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모선핵|이게]] [[연결체]] 주변에 둥둥 떠 있으면, '''탈출 수단 없이는 절대 달려들지 마라.''' [[R.I.P.|마브와 제스의 명복을 빈다.]] > - [[야전교범(스타크래프트 2)|야전교범]] == 개요 ==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에 등장한 등장 기술. == 설명 == [[스타크래프트 2]] 및 히오스에 등장힌 프로토스 기술. [[스타크래프트 2: 군단의 심장]]에서 처음 등장했다. 쉽게 말해서 공격 기능이 없는 '''건물이 일시적으로 공격'''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다.[* 참고로 말이 그렇다는 거지 실제로 공격 능력이 생기는 것은 아니며 과충전과 유닛 및 구조물의 공격 능력은 별개이다. 실제로 협동전 임무 알라라크의 구조물 과중천은 어떤 구조물에도 걸 수 있는데, [[광자포]] 나 [[케이다린 초석]] 등 방어 구조물에 사용하면 과충전으로 인한 공격도 하면서 원래 공격 능력도 사용한다. 또한 [[승천의 사슬]]에는 '슬레인 원시생물'이라는 유닛이 아군 유닛을 속박시킬 수 있는데, [[전쟁 분광기]]가 속박되더라도 구조물 과충전은 멀쩡히 작동한다.] 광자과 러쉬 등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광자과 + 충전이 아니라 '''광자 + 과충전'''이다. 그러므로 줄임말로는 광자과 가 아니라 과충전 이라고 부르는 것이 옳다. == 작품별 등장 == === [[스타크래프트 2]] === ==== 멀티 플레이어 (광자 과충전) ==== ===== 군단의 심장 2.0.5 ~ 2.5.5 ===== ||[[파일:연결체 광자과충전.jpg|width=450]]|| [[파일:Purify.png]] '''Photon Overcharge''' 군단의 심장에서 처음 광자 과충전(Photon Overcharge)이라는 이름으로 첫등장. 멀티에서 [[모선핵]]이 사용하는 기술로 [[연결체]]를 공격할 수 있게 해주었다. [[모선(스타크래프트 2)|모선]]이 되면 사용할 수 없다. 단축키는 F. 지속 시간 60초에 소모 에너지 100. 블리즈컨에서 시연된 공허의 유산에서는 광자 과충전의 대공능력이 삭제됐다. 이것이 정식에서 이어지면 뮤탈이나 의료선, 예언자 방어 난이도가 크게 증가하게 된다. 단 블리자드에선 멀티 관련도 변경할 예정이었는데, '''프로토스가 멀티 많이 먹어야 할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다시 롤백했다고 한다.''' 그만큼 방어하기가 힘든 프로토스 입장에서는 매우 중요한 스킬 중 하나다. [[테프전]]에서는 테란의 초반이 강하기 때문에 적의 견제나 찌르기를 막을 때 의미가 있는 능력이며, 테란의 후반이 버프된다면 프로토스에겐 없어선 안 될 마법이 될 것이다. ===== 공허의 유산 ~ 4.0 이전까지 ===== 공허의 유산 2015년 9월 4일 패치에서 충격과 공포의 변경이 있었는데 연결체가 아닌 '''수정탑'''에 걸게 변경. 과충전 공격력이 30으로 변경되고 소모마나가 25로 감소되며 지속시간은 21초[* 게임내 시간]로 변경되었다.현 베타게임은 프로토스의 수정탑 러시라는 전무후무한 상황이 연출중. 제작진 의도는 아마 수정탑으로 옮김으로써 멀티 수비를 더 원할하게 하기 위함으로 보였으나 현실은 시궁창. 비슷한 예로 전진관문 빌드가 있음에도 이를 망각하고 차원 관문의 소환 시간을 차원관문 근처에서 2초로 변경한 것과 같은 이치. 위 문제로 인해 2015년 9월 18일 패치에서 광자 과충전의 지속시간이 11초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공허의 유산에 들어와서 모선에 광자 과충전이 생기고[* 모선의 스킬셋이 패시브인 광범위 은폐장을 제외하고 모선핵과 같아졌다.] 프프전에서는 중후반에 로봇공학 시설 유닛의 상성으로 자리 매김 했다. [[테프전]]에서는 싸이클론을 위시한 테란의 초반 푸쉬를 막거나,본진에 떨어지는 땅거미 지뢰 드랍을 막을 때[* 물론 의료선이 지뢰를 내리기 전에 잽싸게 걸어야 한다.만일 미니맵 보기에 소홀했다가 '''반응이 늦으면...'''] 큰 도움을 준다. 하지만 방어용에 주로 쓰인다는 발상을 뒤집어 역으로 적 테란의 본진 입구에다 수정탑을 지어 광자과충전을 건 다음,사도 1~2기와 함께 테란본진 입구에 건설되어 있던 보급고 두 개와 병영에 달려있던 반응로를 날려 버리는 일명 '''\'[[탑블레이드(스타크래프트 2)|탑블레이드]]\''''[* 수정탑에 과충전 건 모양새가 흡사 [[팽이]]를 연상시키기 때문. 그래서 팽이를 주제로 한 애니메이션인 [[폭전슛 베이블레이드|탑블레이드]]를 따온 것.] 전략도 종종 쓰인다. 시전자의 빌드최적화가 알맞게 되어 이게 제대로 통한다면 테란의 앞마당을 완성 직전에 '''취소'''시켜버리는 큰 성과를 거둘 수도 있다. 한편, 과충전 러쉬 직후 전진해서 지은 우주관문에서 예언자를 뽑아 콤보로 공격하기도 한다.[* 이렇게만 보면 완전 사기 전략인 것 같지만, 이 전략은 보기보다 손도 많이 가고 생각보다 많은 연습과 칼 같은 최적화가 필요하다.] [[프프전]]에서는 본진 자원지대에 삼각형꼴로 수정탑을 짓고 모선핵을 대기시켜, 적의 2사도 난입이나 예언자의 공격을 막을 때 좋다. 반대로 광자 과충전이 걸린 수정탑을 상대하는 입장에서는, 병력 숫자가 압도적인 게 아니라면 함부로 과충전 걸린 수정탑과 싸우면 안 된다. 과충전의 공격은 피격유닛의 방어력을 무시하는데다, 공격력도 발당 30으로 매우 강하며 심지어 공격 속도조차 엄청나게 빠른 편이라 어중간한 병력으로 덤볐다가는 큰 피해를 받고 손해만 보는 수가 있다. 기술 삭제 전 최종 능력치 기준으로 단축키는 F. 지속 시간 11초에 소모 에너지 50. 수정탑의 공격력은 20, 사정거리는 7, 지상/공중 공격 가능, 광역 피해 없음. [[광자포]]와 컨셉이 겹치는 데다 스킬에 대한 말이 많은 것을 알았는지, 더 이상 광자 과충전에 의존하지 않기 위해 [[스타크래프트 2/대규모 밸런스 패치#s-3.3|2차 대격변 패치]](2017년 8월) 이후로 [[모선핵]]도 삭제됨과 동시에 이 능력도 사라져 존재 자체가 없어진 지금은 멀티플레이에서 볼 수 없게 되었다. ==== 멀티 플레이어 (충전소 과충전) ==== [[파일:Battery_Overcharge.png]] '''Battery Overcharge''' 광자 과충전이 삭제되고 멀티 4.12 패치 이후 새로 생긴 능력으로, [[연결체]] 근처에 있는 [[보호막 충전소]] 하나를 과충전시켜 보호막 회복률을 100% 증가시키고 14초 동안 에너지를 소모하지 않고 [[프로토스 보호막|보호막]]을 충전시키게 만든다. ==== 공허의 유산 캠페인(연결체 과충전) ==== '''Nexus Overcharge''' [[공허의 유산 캠페인|캠페인]]에서는 아둔의 창의 패시브 능력로 나온다. 군단의 심장 초창기 멀티 시절에서 따와서[* 이게 주류일 때 만들어졌기 때문.] 넥서스에 거는 형식이다. [[아둔의 창/태양 핵#s-2.4]] 문서 참고. 사거리 13에 지상과 공중을 안가리고 20데미지의 공격이 1초마다 내려꽂히는 성능은 건재했으며 테란 캠페인 당시 감지탑처럼 시야가 밝혀지지 않은 구역의 적도 탐지가 가능한 기능도 있었다. 태양석을 전혀 안 먹기 때문에 전략에 따라 선택할 가치가 있었지만 어려운 난이도의 방어상황에선 은근 계륵같은 성능인데다 같은 라인에 있는 궤도 융화소나 소환 조율 능력도 너무 유용했던 탓에 많이 선택받진 못했다. ==== 협동전 임무(구조물 과충전) ==== ||
[[파일:알라라크 구조물 과충전.png|width=450]]|| [[파일:SC2_Coop_Alarak_structureovercharge.png]] '''Structure Overcharge''' [clearfix] 2016년 8월에 출시된 협동전 임무 사령관인 알라라크가 패널 기술로 추가된 구조물 과충전은 자신 및 동맹의 모든 구조물 및 자신의 위상 모드 중인 [[전쟁 분광기]]에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시 보호막이 400이 추가된다. 어떤 구조물에도 사용이 가능하지만, 수비가 아닌 공격 능력으로 사용할 경우엔 멀티처럼 수정탑을 이용하기도 하며, 전쟁 분광기에도 과충전을 걸 수 있는 4.6.0 패치 이후에는 전쟁 분광기를 부대에 합류하는 경우가 늘었다. 기본 DPS는 62.5이지만 마스터 힘 구성 3에 투자한 점수 여부 및 제련소에서 지상 무기 및 보호막 업그레이드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멀티에선 없어진 능력이 되었지만 협동전에선 여전히 잘 남아있다. 자세한 내용은 [[알라라크/협동전 임무]] 문서 참고. ==== 협동전 임무([[광자 과부하]]) ==== [[파일:SC2_Coop_Mutators_photonoverload.png|width=80]] '''Photon Overload''' 주간 돌연변이 요소로 광자 과부하가 나온다. 이름은 좀 다르지만, 기능은 똑같다. 단, 적 구조물이 사용한다.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협동전 임무/돌연변이원/광자 과부하]] 문서 참고. ===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수정탑 과충전) === ||
[[파일:external/kr.battle.net/probius_pylonOvercharge.png|width=320]]|| [[파일:probius_pylonOvercharge.png|width=80]] '''Pylon Overcharge''' 2017년 3월에 참전한 탐사정 영웅 [[프로비우스]]의 궁극기로 수정탑 과충전이 나온다. 공허의 유산 멀티에서 수정탑에 광자과충전을 걸던 시절에 출시된 영웅이라, 수정탑에 걸도록 나왔다. 아무래도 수정탑은 다른 프로토스 구조물과 달리 어디든지 건설 할 수 있어서 전진 수정탑+과충전을 멀티는 물론 협동전에서 종종 사용하므로, 수정탑을 건설하는 프로비우스로는 나름 적절한 원작 재현으로 보인다. 여기선 건설할 수 있는 수정탑 수가 2개(특성에 따라 3개)로 제한되어 있어서, 과충전을 사용하면 소환되어 있는 모든 수정탑이 과충전 상태가 되기 때문에 원작과 달리 과충전 시킬 수정탑을 지정하지 않아도 된다. 자세한 내용은 [[프로비우스]] 문서 참고. 초기엔 원작처럼 보호막이 붙어있었는데, 기본 체력의 50%에서 30%로 감소되더니 아예 보호막이 사라졌다. 그러다 2021년 12월 패치로 지속 시간 동안 수정탑은 무적 상태가 되는 것으로 상향받았다. [[분류:프로토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