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폐지된 행정구역)]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전라남도 광산군 휘장(광주편입 전까지 사용).jpg|width=100%]]}}} || || {{{#fff '''광산군의 휘장[br][[광주직할시|{{{#fff 광주직할시}}}]] 편입 이후에도 [[광산구|{{{#fff 광산구}}}]] 휘장으로 한동안 사용했다.'''}}} || ||<-4> '''[[전라남도|{{{#000 전라남도}}}]]{{{#000 의}}} [[틀:대한민국의 폐지된 행정구역|{{{#000 폐지된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광산군 CI.svg|height=70]]||{{{#000 '''{{{+1 광산군}}}'''[br]光山郡[br]Kwangsan County[* 폐지 당시 표기법인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기준]}}} ||}}} || ||<-4> [include(틀:지도, 장소=광산구청, 너비=100%, 높이=100%)] || ||<-2> {{{#fff '''군청 소재지'''}}} ||<-2> [[송정읍]] 송정리 833-8 -> [[송정시]] 중앙동 833-8[* 현 광산구청.] || ||<-2> {{{#fff '''광역자치단체'''}}} ||<-2> [[전라남도]] || ||<-2> {{{#fff '''하위 행정구역'''}}} ||<-2> 1[[읍(행정구역)|읍]] 9[[면(행정구역)|면]] || ||<-2> {{{#fff '''면적'''}}} ||<-2> 252.81㎢[* 1987년][br]285.54㎢[* 1985년] || ||<-2> {{{#fff '''인구'''}}} ||<-2> 136,584명[* 1985년] || ||<-2> {{{#fff '''인구밀도'''}}} ||<-2> 478.34명/㎢[* 1985년] || ||<-2> {{{#fff '''현재 인구'''}}} ||<-2> 497,049명[* 2023년 1월, 광주광역시 [[광산구]]와 [[남구(광주광역시)|남구]] 대촌동, [[서구(광주광역시)|서구]] 서창동, 금호동, 풍암동의 인구를 합친 것.][br]398,116명[* 구 [[송정시]] 지역의 현재 인구를 제한 것.] || ||<-2> {{{#fff '''지역전화'''}}} ||<-2> 062 || ||<-2> {{{#fff '''존속기간'''}}} ||<-2> '''[[1935년]] [[10월 1일]] ~ [[1987년]] [[12월 31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1895년]] [[광주군]]이라는 명칭으로 설치되어 [[1935년]] 광산군으로 개칭한 뒤 [[1988년]] [[광주직할시]]에 [[송정시]]와 함께 편입되어 사라진 [[전라남도]]의 폐지된 [[행정구역]]. == 역사 == 광산군은 [[1935년]] [[10월 1일]] [[전라남도]] [[광주군]] 광주읍이 광주부로 승격되면서, 광주군의 잔여지역이 광주의 [[조선시대]] 별호인 '광산(光山)'을 따 광산군으로 개칭되면서 출범하였다. 당시의 광산군은 극락면·대촌면·동곡면·비아면·서방면·서창면·석곡면·송정면·임곡면·지산면·하남면·효지면 등으로 구성되었다. [[1949년]] [[8월 14일]]에는 [[나주시|나주군]]에서 평동면·삼도면·본량면을 편입하였으며, 이때 군청이 송정읍 송정리로 옮겨졌다. [[1955년]]까지는 [[충청북도]] [[청원군]][* [[2014년]] [[청주시/통합 이전|청주시]]와 통합]처럼 구 광주시를 100% 둘러싸는 [[도넛]] 형태의 행정구역이었다. 여담으로 군청 자리에 현재 [[광산구청]]이 그대로 위치해 있다. [[1955년]] 극락면[* 現 북구 동림동·운암동, 서구 동천동·상무동·유덕동·치평동·화정동]·서방면[* 現 북구 두암동·매곡동·문화동·문흥동·삼각동·신안동·오치동·용봉동·우산동·중흥동·풍향동]·석곡면[* 現 북구 석곡동]·효지면[* 現 남구 봉선동·송암동·주월동·효덕동, 동구 지원동·학운동]이, [[1958년]] 지산면[* 現 북구 건국동·양산동·일곡동]·대촌면·서창면이 광주시에 편입되었다. [[1963년]] 대촌면·서창면이 도로 광산군으로 환원된 이후, [[송정시]]가 출범하는 [[1986년]]까지 유지되었다. [[1986년]] [[11월 1일]], 광주시가 [[직할시]]로 승격됨과 동시에 광산군 송정읍도 인구 50,000명을 넘기면서 [[송정시]]로 승격되었다. 이때만 하더라도 [[송정시]]와 광산군은 [[경산시]], [[양산시]]와 비슷하게 광주직할시 외부의 위성도시 역할을 할 예정이었으며, 광주로의 편입은 장기적으로 계획되고 있었다.[* 반면에 비슷한 시기인 [[1981년]]에 시 승격한 [[경기도]] [[광명시]](당시 [[시흥군]] 광명출장소)는 원래는 잠정적인 [[행정구역 개편/수도권/서울개편론/광명시 서울 편입|서울 편입 예정지]]로서 서울시 도시계획에 따라 주거지로 개발되어 서울 편입이 검토되었으나, 사실상 서울 편입 배제 차원에서 광명시로의 시 승격이 이루어진 케이스다.] 한편 당시 송정시청사는 옛 송정읍사무소를 그대로 이용했고 지금의 광산문화예술회관 자리에 있었으며, 송정광산교육지원청[* 현재 상무지구에 있는 광주광역시 서부교육지원청의 전신이다.]은 지금 구청 앞에 있는 2층 규모의 흰색 떡갈비집 건물이었다. == 광주 편입 이후 == 하지만 송정시와 분리된 지 1년 2개월만에 [[1988년]]에 광산군·[[송정시]]가 [[광주광역시|광주직할시]]에 편입되었다. 참고로 [[송정시]]의 광주 편입은 지금까지도 '''도 산하 시가 인접한 [[특별시]]나 [[광역시]]에 병합된 유일한 사례다.'''[* 광산군 편입을 [[대전광역시|대전시]]의 [[대덕군]] 편입과 같이 보는 경우가 많은데, 이렇게 보기에는 광주와 광산의 동질감은 매우 작았다. 대덕군의 경우 [[대전직할시]] 승격과 동시에 편입되었고, 대덕군보다 먼저 대전에 편입된 [[유성구|유성]]과 [[회덕동(대덕구)|회덕]]의 경우 이미 대전 생활권에 깊숙히 편입되었던 상태였다. 반면에 광산군은 광주시가 먼저 [[직할시]]가 되고, 그 이후에 편입된 경우로 생활권이 별로 겹쳐치지 않았다. 당시 광주시는 현재의 [[무등경기장]] 지역이 시 외곽일 정도로 시세가 작았으며, 광주시와 광산군은 [[영산강]]을 경계로 동서로 나눠져 있었다. 그리고 광산군 지역은 송정리를 중심으로 뭉쳐있는 형상이라, [[충청북도]] [[청주시(통합 이전)|구 청주시]] 외곽을 빙 둘러쌌던 [[청원군]]과 비슷하게 대전시 외곽을 빙 둘러싸다시피 해서 군의 중심을 할만한 곳이 없는 대덕군과는 상황이 달랐다. 이외에도 송정시와 광주직할시 승격은 같은 날(1986.11.1)에 이루어졌는데, 이는 당시에 외부에서 보기에도 두 지역의 동질감은 그리 크지 않았다는 증거다. 물론 광산군 자체가 [[일제강점기]]인 [[1935년]] 광주군 광주읍이 광주부로 승격되면서 광주군의 잔여지역이 개칭된 것이므로 광주시와 광산군이 역사적으로 같은 동네인 것은 사실이나, 현재처럼 통학, 통근 등 각종 생활권이 하나로 묶이기 시작한 것은 광주시가 확장되기 시작한 [[1990년대]] 이후부터다.][* 광주의 송정시, 광산군 편입은 대전의 대덕군 편입보단 [[대구광역시|대구]]의 [[달성군]] 편입, [[울산광역시|울산]]의 [[울주군]] 통합과 더 유사하다. 달성군도 [[현풍(대구)|현풍]]권(구 [[현풍군]] 지역)을 제외하고 대구와 역사성을 공유하지만 대구와의 동질감은 대구와 직접적으로 접한 화원, 다사, 가창 등을 제외하면 그렇게 크지 않았고, 울주군 역시 [[언양읍]] 중심 서부권은 울산과의 동질감이 그렇게 크지 않았다.][* [[1995년]] 행정구역 대개편 때에는 [[경산시]]가 [[대구광역시|인접한 광역시]]에 병합된 두 번째 도시가 될 뻔했다. [[김포시]]와 [[시흥시]]도 이 시기에 [[인천]]으로 편입될 뻔했으나, 당시의 김포시는 김포'''군'''이었다.] 이때 광주로 편입되지 않았더라도 광산군과 송정시는 [[1995년]] 전국적인 [[도농통합]]의 일환으로 광주광역시에 편입되었을 가능성이 높았을 것이다. 다만 [[1995년]] 도농통합 때 편입됐다면 지금처럼 舊 광산군 전체가 통째로 광산구가 되는 것이 아닌 송정시를 송정구로 하고 나머지 광산군 지역은 그대로 광산군으로 편입됐을 가능성도 있다. 실제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4012300289110002&editNo=5&printCount=1&publishDate=1994-01-23&officeId=00028&pageNo=10&printNo=1795&publishType=00010|94년 1월]]과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4479583|99년 10월]] 두 차례 광산군 환원운동이 있었지만 광산군으로 환원에 대한 방식도 [[전라남도]]로의 환원이었으며 [[광주광역시]]의 무관심과 소극적인 행동으로 끝내 무산되면서 [[부산광역시|부산]], [[대구광역시|대구]], [[인천광역시|인천]], [[울산광역시|울산]], [[세종특별자치시|세종]]과 달리 행정구역상 [[도농복합시]]가 되지는 못했다. 광산군+송정시 편입과 동시에 해당 지역에 [[광산구]]를 설치하였는데, 이 때문에 현재 출범한 지 2년 만에 도로 역사 속으로 사라져버린 [[송정시]]라는 지명을 아는 사람은 극히 드물다. 농담이 아니라 몇몇 현지 사람들은 송정리가 시인 적이 있었냐고 되묻는 정도다.[* 이 때문에 송정시와 광산군의 6자리 우편번호 또한 흑역사가 되었다. [[1986년]] 체신부(현재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우편번호 개편안을 발표하면서 '''[[1988년]] [[2월 1일]]'''부로 시행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 사진이|그러나 511, 512로 시작했던 6자리 우편번호가 사용되는 일은 없었다.]] 두 지역이 '''[[1988년]] [[1월 1일]]'''에 편입돼버렸고 그걸 모른채 우편번호부까지 인쇄 완료. 결국 다음날 [[관보]]에 정정된 우편번호가 실리면서 지금처럼 506으로 시작하는 우편번호를 사용하게 되었다.][* 다만 아래에 나와있듯 송정리라는 이름은 흔히 사용되며, 과거 송정시의 잔재가 아직도 남아있다. 원동성당의 '원동'은 송정1동의 송정시 시절 명칭이다.--one동-- 신동사거리 뒷편의 호남동은 송정3동(인구감소로 송정2동에 흡수)의 옛 이름.] 광주 편입이 확정되면서 장기계획들의 우선순위가 변하였다. 이때 계획된 것들이 하남공단 확장, 광주와의 간선도로[* [[하남대로(광주)|하남대로]], [[무진대로]]] 건설 및 확장, [[광주제2순환도로|2순환로]] 건설, [[경전선]] 및 '''[[광주역]] 이설''' 계획, '''[[광주 도시철도|지하철]] 계획''' 등이 이때 이루어졌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7102900099210001&editNo=1&publishDate=1987-10-29&officeId=00009&pageNo=10&printNo=6663&publishType=00020&from=news|#]] 하남공단 확장과 [[하남대로(광주)|하남대로]]는 급하게 진행되어서인지 [[90년대]] 초에 완료. [[경전선]] 이설은 [[2000년]]에 완료. [[광주 도시철도 1호선]], [[무진대로]], [[광주제2순환도로]]의 완전개통은 각각 [[2008년]], [[2007년]], [[2009년]]이다. 그리고 [[광주역]] 이설은 아예 나가리났다. [[1997년 외환 위기]]로 인해 미뤄진 것은 이해할 수 있으나, 첨단산업단지 건설과 [[상무대]] 이전계획이 90년대 초에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SOC 계획은 이를 무시한 채 기존 계획을 그대로 들이부은 것이 화근이었다. 게다가 포화상태였던 구시가지를 위해 광주 외곽지역을 개발할때 이를 연계하지 못한 건 실수라고 할 수 있다. 광산구의 인구가 두 배 이상 증가하는 동안 광산구에 2호선을 들여놓겠다고 선언한건 [[2010년대]] 들어서였다. 이렇듯 기존의 광주 구시가지와 광산구는 지역적 동질감이 그리 크지 않았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광산구 출범 이후 광산군의 [[면(행정구역)|면]]들은 전부 [[출장소]]로 전환되었으며, [[1995년]]에 대촌출장소가 [[남구(광주광역시)|남구]], 서창출장소가 [[서구(광주광역시)|서구]]에 편입되었고, 나머지 출장소는 [[1997년]]~[[1998년]]에 전부 [[동(행정구역)|동]]으로 전환되어 지금에 이른다. 광주의 다른 지역과는 과거에 행정적으로나 심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었으며 광주 편입 전까지 읍면단위 행정구역이었기 때문에 아직도 지명 등에서 예전 행정구역명을 쓰는 것을 자주 보고 들을 수 있다. 광주 편입 이후에도 송정읍 송정리였던 송정동 일대는 송정리, 비아면 신가리, 신창리, 수완리였던 신가동/신창동/수완동 일대는 신가리로 불리기도 했으며,[* 다만 이것도 [[2010년대]]를 지나면서 송정리 정도를 빼면 사라졌다.] 첨단지구, 신창지구, 운남지구, 수완지구 등의 신도시 지역을 제외하고는 옛 면 단위, 즉 현재의 [[행정동]](동사무소) 이름으로 불리는 편이다.[* 비아, 하남, 본량, 임곡, 동곡, 삼도, 평동] 태어나면서부터 광산구민, 아니 광주광역시의 대다수 [[2010년대]]의 [[청소년]]들 사이에서도 그렇게 불리는 편이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예전의 ‘리’라는 명칭을 흔히 사용하는 곳은 ‘송정리’가 거의 유일한 편.[* 굳이 꼽자면 비아동 지역이 현재까지도 광산군 시절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어 비아리로 불리기도 한다.] "난 송정리 살아"나 "[[떡갈비]]는 송정리에...", "[[광주송정역|송정리역]]에서 [[KTX]]타고..." 등의 용례로 흔히 쓰인다. 광산구 사람이든 타지 사람이든 '송정동'이라 부르는 경우는 거의 없다. 대다수가 '''송정리''' 라고 한다. 특히 구청 근처의 전통시장에서 ‘송정리’의 향기를 느낄 수 있다. 송정리 이외의 다른 시내 지역들은 시 당국에 의해 계획적으로 개발되었기에 주로 지구 단위로 나뉘어 불린다. 쌍암동과 월계동, 산월동은 한데 묶여 [[첨단지구]]로 불리며, 장덕동은 혼자서 따로 동 이름으로 불리는 경우는 없고 수완동과 묶여 [[수완지구]]로 불리워진다. 신가동은 심지어 같은 동이어도 선창초등학교 부근은 신창지구, 선광학교 부근은 신가지구, 임방울대로 부근은 수완지구, 동 중앙부 주택단지는 신가동으로 다르게 불린다(...). === 인구 === || '''[[광산군|{{{#000 전라남도 광산군}}}]]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1985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b553c 85.827%,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128,74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b553c 87.883%,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131,82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b553c 86.804%,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130,20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b553c 85.9307%,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128,89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b553c 91.056%,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136,584명}}}}}} || || {{{-2 인구는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br][[통계청]] [[인구총조사]]}}} || ||
'''{{{#ffffff 1985년 읍면별 인구 통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b553c 100%, #888 0%, #888 100%, #AAA 0%)" {{{#fff 송정읍 60,10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b553c 29.228%, #888 0%, #888 100%, #AAA 0%)" {{{#fff 비아면 14,61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b553c 28.936%, #888 0%, #888 100%, #AAA 0%)" {{{#fff 서창면 14,46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b553c 22.144%, #888 0%, #888 100%, #AAA 0%)" {{{#fff 대촌면 11,07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b553c 17.752%, #888 0%, #888 100%, #AAA 0%)" {{{#fff 평동면 8,87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b553c 12.35%, #888 0%, #888 100%, #AAA 0%)" {{{#fff 삼도면 6,17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b553c 11.13%, #888 0%, #888 100%, #AAA 0%)" {{{#fff 본량면 5,56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b553c 10.744%, #888 0%, #888 100%, #AAA 0%)" {{{#fff 임곡면 5,37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b553c 10.642%, #888 0%, #888 100%, #AAA 0%)" {{{#fff 하남면 5,32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b553c 10.034%, #888 0%, #888 100%, #AAA 0%)" {{{#fff 동곡면 5,017명}}}}}} || || {{{-2 1985년 기준 [[통계청]] [[인구총조사]], 그래프 최대 값은 5만 명}}} || }}}}}}}}} || ||
'''{{{#ffffff 1980년 읍면별 인구 통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b553c 100%, #888 0%, #888 100%, #AAA 0%)" {{{#fff 송정읍 50,77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b553c 32.365%, #888 0%, #888 100%, #AAA 0%)" {{{#fff 서창면 12,94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b553c 30.98%, #888 0%, #888 100%, #AAA 0%)" {{{#fff 대촌면 12,39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b553c 25.485%, #888 0%, #888 100%, #AAA 0%)" {{{#fff 비아면 10,19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b553c 25.0025%, #888 0%, #888 100%, #AAA 0%)" {{{#fff 평동면 10,00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b553c 18.29%, #888 0%, #888 100%, #AAA 0%)" {{{#fff 임곡면 7,31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b553c 18.02%, #888 0%, #888 100%, #AAA 0%)" {{{#fff 삼도면 7,20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b553c 17.505%, #888 0%, #888 100%, #AAA 0%)" {{{#fff 본량면 7,00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b553c 13.885%, #888 0%, #888 100%, #AAA 0%)" {{{#fff 하남면 5,55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b553c 13.78%, #888 0%, #888 100%, #AAA 0%)" {{{#fff 동곡면 5,512명}}}}}} || || {{{-2 1980년 기준 [[통계청]] [[인구총조사]],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 }}}}}}}}} || ||
'''{{{#ffffff 1975년 읍면별 인구 통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b553c 100%, #888 0%, #888 100%, #AAA 0%)" {{{#fff 송정읍 41,82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b553c 35.355%, #888 0%, #888 100%, #AAA 0%)" {{{#fff 대촌면 14,14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b553c 33.5275%, #888 0%, #888 100%, #AAA 0%)" {{{#fff 서창면 13,41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b553c 28.01%, #888 0%, #888 100%, #AAA 0%)" {{{#fff 평동면 11,20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b553c 25.585%, #888 0%, #888 100%, #AAA 0%)" {{{#fff 비아면 10,23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b553c 22.635%, #888 0%, #888 100%, #AAA 0%)" {{{#fff 본량면 9,05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b553c 22.175%, #888 0%, #888 100%, #AAA 0%)" {{{#fff 임곡면 8,87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b553c 21.88%, #888 0%, #888 100%, #AAA 0%)" {{{#fff 삼도면 8,75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b553c 16.5675%, #888 0%, #888 100%, #AAA 0%)" {{{#fff 하남면 6,62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b553c 15.165%, #888 0%, #888 100%, #AAA 0%)" {{{#fff 동곡면 6,066명}}}}}} || || {{{-2 1975년 기준 [[통계청]] [[인구총조사]],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 }}}}}}}}} || ||
'''{{{#ffffff 1970년 읍면별 인구 통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b553c 94.3025%, #888 0%, #888 100%, #AAA 0%)" {{{#fff 송정읍 37,72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b553c 37.2525%, #888 0%, #888 100%, #AAA 0%)" {{{#fff 대촌면 14,90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b553c 31.72%, #888 0%, #888 100%, #AAA 0%)" {{{#fff 서창면 12,68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b553c 30.145%, #888 0%, #888 100%, #AAA 0%)" {{{#fff 평동면 12,05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b553c 26.765%, #888 0%, #888 100%, #AAA 0%)" {{{#fff 비아면 10,70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b553c 26.715%, #888 0%, #888 100%, #AAA 0%)" {{{#fff 삼도면 10,68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b553c 26.0075%, #888 0%, #888 100%, #AAA 0%)" {{{#fff 본량면 10,40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b553c 22.415%, #888 0%, #888 100%, #AAA 0%)" {{{#fff 임곡면 8,96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b553c 17.8725%, #888 0%, #888 100%, #AAA 0%)" {{{#fff 하남면 7,14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b553c 16.3175%, #888 0%, #888 100%, #AAA 0%)" {{{#fff 동곡면 6,527명}}}}}} || || {{{-2 1970년 기준 [[통계청]] [[인구총조사]],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 }}}}}}}}} || == 관련 문서 == * [[광산구]] * [[송정시]] * [[송정동(광산구)]]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광산구, version=896, paragraph=2.1, title2=광산구, version2=896, paragraph2=2.2)][[분류:광산구]][[분류:전라남도의 폐지된 행정구역]][[분류:1895년 설치된 행정구역]][[분류:광주광역시의 역사]][[분류:1988년 폐지된 행정구역]][[분류:대한민국의 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