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광역급행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6450-uv.sv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6450-ed.sv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정부상징.svg|width=20]] {{{#0ff 국토교통부 광역급행버스 M6450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인천 M6450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e편한세상정문) ||<-2> 종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한국무역센터.삼성역) || ||<|2> 종점행 || 첫차 || 05:00 ||<|2> 기점행 || 첫차 || 06:40 || || 막차 || 23:00 || 막차 || 00:30 || ||<-2> 평일배차 || 30~70분 ||<-2> 주말배차 || 60~80분 || ||<-2> 운수사명 || [[신동아교통]] ||<-2> 인가대수 || 10대[* 예비 1대] || ||<-3> {{{#0ff 경유 정류장}}} || || '''인천(송도국제도시)''' ||<|9> ↔ || '''서울(코엑스)''' || || e편한세상 정문(상)[br]송도호반베르디움3차에듀시티(하) || [[삼성역(도시철도)|한국무역센터.삼성역]] || || 랜드마크시티 센트럴더샵(203동) || [[선릉역]] || || [[송도달빛축제공원역]] || [[신분당선]].[[강남역|강남역4번출구]](상)[br][[강남역|강남역.도시에빛]](하) || || 송도센트럴파크(상)[br][[센트럴파크역]](하) || 래미안아파트파이낸셜뉴스 || || [[인천대입구역|인천대입구역.롯데몰]] || [[양재역|양재역.서초문화예술회관]] || || 송도더샵센트럴시티.글로벌캠퍼스푸르지오(상)[br]웰카운티1단지(하) || 매헌시민의숲.양재꽃시장 || || [[테크노파크역]] ||<|2> || || [[캠퍼스타운역]] || == 개요 == [[신동아교통]]에서 운행하는 광역급행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120km다. [[http://map.naver.com/?busId=2803027&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출퇴근 맞춤형 버스였던 [[광역급행버스 M6336|M6336번]]이 폐선된 이후 [[광역급행버스 M6405|M6405번]] 등 기존 노선에 과부하가 걸리는 등 교통불편이 발생하게 되자 폐선 대책으로 신설을 추진한 노선이다. 2020년 5월 25일 개통 예정으로, 코로나19 정국으로 인한 수요 급감으로 인해 개통되더라도 5대로 운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추후 사태가 진정되고 신차를 인도받는대로 본 인가대로 10대까지 증차할 예정이다. * 2020년 5월 26일에 개통하였다. * 2020년 5월 26일부터 현금을 받지 않는다. * 광역급행버스 정류장 설치 규정이 완화됨에 따라 기점부 기준 7.5km 내 정류장 설치 가능 개수가 6개에서 8개로 늘어나면서 9월 19일부터 테크노파크역에 정차한다. * 2020년 12월 12일 송도달빛축제공원역 개통에 맞추어 송도달빛축제공원역에도 추가정차하게 되었다. * 2020년 12월 14일부터 1대가 증차 될 예정이였으나, 내부사정으로 인해 12월 17일로 연기되었다. 하지만 증차 예정일이 이틀 앞 당겨져 12월 15일에 1대가 증차되었다. * 2021년 3월 15일 2대가 더 증차되어 8대로 운영된다. * 2021년 4월 26일, 2대 증차되었다. 그러나 배차간격은 줄어들지 않았다. 2층버스는 첫 운행이기 때문에 당분간은 8대로 운행한다고 한다. * 2023년 1월 19일, 운수사가 [[인천선진교통]]에서 [[신동아교통]]으로 이관되었다. == 특징 == * 현금통이 없어서 현금승차가 불가능하다. * 코로나19로 인해 다른 광역급행버스의 개통이 지연되었던 중 유일하게 정상적으로 개통한 노선이다. * 인천시에서 출발하는 광역급행버스 노선 중 최초로 자치구 차원에서 적자 보전을 지원하는 노선이다. [[경기도 공공버스]]와 유사한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인천광역시에서 기존의 광역버스 노선을 포함한 M버스의 적자 보전 문제에 소극적인 반응을 보이자 연수구청장이 구 차원에서 운송수지 적자를 일부 보전하는 방법을 고민하였고, 지역 정치인들의 유권 해석의 도움을 받아 성사된 것이다. * [[광역급행버스 M6336|M6336번]]의 폐선 대책에 따른 노선이면서, 강남권 수요 보조 역할을 하게 되는 노선이다. 하지만 [[광역급행버스 M6405|M6405번]]의 배차간격이 훨씬 짧고 빠르기 때문에 대부분 M6450번보다는 M6405번을 선호한다. 하지만 M6405번은 [[선바위역]], [[우면산터널]]을 거쳐 [[서초구]] 지역을 먼저 경유하기 때문에 송도국제도시의 마지막 정류장인 캠퍼스타운역에서 양재까지 갈 때는 이 노선이 더 빠르다. * 배차 간격이 자그마치 한시간 이상임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배차시간을 공개하지 않는데, 그 과정이 특이했다. 초기에는 배차 시간표를 공개했는데, 배차간격이 상당히 긴데도 불구하고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대해 카페에 불평하는 댓글들이 달렸는데, 그 후 누군가가 이렇게 못지킬거면 차라리 시간표를 공개하지 말라고 했고, 기다렸다는 듯이 그 글을 핑계로 이후 첫차와 막차 시간만 고지하고 있다. 당연히 배차 시간을 알려달라는 글들이 올라오지만, 대중교통 정보 앱을 참조하라는 글로만 대응하고 있다. 하지만 대중교통 앱을 참조하고 이용하려 해도 후술된 문제점 때문에 이용이 쉽지 않은 편이다. * 전국에서도 순위권에 드는 인기노선인 [[광역급행버스 M6405|M6405번]]과 노선이 상당히 유사함에도 불구하고 이용객 수가 비교도 안되게 적다. [[광역급행버스 M6405|M6405번]]의 경우 출퇴근 시간에 거의 10분 간격으로 배차됨에도 불구하고 만차나 입석이 자주 발생하는 반면, M6450번은 승객이 가장 몰리는 출퇴근 배차 일부를 제외하면 만차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이유는 바로 아래 항목 참조. * M6405번과 겹치는 구간을 제외하면 노선의 양끝부분만 남는데, 해당 구간에서는 앱들의 대중교통 정보를 참고하기가 어렵다. 송도 쪽의 경우 차고지에서 출발 후 6405번과 겹치는 구간까지 오는데 불과 몇분이 걸리지 않아, 버스 출발을 확인하고 타러 나가는게 불가능하고, 강남 방면의 경우 출발지인 삼성역에서 강남역 사이에서 항상 위치 신호가 소실되어 도착 예상시간이 의미가 없다. * 상기한 문제들로 인해 M6405번과 겹치는 구간 이용자는 훨씬 자주 오는 M6405번을 타는게 낫고, 그 외 구간에서 타야 하는 사람들의 경우도, 언제 올지 모르는 M6450번을 기다리느니 전철타고 가서 M6405번으로 갈아 타는게 맘 편하다. * [[서울 버스 341|341번]]과 함께 테헤란로에서 강남대로 양재 방향으로 좌회전하는 노선이다. 수원 면허 노선인 [[수원 버스 3002|3002번]]이나 [[수원 버스 3007|3007번]]이 좌회전을 하긴 하지만 이 노선들은 테헤란로에서 승객을 태우지 않고 회차만 하는 반면 본 노선은 테헤란로상의 삼성역, 선릉역에서 승객을 태우고 강남대로로 좌회전을 하는 점이 다르다.[* 예전 우면산터널 변경전 경로를 떠올리면 쉽다.] * 송도국제도시 구간은 인천 도시철도 1호선과 완전히 중복되게 선정되어, 비판적인 여론이 많다.[* 급행간선버스인 [[인천 버스 급행91|급행91번]]과도 완전히 중복된다.] 다른 광역급행버스 노선인 [[광역급행버스 M6751|M6751번]]도 인천 도시철도 1호선과 완전히 중복되는 경로로 선정되어, 운영사인 신흥교통과 인천광역시 사이의 갈등이 계속되다가 2022년 8월 개통하였다. * 노선의 종점이 삼성역이다 보니 광역급행버스의 7.5km 내의 종점부 6개 정류장 설치 규정에 걸려서 M6405번과는 다르게 [[선바위역]]에 정차하지 않는다. * 배차간격이 20~40분이나 실제로는 테헤란로 등의 정체로 인해 1시간 30분 이상 벌어지기도 한다. 강남역에서 삼성역까지 정체가 심할시 2시간 가까이 걸렸던 적도 있었다. 최장거리 노선에다가 악조건까지 겹친 노선인만큼 시간 단축을 이유로 M버스 답지 않게 불친절과 난폭운전이 심하다. * 양재꽃시장 이후 삼성역 방향 정류장에서 회차를 생각하고 이 버스를 타려고 할 경우 반대 방향에 가서 버스를 타야 한다는 기사의 안내를 듣게 된다. * 삼성역(선릉역 방향) 정류장의 도착시간 안내기에 도착정보가 뜨지 않는다. 아예 노선번호 자체가 나오지 않기 때문에, 도착정보 안내기만 믿다가는 높은 확률로 낭패를 볼 수 있다. * 전기버스 충전과 실질적인 주박은 e편한세상송도 건너편의 별도 차고지에서 한다. === 시간표 === [[https://cafe.naver.com/m6450/2430|운행 시간표 (2023.09.01. 시행)]]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20]] [[서울 지하철 2호선]]: [[강남역]], [[선릉역]], [[삼성역(도시철도)|삼성역]]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20]] [[수도권 전철 3호선]]: [[양재역]] * [[파일:SBLine_icon.svg|width=20]]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선릉역 * [[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20]] [[신분당선]]: 강남역, 양재역, [[양재시민의숲역]] * [[파일:Incheonmetro1_icon.svg|width=20]]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송도달빛축제공원역]], [[센트럴파크역]], [[인천대입구역]], [[캠퍼스타운역]] == 둘러보기 == [include(틀:인천광역시 광역버스)] [include(틀:인천-강남역간 광역버스)] [include(틀:2층버스 운행노선)] [include(틀:자동차전용도로 경유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분류:광역급행버스]][[분류: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분류:2020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현금 승차 제한 시내버스 노선]][[분류:2층버스 운행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