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광역급행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6724_1705.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정부상징.svg|width=20]] {{{#0ff 국토교통부 광역급행버스 M6724번}}} || ||<-6><:>{{{#!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M6724 노선도.png|width=100%]]}}}|| ||<-2> 기점 ||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연세대) ||<-2> 종점 || 서울특별시 중구 봉래동1가(서울역) || ||<|2> 종점행 || 첫차 || 05:00 ||<|2> 기점행 || 첫차 || 06:20 || || 막차 || 23:10 || 막차 || 00:30 || ||<-2> 평일배차 || 40~50분 ||<-2> 주말배차 || 40~50분 || ||<-2> 운수사명 || [[청룡교통]] ||<-2> 인가대수 || 18대[* 휴업 7대 --실제로는 5대 내외로 운행한다--] || ||<-3> {{{#0ff 경유 정류장}}} || || '''인천(송도국제도시)''' ||<|10> ↔ || '''서울(서울역)''' || || [[연세대]] || 선유고등학교 || || 송도더샵퍼스트월드(서문)(상)[br][[송도컨벤시아]](하) || 합정역 || || 송도자이하버뷰(상)[br]푸르지오하버뷰(하) || [[홍대입구역]] || || 더샵엑스포빌리지(상)[br]엑스포빌리지9단지(하) || 신촌오거리.[[현대백화점]](상)[br][[연세대학교|연세대학교앞]](하) || || 송도풍림아이원2단지(상)[br]송도풍림아이원1단지(하) || 신촌오거리.[[신촌역(도시철도)|2호선신촌역]][* 서울역 방향은 중앙차로, 송도 방면은 가변차로에 정차](상)[br]--연세로(하)--[*B '''과거 불법으로 정차'''하였으나 현재는 승하차 취급하는 모습이 거의 보이지 않는 정류장] || || 한진아파트(상)[br]성지아파트(하) || --[[이대역]]--[*B] || || --[[동막역]]--[*B] || --[[아현역]]--[*B] || || [[동춘역]] || --[[종근당]].[[충정로역]](상)--[br]--[[충정로역|충정로역2호선]](하)--[*B] || || --[[선학역]](1번출구)(상)--[br]--선학초등학교(하)--[*A 현재도 상시 승하차 취급하는 '''불법 정차 정류장'''][* 송도 방향 운행 시 고속도로에서 진출한 뒤 하차벨을 누르면 [[선학역]] 방향 우회전 후 [[선학초등학교(인천)|선학초등학교]] 앞 사거리에 정차해 승객을 하차시킨다.] || [[서울역]] || == 개요 == [[청룡교통]]에서 운행하는 광역급행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105.1km다. [[http://map.naver.com/?busId=21041&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4기 [[광역급행버스]] 중에서 가장 먼저 개통을 알린 노선이다. 2013년 8월 27일에 운행을 개시한 것으로 허가받았으나 준비 과정이 부족해서 실제로는 연세대 2학기 개강에 맞춘 9월 2일로 더 늦어졌다. 하지만 입찰은 [[송도버스]]가 받았는데 운행개시 이전인 8월 21일 [[청룡교통]]으로 양도. 이에 따라 [[선진네트웍스]] 계열의 입김이 들어가 있어서 [[http://www.sunjingroup.com/vod/korea.html|선진그룹의 홍보동영상]]에서 자사 계열이 운행하고 있는 [[광역급행버스]] 노선으로 당당히 소개되고 있다. * 2013년 11월 16일에 기점이 연세대에서 송도더샵퍼스트월드로 바뀌었으며, 중간에 연세대로 들어갔다가 나오는 형태로 바뀌었다. * 2014년 7월 6일에 남동IC 인근 구간이 변경되었다. * 기존의 인천발 신촌행 노선이 서울역까지 가는데 비해, 신촌 역세권까지만 허가가 나 있기 때문에 많은 수요를 흡수하지 못하고 양 지역을 자주 오가는 수요를 노리는 노선으로 계획되었다. 이에 [[연세대학교/신촌캠퍼스|신촌]]과 [[연세대학교/국제캠퍼스|송도]] 두 곳에 캠퍼스가 있는 [[연세대학교]] 수요를 타겟으로 하게 된다. 그래서 송도 구간 중간에 U턴 구간이 있는것. 이후 연세대학교 학생회와의 협의를 통해 송도행 셔틀버스 감편 및 통행권 발급을 조건으로 연세대의 두 캠퍼스를 잇는 노선을 계획하게 되었다. 이 노선이 신설되면서 연세대학교 측에서는 틈만 나면 셔틀버스 폐지나 운행횟수 대량 감편 등을 추진하는데 그 때마다 학생사회의 반발로 무마시키고 있다. 학생측에서는 아무리 무료 통행권 나오더라도 완전 무정차에 캠퍼스 내부까지 태워다주며[* 백양로 지하화 사업 때문에 2014년 1학기부터 당분간은 신촌캠퍼스 남문 인근 정차] 좌석 예약도 가능하고 귀찮게 통행권 받으러 다닐 필요도 없이 '''공짜'''인데다가 출퇴근시간대에는 극악의 정체를 빚는 [[경인고속도로]]대신 [[인천대교]]와 [[영종대교]]를 경유하여 한 시간만에 신촌-송도를 주파하는 셔틀버스를 선호할 수 밖에 없다. 결국 2015년 2학기부터 청룡교통과 연세대학교 간의 계약이 만료되면서 정상적으로 M버스 요금을 받게 되었다. * 2014년 9월 1일에 3대가 증차되었다. 동시에 신촌현대백화점(중앙차로)과 신촌역 정류장(중앙차로)을 양방향 경유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 2016년 12월 26일에 [[연세대학교/국제캠퍼스|연세대학교 송도캠퍼스]] 출발로 변경되며 서울역으로 연장될 예정이었으나 연기되었다. 또한 신촌 연세로가 통제될 때(주말에 정기적으로 시행하는 "차 없는 거리" 및 기타 행사)에는 하행 운행시 '신촌역CGV - 신촌오거리.현대백화점 - 홍대입구역' 순으로 운행할 예정이다. * 2017년 2월 24일 송도국제도시 연세대가 기점으로 변경되고 서울역으로 종점이 연장되었다. 이로 인해 인천구간에서는 유턴 구간이 없어지고, 선학역, 캠퍼스타운역에 정차하지 않으며 서울구간에서 연세대학교 정류장은 연대앞.세브란스병원 정류장으로 변경되었다. 이로 인해 유턴하지 않고 바로 연희교차로에서 좌회전해 홍대입구역으로 간다. [[http://blog.naver.com/vitaminnala/220943401009|관련 블로그 게시물]] * 이후 일자 미상으로 서울구간에서 연세대학교 정류장이 연세대학교앞 정류장으로 변경되었다. * 광역급행버스의 정차 정류장 간격 규제 완화에 따라, 2020년 10월 31일부터 불법 정류장이었던 한진아파트/성지아파트 정류장에 공식적으로 정차한다. * 2022년 10월 9일 22시부터 [[연세로]] 주말 차 없는 거리 운영이 종료되어 365일 전일 대중교통전용지구로 환원됨에 따라 주말에도 연세대학교앞 정류장에 정차한다. == 특징 == * 현금승차가 불가능하다. * 배차간격이 긴 편이다. 기본적으로 30~60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2023년 현재 기준 배차간격이 출근시간을 제외하면 기본 '''40분''' 정도로 확인되고 있으며, 3~6대 정도로 운행한다.]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경인고속도로]]의 교통 체증으로 RH시간에도 60분까지 벌어지는 경우가 있다. 소요시간의 경우도 연세대에서 출발해 막히지 않는다면 [[서울역]]까지 1시간 30분정도이지만, RH시간에는 2시간 이상 걸리는 경우도 허다하다. 장거리 노선이면서 정체 구간을 많이 지나서 그런지 의외로 과속과 난폭운전이 심한 차들도 몇몇 존재한다. * 상술한 이유로, 이 노선을 이용한다면, 이용하기 전에 인터넷이나 버스정보앱을 이용하여 실시간 도착정보와 버스의 위치를 확인하는것을 권장하며, 정체구간을 많이 지나기 때문에 [[서울역]] 이동 시에는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을 이용하여 [[부평역]]에서 [[수도권 전철 1호선]] 용산급행/특급을 타고 [[용산역]]에서 환승하거나, [[광역급행버스 M6405|M6405]]나 [[인천 버스 9201|9201번]]을 타고 [[선바위역]]에서 [[수도권 전철 4호선]]으로 환승하는것이 좋다. * 차량 안에는 취객을 받지 않는다는 안내문이 붙어있다. 실제로 축제가 끝나고 난 후 하교하는 학생들이 차량에 구토하는 경우가 많고, 기사들은 축제 때마다 이걸 청소해야 하니 실로 고역이 아닐 수 없으니 예민할 수 밖에 없는 부분.[* 그러나 현실은 승객 대부분이 술 취한 학생이라 차 안에 흑색 비닐봉지를 준비하고 다닌다. [[http://m.news.naver.com/memoRankingRead.nhn?oid=025&aid=0002603025&sid1=102&ntype=MEMORANKING|관련 기사]] ] * 2014년에는 M6724번 이외에 연세대학교 신촌-송도 간 셔틀버스까지 청룡교통이 입찰을 따내어 운행[* M6724번 차량과 [[천지교통]]의 [[인천 버스 1301|1301번]] 차량을 투입하였다.]을 맡게 되었으나 수익성이 별로였던지 다음 입찰에서는 다른 전세버스 회사가 셔틀버스 운행을 맡게 되었다. 더불어 국제캠 거주인원의 증가로 수요도 증가하여 초저녁 신촌행 및 심야시간 송도행 차량은 입석 자리도 부족할 정도라고 한다. 좌석은 부족한데 심야 시간이라 버스의 배차는 극악 수준이라, 오히려 전철을 타고 송도로 가는 학생들도 적지 않다. [[http://chunchu.yonsei.ac.kr/news/articleView.html?idxno=19374|관련 기사]] * 송도더샵퍼스트월드(서문)(38381)에서는 [[인천 버스 1301|1301번]]도 정차한다. 또한 2019년 12월 28일 이후로 GS자이아파트(34648)와 송도푸르지오하버뷰(38494)에서는 [[인천 버스 1300|1300번]]도 정차한다. 물론 서울 도착 시간은 이 노선이 훨씬 더 빠르다. 1300번은 연수지구와 인천터미널을 경유하고, 1301번은 논현지구를 경유하며, 두 노선 모두 부천을 경유한 뒤에 서울로 향하기 때문에 소요시간이 훨씬 오래 걸린다. * [[연수구]]에서 M6724에 대한 2022년 상반기 적자 보전금을 지원해주었다고 [[https://naver.me/Gq1pqvfH|한다]]. * 연세대(신촌, 송도 모두)에서 밤 시간대에 연대생에 대한 승차 거부 문제가 계속 제기되고 있다. 다른 정류장에서 탈 사람을 위해 더 이상 타지 말라고 제지하는 것은 늘상 있는 일이고, 이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자 다른 차량이 와서는 일반인만 태워 먼저 출발해 버렸다는 제보도 있다. * 버스 내부에 TV 모니터가 설치되어있다.[* 주로 [[인천광역시]] 지역 광고가 방송된다.] === 일평균 승차인원 === ||<-3> {{{#0ff 국토교통부 광역급행버스 M6724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9년 || 1,224명 || - || || 2020년 || 359명 || {{{#blue ▽ 865}}} || || 2021년 || 536명 || {{{#red △ 177}}} || || 2022년 || 804명 || {{{#red △ 268}}} || ||<-3> {{{-1 ※ 하차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stcis.go.kr/pivotIndi/wpsPivotIndicator.do?siteGb=P&indiClss=IC03|교통카드 빅데이터 통합정보시스템]] * '''데이터 누락이나 오류로 인해 실제 승차량보다는 낮게 집계되니 단순 참고용으로만 확인하기 바람.''' === 시간표 === [[https://m.blog.naver.com/xxxu000/222769066079?view=img_7|오전 시간 배차 시간표 (2022.05.23.)]] * 아래의 시간표는 오전 시간의 배차 시간표와 오후 시간대에 출발하는 차량을 어플로 여러번 조회하여 나온 특정 시각을 기재하였다. 기재된 시각보다 15분 정도 일찍 나올 것! (40분 ~ 60분 간격이라 보면 쉽다.) [[파일:6724-노선+.png]]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역]]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합정역]], [[홍대입구역]], [[신촌역(도시철도)|신촌역]], --[[이대역]], [[아현역]], [[충정로역]]--[*B]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서울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5호선]]: --충정로역--[*B] *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6호선]]: 합정역 * [[파일:GJ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홍대입구역, 서울역 * [[파일:AREX_icon.svg|width=17]] [[인천국제공항철도]]: 홍대입구역, 서울역 * [[파일:Incheonmetro1_icon.svg|width=17]]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캠퍼스타운역]][* 한진아파트/성지아파트 하차], --[[동막역]]--[*B], [[동춘역]], --[[선학역]][*A]--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60]] 일반 철도역: 서울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 둘러보기 == [include(틀:인천광역시 광역버스)] [include(틀:자동차전용도로 경유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분류:광역급행버스]][[분류: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분류:2013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현금 승차 제한 시내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