞 차와는 배차간격 10분 내로 붙어서 가는 희귀한 경우를 볼 수 있다. 평시에 해당 노선은 양동시장에서 한 대 놓치면 과학관 방향 다음 버스는 이제 막 문흥고가를 통과한 참이고, 장등동 방향 다음 버스는 이제 막 광신대교를 통과한 시점이다. === [[2017년 광주 시내버스 개편]] 이후 === * [[수완지구]]에서 [[유스퀘어|광주종합버스터미널]] 가는 수요가 많음에도 이 노선은 동천마을로 돌아간다. 이에 반해 [[무진대로]]를 경유해서 더 빨리 가는 [[광주 버스 수완03|수완03번]]이 생기면서 광주종합버스터미널로 가는 수요 대부분을 빼앗겼다.[* 수완03번은 NH, RH 안 가리고 흔하게 입석을 세우는 데 반해, 이 노선은 자리를 매우 쉽게 찾을 수 있다. 그래도 수완03번이 못 가는 수완지구 구석구석을 훑어 주고 인지도가 있어서 인지 최근에는 수요가 다시 늘어났다.] [[대창운수]]에서도 수완03번이 문흥39번의 수요 대부분을 뺏을 걸 예상한 건지 [[광주 버스 수완03|03번]] 신설 때 이 노선의 가장 최신 차였던 15년식 [[NSAC]]을 [[광주 버스 수완03|수완03번]]으로 이동시켰다. 이후 첨단09번으로 이동되었다.[* 하지만 이 논리가 맞지 않다 생각될 수 있는게, 멀쩡하게 운행중이었고 수완03번과 큰 관련이 없던 문흥18번의 2015년식 뉴 슈퍼에어로시티 세 대도 전부 이동되었기 때문이다.] * 이 노선은 광주광역시 남구를 제외한 동,서,북,광산구 4개의 구를 모두 경유하는 근성노선이다. 기ㆍ종점은 분리 노선인 자사의 [[광주 버스 첨단23|첨단23번]]과 동일하지만 이 노선은 말바우시장, 금남로4가역, 양동시장, 서구청, 광주종합버스터미널, 동천마을, 수완지구로 정말 엄청나게 '''[[굴곡 노선/버스|뱅뱅뱅 돌아간다.]]''' 빨리 가려면 [[광주 버스 첨단23|첨단23번]]을 타는 게 정신건강에 이롭다. 이거 타면 1시간 30분을 날린다. 광주 시내 여행하고 싶으면 이 노선을 추천.[* 광주광역시가 고시한 정보에 따르면 문흥39번의 편도 주행시간은 110분(1시간 50분)이다. [[광주 버스 첨단23|첨단23번]]은 70여분 정도면 충분하다.] 또한 문흥지구/각화·우산·두암동에서 터미널을 가려고 할 때도 이거 말고 동문대로 연선 주민은 [[광주 버스 송암47|송암47번]]이나 [[담양 버스 311|담양311번]]을, 문흥지구 주민이라면 [[광주 버스 문흥53|문흥53번]]을 이용하자. 이 노선은 금남로4가, 양동시장, 서구청으로 '''[[굴곡 노선/버스|뱅뱅 돌아간다.]]''' 이거 타면 40분을 날린다. 문흥지구 ~ 구도심 ~ 서구청 구간에서도 우세를 점하지 못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광주 버스 송정19|송정19번]]의 평일 배차간격이 약간 더 좋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구간에는 [[나주 버스 160|160번]]이 있기에 문흥39번의 미래는 암울하기만 하다. 첨단에서 터미널로 가는 수요도 애초에 자사노선 [[광주 버스 첨단09|첨단09번]]의 인지도가 훨씬 크고 이 노선은 수완지구로 돌아가기 때문에 09번의 보조 노선으로 지내고 있다. 첨단지구 - 수완지구 통학수요도 친구 노선인 [[광주 버스 금호46|금호46번]]과 또 다른 자사 노선인 [[광주 버스 일곡10|일곡10번]]이 있기 때문에 이 세 노선 중 먼저 도착하는 걸 타는 식의 수요분담으로 지내고 있다.. 본래 지선이던 일곡10번이 간선으로 전환되어 셋 다 간선이라 차급의 차이는 없다. * 무등도서관 - 동천마을 구간은 약 50분이 소요되지만, 이 노선은 굴곡 노선들의 특징인 물갈이 수요가 주를 이루고 있으나 회전율이 높은 만큼 꽤 많이 타므로 빈 자리를 찾기 힘들다. * [[2017년 광주 시내버스 개편]]으로 경쟁노선이 상당히 많아졌는데 이 노선은 경쟁노선에 반해 배차가 비슷하거나 더 길고, 돌아가는 구간이 많아서 고된 경쟁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광주 버스 금호46|금호46번]]이 "정부광주지방합동청사입구 - 첨단롯데마트 - 보훈병원후문 - 첨단2동행정복지센터" 구간에서 굴곡을 그리는 동안 문흥39번은 "광주교통방송 - 첨단1동행정복지센터"를 통해 한큐에 수완지구로 가니 "국립광주과학관 ~ 수완우미린 2차" 구간은 이 노선이 유리하다. 게다가 도천저수지 정류장과 수완우미린 2차 정류장 차이가 꽤 먼데 신호등이 없고 정체도 없어서 시원하게 달릴 수 있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width=17]] [[광주 도시철도 1호선]]: [[금남로4가역]], [[금남로5가역]], [[양동시장역]], [[돌고개역]], [[농성역]] * 일반 철도역: [[극락강역]](무궁화호, 누리로) [[분류:광주광역시의 시내버스/간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