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대중교통비 지원 정책)] ||<-2> '''{{{+2 광역 I-패스}}}''' || || '''주관''' ||[[인천광역시]] || || '''충전금액''' ||80,000원|| || '''사용기간''' ||사용개시일부터 30일|| || '''이용횟수''' ||무제한|| || '''이용범위''' ||[[광역버스(인천)|인천광역시 광역버스]] || || '''출시일''' ||[[2024년]] 8월(예정)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4년 8월 출시 예정인 1회 요금 충전으로 30일간 [[광역버스(인천)|인천 광역버스]]를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 정기권이다. == 특징 == 2024년 1월 시범 사업을 시작한 [[서울특별시]]의 [[기후동행카드]]와 유사한 교통카드로, 이 카드로 30일간 [[광역버스(인천)|인천광역시 광역버스]]를 무제한으로 탑승할 수 있다. === 유불리 계산표 === || 탑승횟수 || 회당환산요금^^80,000원 기준^^ || 기본요금차이^^3,000원 기준^^ || || 23회 || 3,478원 || 478원 || || 24회 || 3,333원 || 333원 || || 25회 || 3,200원 || 200원 || || 26회 || 3,077원 || 77원 || || 27회 || 2,963원 || -37원 || || 28회 || 2,857원 || -143원 || || 29회 || 2,759원 || -241원 || || 30회 || 2,667원 || -333원 || ==== 광역 I-패스 vs [[K-패스|인천 I-패스(K패스-인천)]] ==== || 요금 || 인천 I-패스^^일반^^ || 인천 I-패스^^청년/어르신^^ || 광역 I-패스[br]유리횟수^^일반^^ || 광역 I-패스[br]유리횟수^^청년/어르신^^ || || 3,000원 || 2,400원 || 2,100원 || 34회 || 39회 || 월 34회 이상 탑승할 경우 인천 I-패스보다 광역 I-패스가 유리하지만, 조조할인이 적용되는 6시 30분 이전에 탑승하는 경우가 있는 경우 기준이 되는 횟수가 늘어날 수 있다. == 단점 == * [[기후동행카드]]가 광역버스를 제외한 대부분의 서울 대중교통에 대한 무제한 탑승이 가능하고, [[K-패스]](인천 I-패스, The 경기패스 등)가 전국의 모든 대중교통수단에 대한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것과 달리, 광역 I-패스는 인천 광역버스를 제외한 교통수단에 대한 탑승이 불가하여 추가 요금을 지불해야 할 가능성이 높다. 이 카드로 다른 대중교통수단에 대한 환승이 불가하다는 것을 고려하였을 때, 출발지와 목적지 주변에 인천 광역버스가 정차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오히려 손해를 볼 가능성도 존재한다. * [[인천광역시]]도 이 점을 우려하여 이용률이 낮을 것으로 예측하여 인천 I-패스 사업에 대해 180여억원의 예산을 책정한 것과 달리 이 사업에는 3억원의 예산만을 책정하였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666/0000037041?sid=100|#]] == 여담 == * [[K-패스|인천 I-패스]]는 K-패스 기반으로 대중교통 사용액에 대해 일정 비율을 환급해 주는 캐시백형 정책인 반면, 광역 I-패스는 무제한 정기권형 정책이다. [[분류:2024년 출시]][[분류:인천광역시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