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교육기관)] || [[파일:광양제철고등학교 교표.png|width=20]] {{{#00679c,#fff '''광양제철고등학교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전라남도 광양시의 고등학교)] ---- [include(틀:대한민국의 전국단위 자율형 사립고등학교)] ---- [include(틀:포스코교육재단)]}}}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파일:external/13474f2367a87233007257dc02c38dffb822e1098e5ab375f661f1402e2ea935.jpg|width=100%]]}}} || || {{{#ffffff '''학교 전경. 앞 건물은 [[광양제철중학교|{{{#ffffff 광양제철중학교}}}]]다.'''}}} || ---- ||<-2> '''{{{#ffffff {{{+1 광양제철고등학교}}}[br]光陽製鐵高等學校[br]Gwangyang Jecheol High School}}}''' || ||<-2> [[파일:광양제철고등학교 교표.png|width=50%]] || ||<-2> [[파일:광양제철고등학교 갈색 교표.jpg|width=50%]] || ||<-2> '''상용 교표 및 일반 교표'''[* 제철학원 휘장이 있는 교표. 일반 교복이나 생활복에 미세하게 舊 [[포항제철]] 로고(역Z자)를 넣는 게 어려운지 상단의 교표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광양제철고등학교, 너비=100%, 높이=100%)]}}} || || {{{#00679c '''개교'''}}} || [[1986년]] [[3월 14일]] || || {{{#00679c '''유형'''}}} || [[대한민국|전국 단위]] [[자율형 사립 고등학교]] || || {{{#00679c '''성별'''}}} || [[남녀공학]] || || {{{#00679c '''형태'''}}} || [[사립]] || || {{{#00679c '''학교 법인'''}}} || [[포스코교육재단]] || || {{{#00679c '''교장'''}}} || 박철종 || || {{{#00679c '''교감'''}}} || 김현곤 || || {{{#00679c '''교훈'''}}} || '''자주·창의·실천''' || || {{{#00679c '''교화'''}}} || [[장미]] || || {{{#00679c '''교목'''}}} || [[소나무]] || || {{{#00679c '''교조'''}}} || [[두루미|학]] || || {{{#00679c '''학생 수'''}}} || 625명[br](2023.03.11.) || || {{{#00679c '''교직원 수'''}}} || 57명[br](2023.03.11.) || || {{{#00679c '''관할 교육청'''}}} || [[전라남도광양교육지원청]] || || {{{#00679c '''주소'''}}} || [[전라남도]] [[광양시]] 마로니에길 61 ([[금호동(광양)|금호동]]) || || {{{#00679c '''웹 사이트'''}}} || [[http://gwangcheol.hs.jne.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자주·창의·실천'''[* 동 재단 소속 [[포항제철고등학교]]와 교훈이 같다. 포스코 교육 재단 소속 학교들의 교훈은 전부 자주 창의 OO이기 때문에 앞 두 개는 다른 학교들과도 같다.] [[전라남도]] [[광양시]] [[금호동(광양)|금호동]]에 위치한 [[포스코교육재단]] 산하의 [[자율형 사립고등학교]]다. [[자율형 사립고등학교]]로써 전남 유일하게 인가되어 있다. 1986년 [[포스코|포항제철]]에서 금호동 주택단지를 만들며 일대 사원들의 교육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개교하였다. 포스코교육재단이 개교 당시부터 현재까지 학교 운영을 맡고 있다.[* 이는 [[포항제철고등학교]]도 동일.] == 학교 연혁 == || {{{#white '''일자'''}}} || {{{#white '''내용'''}}} || || {{{#white 1985.12.30 }}} || 광양제철고등학교 설립 인가 (3학급 학급당 40명 총120명) || || {{{#white 1985.12.30 }}} || 초대 교장 김진 선생 취임 || || {{{#white 1985.12.30 }}} || 설립 인가(3학급 학급당 40명 총120명) || || {{{#white 1986.03.03 }}} || 제1회 입학식(24명) || || {{{#white 1986.03.14 }}} || 개교식 || || {{{#white 1988.01.30 }}} || 신축교사 준공 || || {{{#white 1988.02.10 }}} || 제 1회 졸업식 (7명) || || {{{#white 1988.11.12 }}} || 제 2대 교장 조영현 선생 취임 || || {{{#white 1996.03.20 }}} || 축구부 창단 || || {{{#white 2001.10.20 }}} || 자립형 사립고 시범 학교 지정 || || {{{#white 2001.11.09 }}} || 학칙변경인가(33학급, 학급당 35명, 총 1155명) || || {{{#white 2002.03.20 }}} || 관악부 창단 || || {{{#white 2002.09.01 }}} || 제3대 교장 최병옥 선생 취임 || || {{{#white 2008.03.01 }}} || 제4대 교장 송기재 선생 취임 || || {{{#white 2009.02.12 }}} || 제22회 졸업식(356명, 총 5,861명) || || {{{#white 2009.09.01 }}} || 제5대 교장 이상진 선생 취임 || || {{{#white 2010.04.13 }}} || 자율형 사립고 지정 || || {{{#white 2011.06.28 }}} || 신입생 전국단위 모집 인가 || || {{{#white 2012.02.13 }}} || 제25회 졸업식(402명, 총 7,062명) || || {{{#white 2012.03.05 }}} || 전국 단위 신입생 모집 || || {{{#white 2012.09.01 }}} || 제6대 교장 김성정 선생 취임 || || {{{#white 2014.07.17 }}} || 학칙 변경 인가(33학급, 학급당 34명, 총 1,144명) || || {{{#white 2015.02.03 }}} || 제 28회 졸업식 (391명, 총 8,193명) || || {{{#white 2015.03.02 }}} || 제7대 교장 강신복 선생 취임 || || {{{#white 2019.02.13 }}} || 제 29회 졸업식 (392명, 총 8,585명) || || {{{#white 2020.02.12 }}} || 제 30회 졸업식 (325명, 총 8,968명) || || {{{#white 2021.02.08 }}} || 제 31회 졸업식 (284명, 총 9,334명) || || {{{#white 2018.09.01 }}} || 제8대 교장 강범식 선생 취임 || || {{{#white 2019.02.13 }}} || 제 32회 졸업식 (360명, 총 9,694명) || || {{{#white 2020.02.12 }}} || 제 33회 졸업식 (325명, 총 10,018명) || || {{{#white 2021.02.08 }}} || 제 34회 졸업식 (284명, 총 10,302명) || || {{{#white 2022.02.09 }}} || 제35회 졸업식 (260명, 총 10,562명) || || {{{#white 2022.09.01 }}} || 제9대 교장 박철종 선생 취임 || || {{{#white 2023.02.08 }}} || 제36회 졸업식 (203명, 총 10,765명) || == 교훈 및 상징 == === 교표 === [[파일:광양제철고등학교 교표.png|width=250&align=center]] 원래는 [[포항제철고등학교]]와 동일한 교표를 썼으나, 어느새부터 새로운 교표를 만들어 게재하는 중.[* 일부 시험 답안지 왼쪽에 자그맣게 표시되거나 좀 오래된 교복에서 구 포항제철의 "Z" 표식이 달려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지금 교표에도 제철표식을 달 수 있을텐데 빼놓고 ㅁ으로 두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이전 교표보다 뭔가 비어 보이는 모양새다.] === 상징 === * '''교조: 학''' - 고결, 비상 * '''교목: 소나무''' - 기상, 절개 * '''교화: 장미''' - 정열, 애국 * '''교색: 하늘색''' - 창의, 발전 === 교훈 === '''자주(自主)''' '''창의(創意)''' '''실천(實踐)''' === 교가 === > 햇살 가득 눈이부신 마로니에길 > 파란 하늘처럼 맑은 생각 활짝 펼치는 곳 > 배려하는 마음으로 하나되는 우리 > 지성의 한빛으로 빛나는 광양제철고 > 세상 어느 곳의 빛이 되듯 바람이 되듯 - 1절 > 벚꽃바람 가득한 해안길 걸으며 > 한빛 가득 고운 웃음으로 함께하는 우리 > 사랑으로 잔물지는 아름다운 교정 > 스스로 더불어 즐거운 광양제철고 > 겸손한 마음으로 배우고 깨달아 소중한 내일을 - 2절 2020년에 작곡가의 친일 문제로 교가를 교체했다. === 건학 이념 === '''교육보국의 정신아래 자주인, 도덕인, 창의인을 육성한다.''' >'''자주인''' >역사의식에 투철하여 올바른 조국애를 지닌 사람 >자신의 본분을 깨달아 주어진 사명을 다하는 사람 > >'''도덕인''' >자유와 진리를 추구하고 지혜로운 사람 >신분을 깨끗이 하고 사람다운 품격을 중히 여기는 사람 > >'''창의인''' >진취적 기상으로 새 역사 충출에 동참할 수 있는 사람 >인류 문화의 발전과 번영에 헌신할 수 있는 사람 == 학교 특징 == [[자율형 사립고등학교]]이지만, 원래 목적인 사원 교육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총 모집 인원의 50%은 임직원 전형(B전형)으로 선발하고 있다. 잘 되면 초등학교에서부터 고등학교까지 같은 얼굴을 볼 수도 있으며, 중학교 때와 같은 급식을 6년동안(!)이나 같이 먹을수도 있었지만, [[광양제철고등학교#s-6.3|후술한 내용]]처럼 [[광양제철중학교]]에 새로운 급식실이 생겼기 때문에 다른 급식을 먹는다. A전형에는 전국단위 모집, 전라남도내 모집, 사회통합전형, 축구부로 나뉘게 된다. == 위치 및 생활 환경 == 설립 목적이 포스코 광양제철소 직원 자녀 교육을 위해 개교한 학교라 주택단지가 있는 [[금호동(광양)|금호동]]에 소재하고 있다. [[광양제철초등학교]], [[광양제철중학교]]가 같이있는 학교단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광양제철중학교]]와는 일부 부지를 공유하고 있다. 이 때문에 '''교문이 존재하지 않는다.''' 주변에 버스 정류장이 없어 버스를 타고 인근 시내인 [[중마동]]에 가려면 산을 넘어 88번 버스를 타고 나가야 한다. 주변에는 중학교의 체육관이지만, 가끔씩 고등학교도 사용하는 심기관이 위치한다. === 백운쇼핑센터 === 일명 화니라고 불리는 곳. 일반적인 마트나 파리바게트, 문구점이 위치해 간단한 것을 구매하려면 여기서 쉽게 구매할수 있다. 2층에는 PC방이 위치하고 있었다.[* 22년 기준 폐쇄되어 PC방을 이용하기 위해선 중동까지 버스나 택시를 타야한다.. ] 맞은편에는 노래방도 위치하고 있으니 참고하자. 도보로 이동하면 최소 10분에서 최대 25분 정도 걸린다. 노래방은 손님이 없으면 일찍 문을 닫는다. --10시가 넘어도 서비스를 준다!-- 2층에 위치한 식당들이 많은데 석천으로 가서 알밥을 꼭 시켜먹어보길 바란다. 그리고 곰바우 된장찌개가 진짜 맛있다! 또한 최근 투섬플레이스가 들어왔다. === 몰 오브 광양 === 전에 위치하고 있던 금당쇼핑센터를 노후화로 철거하고 건축하였다. CGV 광양점이 여기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마트24, 카페 파스쿠치 등 식당가 또한 위치하고 있다. 상권이 빈약한 동광양 지역에서는 인기가 있는 편이다. === 휴먼센터 === 독서실과 학원 등이 위치하고 있는 건물이다. 원래는 조선대학교 부속 광양병원이 있던 곳인데 2001년에 포스코에서 인수했다. 치과와 조그마한 의원, 약국이 여기 위치해 있고, 최근에는 우체국이 이곳으로 이전해왔다. 최상층에 있던 독서실은 노동조합 사무실로 바뀌면서 없어졌다. === 기가타운 === 포스코 신입사원들을 위해 지어진 기숙사 및 상가의 역할을 하는 건물이다. 몰 오브 광양 옆에 위치해 있으며, 컴포즈 커피, BBQ, 꾸이닭 등의 식당들이 입점해 있다. 또한 최근에 지어진 건물이기도 하고 음료수 및 커피의 가격이 저렴한 카페가 금호동에는 기가타운 밖에 없기 때문에 제철고 학생들이 많이 찾는다. --시켜먹으면 해결-- == 학교 시설 == || [[파일:광철고배치.png|width=100%]] || || {{{#white 사진과는 달리 5반은 1~4반이 위치한 건물에 있다. 또한 8반이 6,7반옆에 붙어있다.}}} || 22년 기준 5,6,7반이 쓰던 공간은 다른 용도로 사용되며 5반은 1~4반이 있는 곳에 붙어서 존재하고 6,7,8반은 기존의 8~11반이 쓰던 공간을 사용한다. === 본관 === 학급과 각종 특별실이 모여 있는 주건물이다. 위에서 봤을 때 한쪽 끝이 뚫린 ㅁ자로 건물이 구성되어 있다. 1층은 1학년, 2층은 2학년, 3층은 3학년이 사용하고 있다. 현재 사용중인 건물은 1986년에 준공된 건물이며, 원래 [[광양제철중학교]]가 사용하던 건물이다. 일부 화장실에는 비데 (전자식-수동식 혼용)가 설치되어 있다. 각 건물은 서로 이어져 있는 구조이지만 뚫린 ㅁ자 구간에서 반대편으로 건너갈 때는 비를 맞고 걸어가거나 건물 한 바퀴를 돌아야 한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건물을 자세히 살펴보면 증축에 증축이 되어있는데, 1~5반 / 학년실, 6,7반 / 8,9반 / 10(,11)반 으로 나뉘어 건물별 모양이 미세하게 다르다. 창문 틀 모양이나 지붕 형태도 각각 다르다. === 도서관 === 학교 도서관과 자습실이 있다. 학생들이 [[야간자율학습]]이나 기타 자율학습을 하는 건물이다. 자습실은 자주실, 창의실, 실천실로 나뉘며 각 실도 1,2,3으로 구분된다. 1실은 1학년, 2실은 2학년, 3실은 3학년용이다. 연결되어 있지만 본관과 창의·실천 자습실간의 거리는 생각보다 멀다. 특히, 비가 올 경우에는 계단을 타고 우회해야 하는데 이 경우에는 훨씬 멀어진다. 건물 중앙에 있는 자주실이 위치한 건물은 2008년 즈음에 증축된 건물이다. 이 때문에 2, 3층 자주실은 구조가 이상한 느낌을 받을 수도 있다. 감독교사에 유리칸막이 있다던가, 3층 자주실은 실 이동 문이 괴상하리만큼 작다. . === 품위관 === 급식실이다. 과거에 옆 [[광양제철중학교]]와 공동으로 사용하고 있었지만, 현재는 [[광양제철중학교]]에 새로운 급식실이 생겼다. 사무실이 존재하는데, 급식 신청시 제외한 날에 급식을 먹을 수 있는 식권과 ~~본관에 있는 복사기를 사용할 수 있는 복사카드를 판매한다.~~현재는 복사카드를 행정실에서 판매하고 있다. 현재는 중학교에 급식소가 생겨 고등학생만 사용하고 있다. ~~대신 매점은 같이 쓴다~~ ## 급식 맛이 어떻다, 가격이 어떻다 등 급식 관련 내용은 작성 금지입니다. === 청암학사(기숙사) === 전국 단위 전형 합격자를 위한 기숙사다. 입구에서 좌측은 여기숙사, 우측은 남기숙사로 분리된다. 1층에는 전산실(컴퓨터실), 사감실(보건실), 학습실이 있으며, 1~4층이 생활관이다. 2~4층의 1~7, 11~17호는 여성, 8~10, 18~20호는 남성용이다. 한 방은 4명의 구성으로 배정되며, 대부분의 방은 1~3학년이 혼합되어 배정된다. 내부에는 2층으로 구성된 침대가 1층에는 책상, 2층에는 침대로 나뉘어져 있으며 출입문 쪽으로 화장실과 샤워실, 신발장이 있다. 각 층별로 공용 화장실과 세탁기, 식수대가 있으며, 1층에는 복사기, 프린터기, 전자레인지, 냉장고, 전화가 있다. ## 기숙사의 경우에는 건물명, 건물 위치, 층별 시설, 숙소 내부의 공통된 정보, 공용 시설만 작성 가능합니다. == 학교 생활 == === 주요 행사 === ==== 한빛제 ==== 주로 12월 크리스마스 즈음에 열리는 광양제철고등학교의 유일무이한 대규모 축제이다. 교내 독립 학생기구 한빛기획단에서 단장과 각 팀장을 중심으로 축제준비위원회가 조직되어 전시디자인팀, 공연연출팀, 부스디자인팀이 1년동안 축제를 준비한다. 그 스케일과 퀄리티가 어마어마하다. 매년 새로운 슬로건을 토대로 공연 및 전시,체험의 컨셉이 달라진다. 전시디자인 팀에서 매년 색다른 마스코트를 제작하여 오프닝 밑 각종 디자인에 사용된다. - 25회 한빛제 "이리오너라" 숫자 2와 5를 강조하며 전통속의 우리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미래를 현명하게 준비하자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 24회 한빛제 "To you, for us" 숫자 2(two)와 4(four)를 강조하며 환경 및 함께살아가는 세상에 대한 메시지를 담았다. 한빛기획단 산하의 한빛예술단에 소속된 이카루스, SeeD, 난타, PLAYER-Z, 이랑은 토요일 자습시간에 활동시간을 가지며 한빛제를 준비한다. 이외에도 오디션을 통해 선발된 1학년 학급공연이 있으며, 개인공연 또한 지원할 수 있다. 작년 공연에 대한 영상은 한빛영상팀 유튜브 채널에 게시되어있다. 한빛기획단 공식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hanbit_agency/]] ==== 하랑제 ==== 한 달에 한 번, 자체 프로그램을 통해 학교생활에 활력을 불어 넣고 학생들 간의 소통의 장을 열기 위해 기존의 교사 중심의 행사의 틀을 깨고 준비부터 진행까지 학생회 및 학생들이 주도하는 행사이다. 1부 및 2부로 이루어져있으며 수요일 6-7교시(동아리 시간)에 이루어지고, 평소 수업처럼 50분 활동-10분 휴식-50분 활동의 형태로 진행된다. 1부와 2부 동안 학생대의원회 브리핑, 공연, 월별 소식 전달, 안내사항, 캠페인, 퀴즈, 생일 이벤트 등의 활동을 한다. ==== 대회 ==== 자율형 사립고등학교 답게 다양한 대회를 개최한다. 항목이 개설되지 않은 각종 교내 경시대회만 1년에 50개가 넘어갔지만, 2023 기준 교내 경시대회는 2021학년도 입학생[* 2005년생]부터 대입에 미반영되어 사라진듯하다. ##대회의 경우에는 대규모의 경우에만 서술하도록 한다. * '''POSTED''' POSTED는 2015년부터 시작한 대회이다. 포스코의 POS와 학술강의 [[TED]]의 합성어로 다양한 주제를 학생들이 직접 선정해 발표를 진행한다. 모든 지원자가 발표를 할 수 있는 건 아니고 1차 서류면접, 2차 면접(5분 간략 발표, 2분 질답)을 통해 최종 발표자가 정해진다. 2017년 진행된 제 3회 POSTED는 갑자기 지원자가 4배 가량 늘어나는 바람에 서류면접부터 1:4정도의 경쟁률을 보였다. 그리고 8/19에 최종 발표가 있었다. [[https://www.facebook.com/GC.POSTED/?fref=ts|광양제철고 포스테드 페이스북]] * '''G-POSREVO''' POSREVO는 2019년부터 개최될 과학/공학 분야의 아이디어 경진 대회이다. 창체동아리 남녀공학에서 주관한다. [[https://www.facebook.com/G-Posrevo-409941973156988/|광양제철고 포스레보 페이스북]] * '''세계시민포럼''' 정치,인문,사회 분야의 주제에 대해 토론하는 대회이다. 2023년에 알 수 없는 이유로 시행되지 않았다. === 일과 === ==== 하루 일과 ==== {{{#!folding [ 하루 일과표 펼치기 · 접기 ] ||<-3> {{{#white 일과시정(평일)}}} || || {{{#white 일 과}}} || {{{#white 시 간}}} || {{{#white 비 고}}} || ||<-3> {{{#!folding [ 기숙사·자취생 일정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white 아침점등}}} || {{{#white 06:00}}} || || || {{{#white 기상방송}}} || {{{#white 06:50 - 07:00}}} || {{{#white 라디오 수중계[*A [[KBS 제1라디오]] 또는 [[MBC 표준FM]]]}}} || || {{{#white 세면 및 등교준비}}} || {{{#white 06:50 - 07:20}}} || || || {{{#white 준비방송}}} || {{{#white 07:20 - 07:30}}} || {{{#white 라디오 수중계[*A] }}} || || {{{#white 아침식사}}} || 07:20 - 08:10 || 입장은 07:50 종료. 자취생은 식사 가능 ||}}}}}} || || {{{#white 등교}}} || - 08:10 || 기숙사 퇴실은 07:50 || || {{{#white 조회}}} || 08:10 - 08:30 || || || {{{#white 1교시}}} || 08:40 - 09:30 || || || {{{#white 2교시}}} || 09:40 - 10:30 || || || {{{#white 3교시}}} || 10:40 - 11:30 || || || {{{#white 4교시}}} || 11:30 - 12:30 || || || {{{#white 점심식사}}} || 12:30 - 13:30 || || || {{{#white 5교시}}} || 13:30 - 14:20 || || || {{{#white 6교시}}} || 14:30 - 15:20 || || || {{{#white 7교시}}} || 15:30 - 16:20 || || || {{{#white 청소시간}}} || 16:20 - 16:50 || || || {{{#white 8교시 (방과후)}}} || 16:50 - 17:30 || || || {{{#white 저녁식사}}} || 17:30 - 18:30 || 기숙사 출입 가능 || || {{{#white 자기주도학습 (저녁 전반)}}} || 18:30 - 20:30 || || || {{{#white 자기주도학습 (저녁 후반)}}} || 20:50 - 22:30 || || ||<-3> {{{#!folding [ 기숙사 일정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white 운동시간}}} || {{{#white 22:30 - 23:00}}} || || || {{{#white 개인시간}}} || {{{#white 23:00 - 00:30}}} || || || {{{#white 점호 및 취침}}} || {{{#white 00:30 - 01:00}}} || || || {{{#white 소등}}} || {{{#white 01:00}}} || || || {{{#white 시험기간 소등}}} || {{{#white 02:00}}} || {{{#white 정기고사 2주 전부터.[br]1주 전부터 학습실·전산실 소등 04:00.}}} ||}}}}}} || ||<-3> {{{-2 {{{#gray,#7f7f7f 회색}}}{{{#white 으로 되어 있는 일정은 기숙사생에게만 적용된다.}}}}}} || ||<-3> {{{#white 일과시정(토요일)}}} || || {{{#white 일 과}}} || {{{#white 시 간}}} || {{{#white 비 고}}} || ||<-3> {{{#!folding [ 기숙사·자취생 일정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white 아침점등}}} || {{{#white 06:30}}} || || || {{{#white 기상방송}}} || {{{#white 07:30 - 07:40}}} || {{{#white 라디오 수중계[*A]}}} || || {{{#white 외부세탁}}} || {{{#white 07:40 - 08:20}}} || {{{#white 업체: 크린토피아}}} || || {{{#white 아침식사}}} || 08:00 - 08:50 || 입장은 08:30 종료. 자취생 식사 가능 ||}}}}}} || || {{{#white 등교}}} || - 09:00 || 기숙사 퇴실은 08:50 || || {{{#white 자기주도학습 (오전 전반)}}} || 09:00 - 10:50 || || || {{{#white 자기주도학습 (오전 후반)}}} || 11:10 - 12:50 || || || {{{#white 점심식사}}} || 12:50 - 14:00 || || || {{{#white 자기주도학습 (오후 전반)}}} || 14:00 - 15:50 || || || {{{#white 자기주도학습 (오후 후반)}}} || 16:10 - 17:50 || || || {{{#white 저녁식사}}} || 17:50 - 19:00 || 외박 시 이하 일정은 적용하지 않음. || || {{{#white 자기주도학습 (저녁 전반)}}} || 19:00 - 20:50 || 희망자만 참여. 비참여자는 자유시간, 외출 가능 || || {{{#white 자기주도학습 (저녁 후반)}}} || 21:10 - 22:00 || 희망자만 참여. 비참여자는 자유시간 || ||<-3> {{{#!folding [ 기숙사 일정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white 운동시간}}} || {{{#white 22:00 - 22:30}}} || || || {{{#white 개인시간}}} || {{{#white 22:30 - 00:30}}} || || || {{{#white 점호 및 취침}}} || {{{#white 00:30 - 01:00}}} || || || {{{#white 소등}}} || {{{#white 01:00}}} || ||}}}}}} || ||<-3> {{{-2 {{{#gray,#7f7f7f 회색}}}{{{#white 으로 되어 있는 일정은 기숙사생에게만 적용된다.}}}}}} || ||<-3> {{{#white 일과시정(일요일)}}} || || {{{#white 일 과}}} || {{{#white 시 간}}} || {{{#white 비 고}}} || ||<-3> {{{#!folding [ 기숙사 일정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white 아침점등}}} || {{{#white 06:30}}} || || || {{{#white 개인시간}}} || {{{#white 06:30 - 08:00}}} || || || {{{#white 아침식사}}} || {{{#white 08:00 - 08:30}}} || || || {{{#white 개인시간}}} || {{{#white 08:30 - 12:50}}} || || || {{{#white 점심식사}}} || {{{#white 12:50 - 14:00}}} || ||}}}}}} || || {{{#white 등교}}} || - 14:00 || 기숙사 퇴실은 13:50 || || {{{#white 자기주도학습 (오후 전반)}}} || 14:00 - 15:50 || || || {{{#white 자기주도학습 (오후 후반)}}} || 16:10 - 17:50 || || || {{{#white 저녁식사}}} || 17:50 - 19:00 || 의무외박 시 3학년 복귀 || || {{{#white 자기주도학습 (저녁 전반)}}} || 19:00 - 20:50 || || || {{{#white 자기주도학습 (저녁 후반)}}} || 21:10 - 22:00 || || ||<-3> {{{#!folding [ 기숙사 일정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white 운동시간}}} || {{{#white 22:00 - 22:30}}} || {{{#white 의무외박 시 1·2학년 복귀}}} || || {{{#white 개인시간}}} || {{{#white 22:30 - 00:30}}} || || || {{{#white 점호 및 취침}}} || {{{#white 00:30 - 01:00}}} || || || {{{#white 소등}}} || {{{#white 01:00}}} || ||}}}}}} || ||<-3> {{{-2 {{{#gray,#7f7f7f 회색}}}{{{#white 으로 되어 있는 일정은 기숙사생에게만 적용된다.}}}}}} || }}} ==== 자율 학습 ==== {{{#!folding [ 자율 학습 시간표 펼치기 · 접기 ] ||<-3> {{{#white 자율 학습 시간표(평일)}}} || || {{{#white 일 과}}} || {{{#white 시 간}}} || {{{#white 비 고}}} || || {{{#white 자기주도학습 (저녁 전반)}}} || 18:30 - 20:20 || || || {{{#white 자기주도학습 (저녁 후반)}}} || 20:40 - 22:30 || 심야반·청암학사·3학년 || ||<-3> {{{#white 자율 학습 시간표(토요일)}}} || || {{{#white 일 과}}} || {{{#white 시 간}}} || {{{#white 비 고}}} || || {{{#white 자기주도학습 (오전 전반)}}} || 09:00 - 10:40 || || || {{{#white 자기주도학습 (오전 후반)}}} || 11:00 - 12:50 || || || {{{#white 점심식사}}} || 12:50 - 14:00 || || || {{{#white 자기주도학습 (오후 전반)}}} || 14:00 - 15:50 || || || {{{#white 자기주도학습 (오후 후반)}}} || 16:10 - 17:50 || || || {{{#white 저녁식사}}} || 17:50 - 19:00 || 외박 시 이하 일정은 적용하지 않음. || || {{{#white 자기주도학습 (저녁 전반)}}} || 19:00 - 20:50 ||<|2> 희망자만 참여. || || {{{#white 자기주도학습 (저녁 후반)}}} || 21:10 - 22:00 || ||<-3> {{{#white 자율 학습 시간표(일요일 및 공휴일)}}} || || {{{#white 일 과}}} || {{{#white 시 간}}} || {{{#white 비 고}}} || || {{{#white 자기주도학습 (오후 전반)}}} || 14:00 - 15:50 || || || {{{#white 자기주도학습 (오후 후반)}}} || 16:10 - 17:50 || || || {{{#white 저녁식사}}} || 17:50 - 19:00 || || || {{{#white 자기주도학습 (저녁 전반)}}} || 19:00 - 20:50 || || || {{{#white 자기주도학습 (저녁 후반)}}} || 21:10 - 22:00 || || }}} 기본적으로 자율학습은 청암학사생을 제외하면 선택이다. 다만, 대부분의 학생들은 자율학습을 신청한다. 자율학습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신청서가 다음과 같이 나뉘어져 있다. {{{#!folding [ 자율 학습 신청서 예시 펼치기 · 접기 ] || 자습시간 || 선택 ||<-6> 비고 || || 초야반 (18:30 - 20:20) || ||<-6> || ||<|2> 심야반 (20:40 - 22:30) ||<|2>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 || || || {{{-3 '''BT불가''' }}} || || 일요일 및 공휴일 || ||<-6> 청암학사생은 필수 || ||<|2> 신청하지 않음 ||<|2> ||<-6> 사유 || ||<-6> || }}} 초야반은 평일 오후 6시 50분부터 8시 30분까지 자율학습을 실시하고 귀가하는 것이고, 심야반은 평일 오후 6시 50분부터 10시 30분까지 자율학습을 실시하고 귀가하는 것이다. 어떤 반을 선택하더라도 토요일에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 50분까지 자율학습을 실시한다. 일요일 및 공휴일의 경우에는 오후 2시부터 10시까지 자율학습을 실시하고 귀가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는 선택이나 청암학사(기숙사)생의 경우에는 의무이다. 일요일 및 공휴일 중 기숙사 의무외박이 겹쳐있는 경우 해당 기간에는 자율학습을 실시하지 않는다. 심야반 신청서를 보면 요일이 나뉘어져 있는 것이 있는데, 이는 BT와 관련된 것이다. Block Time의 줄임말인 BT는 평일 주 2회 심야시간만 사용할 수 있고, 토요일 및 일요일에 2회 사용할 수 있는데, 사용한 경우에는 한 타임(쉬는시간과 그 후 쉬는 시간 사이)동안 자율학습을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심야자습만 신청하면 2개의 BT까지 쓸 수 있고, 일요일 자습을 신청하면 BT를 4개까지 쓸 수 있다. 이해를 돕기위해 예시를 들어보면 화요일과 금요일에 BT를 사용하는 경우, 화요일과 금요일에는 8시 30분까지만 자율학습을 실시하고 귀가할 수 있다는 뜻이다. 일요일에 사용할 수 있는 BT는 4회로 나뉘어진 자율학습 시간 중 2회동안 자율학습을 실시하지 않는 것이다. 자율학습은 교서관에서 실시한다. 위의 양식대로 신청을 받은 후, 무작위로 좌석을 배치하여 해당 좌석에서 자율학습을 실시하는 형태이다. 자율학습 시에는 기본적으로 모든 전자기기의 반입이 허용되지만, 학습과 관련이 없는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벌점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음식물 섭취는 물과 차를 제외하면 금지되며 음악을 들을 수도 없다. ==== 기숙사 생활 ==== 학교 등교시간이 8시 10분까지인 것에 맞추어 기숙사 퇴실시간은 7시 50분으로, 이 시간 내에 1층 사감실을 통과하지 못 한다면 벌점이 부과된다. 점심시간에는 문을 열지 않으며, 저녁시간 1시간에 한해 기숙사에 입실이 허용된다. 야간자율학습이 끝나는 22시 30분부터 23시까지는 운동시간으로, 기숙사 밖에 있는 운동기구를 이용할 수 있다. 그 이후에는 0시 30분까지 개인시간이며, 이후 1시까지 점호를 실시한다. 1시에 화장실을 포함한 모든 전등과 콘센트가 작동하지 않으며 이 시간 이후에 활동하는 경우에는 벌점이 부과된다. '신방'이라고 불리는 신축된 방들에서는 인터넷 연결도 끊긴다고 한다. 중간·기말고사 2주 전부터는 오전 2시에 소등되며, 1주전부터는 학습을 원하는 경우 4시까지 복도나 휴게실에서 공부할 수 있다. 토요일 기상시간은 7시 30분으로 되어있으나 이를 반드시 지킬 필요는 없다. 8시에 아침 식사 방송이 나오고, 자율학습이 9시에 시작하므로 8시 50분까지 퇴실해야 한다. 일요일과 공휴일에는 별도의 기상방송이 없으며 오후 1시 50분까지 퇴실하면 된다. 외박의 경우에는 토요일 자율학습 후 실시하게 되는데[* 물론 선생님께 미리 말씀드리면 금요일 자율학습 이후나 그전에도(!) 외박이 가능하다], 매주 실시할 수 있는 외박과 월 1회 실시하는 의무외박으로 나뉜다. 일반 외박의 경우에는 목요일에 미리 신청해야 하며, 토요일 자율학습 후 일요일에 BT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오후 1시 50분까지, 사용한 경우에는 6시 50분까지 귀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각종 사정으로 인해 자율학습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밤 10시까지 귀사하면 된다. 의무외박의 경우에는 신청이 별도로 필요 없으며, 일요일에 1·2학년은 밤 10시까지, 3학년은 저녁 6시 30분까지 귀사하면 된다. 기타 외박의 경우에는 담임과 기숙사 부장교사의 허가가 모두 있어야 가능하다. == 운동부 == * [[광양제철고등학교 축구부]]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dddddd '''백운아트홀(3280745)'''}}}}}} {{{#!wiki style="text-align: left" * [[광양 버스 9|9번]]은 평일 첫차만 이곳을 경유한다. * [[광양 버스 87|87]], [[광양 버스 88|88번]]은 첫차시간대 종점 직통 차량만 백운로로 운행하며, 대부분 금호로로 운행한다. }}} || ||<-2> '''금호로(남서)/몰오브광양 방면''' || || [[광양시 시내버스|{{{#ffffff 시내일반}}}]]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광양 버스 11-2|{{{#ffffff 11-2(망덕포구)}}}]]}}}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광양 버스 87|{{{#ffffff 87(제철복지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광양 버스 88|{{{#ffffff 88(궁기)}}}]]}}} || ||<-2> '''백운로(남)/협력회관 방면''' || || [[광양시 시내버스|{{{#ffffff 시내일반}}}]]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광양 버스 9|{{{#ffffff 9(궁기)}}}]]}}}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광양 버스 87|{{{#ffffff 87(제철복지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광양 버스 88|{{{#ffffff 88(궁기)}}}]]}}}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dddddd '''백운아트홀(3280773)'''}}}}}} {{{#!wiki style="text-align: left" * [[광양 버스 9|9번]]은 평일 첫차만 이곳을 경유한다. }}} || || [[광양시 시내버스|{{{#ffffff 시내일반}}}]]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광양 버스 9|{{{#ffffff 9(광양교통.보건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광양 버스 11-2|{{{#ffffff 11-2(광양교통)}}}]]}}}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광양 버스 87|{{{#ffffff 87(광영부영아파트)}}}]]}}}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광양 버스 88|{{{#ffffff 88(광영부영아파트)}}}]]}}} ||}}} 이 중 [[광양 버스 9|9번]]은 아침에만 1회 운행하니 사실상 없는 취급이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이 정류장이나 백운쇼핑 정류장에서 [[광양 버스 87|87]], [[광양 버스 88|88번]]을 이용한다. == 출신 인물 == * 김경일 : 전 U-20 대표(1999년 나이지리아 FIFA U-20 월드컵 본선 대표팀 주장) * [[김영광(축구선수)|김영광]] * [[김영욱]] * [[남윤재(2001)|남윤재]] * [[류원우]] * [[방대종]] * [[박선용]] * [[신영준]] * [[안태은]] * [[윤석영]] * [[윤주열]] * [[이규로]] * [[이슬찬]] * [[이유현(축구선수)|이유현]] * [[이종호(축구선수)|이종호]] * [[이중권]] * [[정준연]] * [[조성빈(축구선수)|조성빈]] * [[조용태]] * [[지동원]] * [[최성진(축구선수)|최성진]] * [[한찬희]] * [[허용준]] * [[황도연]] * [[황태현]] 이상 광양제철고(전남드래곤즈 U-19) 축구단 출신 * [[이민웅]] - 쇼호스트 * [[김준현(스켈레톤)|김준현]] - 前 스켈레톤 선수 * [[문션]] * [[이진희(1991)]] * [[정연우]] - 前 키아나 엔터테인먼트 모델 == 여담 == * 교복 * 정복은 동복과 하복으로 나뉘어 있다. 월요일은 정복데이라고 의무적으로 교복을 입고 등교해야 한다. (후에 정복데이는 사라졌다) 동복은 남학생의 경우 검은색 마이와 고구마색 조끼, 넥타이, 검은색 바지로 구성되어 있고 여학생은 조끼만 검은색 바탕에 흰 줄이 목라인에 나 있다. 하복은 본래 타 학교처럼 반팔 와이셔츠(하늘색, 흰색)이었으나 최근 바뀐 교복은 티셔츠의 형태로 바뀌었다. 바지 또한 반바지. 이게 은근히 편해서 정복데이가 아닌 날에도 입고 다니는 학생이 많다. * 생활복은 야구점퍼[* 단, 2019년부터는 사라짐, 남색 후리스로 대체], 바람막이, 후드티, 티셔츠, 바지로 나뉘어 있다. 야구점퍼는 대학교 과잠처럼 생겼으며 앞에는 광양제철고의 G가 이니셜로 박혀있고 등에는 광양제철고등학교의 영문표기와 교목인 소나무가 크게 자수로 되어있다. 겨울 생활복은 남색 후드티이다. 등에는 야구점퍼와 똑같이 박혀있으며 안에 기모가 있는 버전과 없는 버전으로 나뉘어 있다. 긴 생활복 바지 또한 기모 여부로 버전이 나뉘어 있다. 여름 생활복은 면티에서 얇고 통기성 좋은 스포티한 재질의 옷으로 바뀌었다. * 문화 * 동아리 체제가 개편되기 전까지는 동아리 관계의 선후배 문화를 기본으로 했다. 학기초에 신입생들이 들어오면 선배들이 먹을 걸 사주기도 하고 얻어먹기도 했다.--이 비중은 상대방의 인성에 따라 다름--. 체제 개편 후 개인적으로 아는 사이인 경우를 제외하면 선후배 문화가 대폭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실제로 많이 줄어들었다.] * 스승의 날이 되면 왠만큼 담임, 학생간의 사이가 틀어지지 않은 이상 거의 모든 반이 축하행사를 연다. 보통 조촐하게 편지를 돌려쓰고 케이크로 때우는 편. 그래서 아침만 되면 반장, 부반장은 포커페이스를 유지하며 교무실이나 학년실로 들어간다. * 생일이 되면 여학생들은 보통 아침시간, 청소시간, 쉬는시간에 친한 친구들끼리 케이크를 사들고 와 자축을 하는 편이지만 남학생들은 청소 시간에 청소 도구함에 몰려 대걸레로 생일빵을 때리는 것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으며, 자습시간 쉬는시간에 케이크를 얼굴에 던지거나 단체로 다구리 까는 것 또한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물론 장난으로 때림) 종종 후배들이 매점에서 과자를 사서 주기도 한다. == 이야깃거리 == * [[전라남도]] 내 고등학교 중 제일 먼저 문서가 작성된 고등학교다. * 학생들은 주로 '''제고'''로 자신들을 부르며 이러한 경향은 90년대 후반에 조금씩 생겼다. * 2014년에 [[포항제철고등학교]]와 함께 이름이 'XX포스코고등학교'로 바뀐다는 떡밥이 있었으나 없었던 일이 되었다.[* 당시 개교를 앞두고 있던 [[인천포스코고등학교]]의 전례도 있다 보니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알고 있었다.] * 이름에 제철(製鐵)이 들어가서 그런지 몰라도 본교를 [[마이스터고]] 내지 공고로 착각하는 문의전화가 가끔 걸려온다고(...) * 전국단위 자율형 사립고등학교여서 각지에서 학생들을 선발하지만, 전국단위 선발전형(A전형)으로 선발된 학생들은 주로 전라도[*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동부지역], 경상도 서부[* [[경상남도]] [[사천시]], [[진주시]], [[하동군]], [[산청군]], [[함양군]] 등.] 학생이 대다수로, [[전라북도]], [[서울특별시]], [[충청도]], [[제주특별자치도]] 출신은 극소수다. 그래서 [[서남 방언|전라도 사투리]]와 [[동남 방언|경상도 사투리]] 그리고 표준어가 사이좋게 공존한다.[* 전국구 모집이 시작된 뒤로부터 한 반에 적어도 2~3명은 확연한 [[동남 방언|경상도 사투리]]를 쓰고, 1~2명 정도는 확연한 [[서남 방언|전라도 사투리]]를 쓴다. 오히려 포스코 및 계열사 직원자녀(B전형으로 선발)들의 억양은 의외로 표준어에 가깝다. ] * 교서관 1층 쉼터(도란도란)에 있는 서예, 수묵화 등은 제고 한문 교사의 작품이다. 자세히 보면 수상성적이 나와있다. * 자주 오지 않는 버스와 콜택시가 이용할 수 있는 교통수단의 전부이다보니 금요일, 토요일 저녁에는 택시가 없어서(저녁을 먹거나 놀러 나가는 학생들이 많은 시간대라서 늦게 나가면 택시를 못 잡을 가능성이 크다.) 학교 밖으로 나가지 못하고 정문 앞에 모여 있는 학생들의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다. == 관련 사이트 == * 광양제철고등학교 진로진학사이트 한빛시스템 ([[리로스쿨]]) [[https://gwangcheol.riroschool.kr/]] * 광양제철고등학교 창의체험활동 한빛커뮤니티 [[https://cafe.naver.com/gwangcheolclub]] * 광양제철고 대나무숲 [[https://www.facebook.com/daesoopjigi/]] * 축제 및 학생창체활동을 기획하는 광양제철고 한빛기획단 [[https://www.facebook.com/hanbit.agency/]] * 영상을 제작하는 광양제철고 한빛영상팀 [[https://www.facebook.com/hanbit.videoteam/]] [[https://www.youtube.com/@user-th8tb5hy5u]] == 관련 문서 == * [[자율형 사립고등학교]] [[분류:광양시의 고등학교]][[분류:자율형 사립고등학교]][[분류:포스코교육재단]][[분류:1986년 개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