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광주광역시의 간선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광주 금호36번 아트버스.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000 '''광주광역시 간선버스 금호{{{#red 36}}}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광주 금호36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광주광역시 북구 장등동(장등공영차고지) ||<-2> 종점 || 광주광역시 서구 매월동(서광주역) || ||<|2> 종점[br]행 || 첫차 || 05:40 ||<|2> 기점[br]행 || 첫차 || 05:40 || || 막차 || 22:20 || 막차 || 22:20 || ||<-2> 평일배차 || 11~16분 ||<-2> 주말배차 || 16~22분 || ||<-2> 운수사명 || [[대창운수]], [[대원시내버스]] ||<-2> 인가대수 || 18대[* 공휴일 15대.][* [[대창운수]] 7대, [[대원시내버스]] 11대.] || ||<-2> 노선 ||<-4> [[장등공영차고지]] - 농산물공판장 - 각화무등파크 - 두암라인동산아파트 - 두암주공아파트 - 율곡초교 - 산수2동행정복지센터 - 지산2동행정복지센터 - [[살레시오여고]] - ~~(→ [[조선대학교]] →) -~~ 서남동행정복지센터 - [[국립아시아문화전당|국립아시아문화전당(구.도청)]] - [[광주일고]].광주고용센터 - 광주은행북부지점 - 서구청 - [[광주신세계|신세계백화점]] - [[유스퀘어|광주종합버스터미널]] - 한국병원 - 서광주우체국 - (→ 치평중 → / ← 상무중 ←) - 금호한국아파트 - 만호마을 - [[서광주역]] || == 개요 == 대원시내버스와 대창운수가 공동 배차로 운행 중인 간선버스 노선. [[http://map.naver.com/?busId=51195&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구 20번 시내버스가 전신이다. 과거에는 27대 가량이 5~6분 간격으로 운행할 정도로 수요가 많았다. 이 노선의 좌석버스 버전으로 888번도 운행했었다.[* 1999년 무렵 폐선] * 개통 초기에는 광천동 종점(전 [[대원시내버스]] 차고지)을 출발하여 국립광주박물관과 양산동까지 경유하였던 노선이었고, 지금의 노선 형태가 갖춰지기 시작한 것은 1992년도 당시 전남도청(현 [[국립아시아문화전당]])과 지산동 소재 법원으로 노선이 연장될 때였다. 이후 [[두암동|두암지구]]가 개발되면서 [[문화동]]으로, 그리고 이후 장등동까지 연장되었다. 그리고 금호지구 개발과 [[서광주역]] 개통으로 인해 현재 노선과 비슷하게 변경되었다.[* 지금과의 차이는 만호 마을과 광주종합버스터미널([[유스퀘어]]) 미경유] * 그러나, 1호선과 중복된다는 이유로 구 20번이 2006년 개편 때 폐선되었다. 이로 인해 기존 승객들이 크게 반발했는데, 특히 두암지구에서 금남로, 양동시장으로 가는 노선이 없어졌다는 이유로 민원이 폭발하였고 결국 얼마 못 가서 몇 달 만에 구 20번과 비슷한 경로로 금호36번이 신설되었다. == 특징 == * 간선버스 노선이지만, 2007년 신설 초기에는 지선버스 도색과 지선버스 스티커를 한 차량으로 운행했다. 이후 2009년 하반기 쯤에 신차로 간선 도색을 한 차량을 투입하게 되면서 완전히 간선이 되었다. * 지호로와 밤실로가 만나는 교차로를 회전교차로로 확장하면서 도로가 넓어져, 6년 만에 다시 저상버스가 운행하게 되었다. * 2006년 개편 전에는 30대 가까이 운행했지만, 지금은 18대로 운행 중이라 당시에 비하면 배차간격이 긴 편이다. 그래도 현재 다른 간선 노선들에 비하면 짧은 편이다. * 빛고을 아트버스를 1대 운영 중이다. * [[금남로]] 일대에 행사가 있을 경우 보통 금남로4가 ~ 예술의거리 ~ [[전남여고]] ~ 동구청 ~ 서남동주민센터로 우회한다. 단, 2017 충장축제 기간 중 일부 시간대에 수창초교 정문까지 통제되면서, 광주은행북부지점 ~ 수창초교후문 ~ 동부소방서 ~ [[전남여고]] ~ 서남동주민센터로 추가 우회했다. * 기종점이 [[광주 버스 진월17|진월17번]]과 같은 노선이다. 풍금사거리에서 진월17번은 우회전하여 '남광주역 ~ 서구문화센터' 방향으로 가고 이 노선은 좌회전하여 '[[문화전당역]] ~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관]]' 방향이라는 것이 차이점. 물론 겹치는 구간도 있다. 기종점 부근에서 약간 겹치며 문화초교부터 동산아파트까지는 완전히 겹친다. * 2022년 1월 21일부터 [[광주 도시철도 2호선]] 공사로 인해 서광주역 행으로 운행 시에만 정차했던 조선대(1047) 정류소를 정차하지 않는다. == 사건사고 == * 2022년 5월 11일 오후 5시 경 해당 노선 버스가 초등학생을 들이받아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https://youtu.be/BBN3vBxDi7c|#]] == 연계 철도역 == *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width=17]] [[광주 도시철도 1호선]]: [[문화전당역]], [[금남로4가역]], [[금남로5가역]], [[양동시장역]], [[돌고개역]], [[농성역]], [[쌍촌역]] * 일반 철도역: [[서광주역]](무궁화호) [[분류:광주광역시의 시내버스/간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