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송나라의 행정구역]] [include(틀:송나라의 행정구역)] {{{+1 광남로}}} {{{+2 {{{#808080 |}}}}}} {{{+1 廣南路}}} [목차] == 개요 == 송나라의 최상위 행정구역인 로(路) 중 하나로 오늘날 [[광둥성]]과 [[광시 좡족 자치구]], [[하이난성]]을 관할했다. == 역사 == 광남로는 당나라 때 영남도(嶺南道)라는 이름이었는데, 영남은 오령산맥 남쪽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862년 영남도는 영남동도와 영남서도로 각각 분할되었다. 당나라가 멸망한 뒤 [[남한(오대십국시대)|남한]] 정권이 이곳에 할거하였으며, 971년 남한이 멸망한 뒤 송나라의 영토가 되었다. 997년, 송나라에서 행정구역을 구획할 때 광남로를 광남동로와 광남서로로 분할하였으며, 이것이 오늘날 광동성과 광서성이라는 명칭의 시초가 되었다. == 행정구역 == === 광남동로(廣南東路) === ==== 광주(廣州) ==== 남해군(南海郡). 도독부(都督府)로 청해군절도사(淸海軍節度使)가 부임하였다. 972년 함녕현(咸寧縣), 몽화현(蒙化縣), 유수현(游水縣)이 폐지되었다. 1107년 수부(帥府)로 승격되었다. 광남동로병마검할(廣南東路兵馬鈐轄)가 경략안무사(經略安撫使)를 겸임하였다. * 현 * 남해현(南海縣)[* 수나라 때 설치된 현이었으며, 상강현(常康縣)으로 고쳤다가 972년 다시 남해현이 되었다.), 번우현(番禺縣[* 972년 남해현에 통폐합되었다가 1051년 다시 설치되었다.], 증성현(增城縣), 청원현(淸遠縣), 회집현(懷集縣), 동완현(東筦縣)[* 972년 증성현에 통폐합되었다가 973년 다시 설치되었다.], 신회현(新會縣), 신안현(信安縣)[* 본래 의령현으로 972년 신회현에 통폐합되었다가 973년 다시 설치되었다. 태평흥국(太平興國) 연간에 신안현으로 개칭되었다. 1072년 진으로 격하되어 신주(新州) 신흥현(新興縣)에 통폐합되었다가 1086년 다시 설치되었다. 1094년 다시 진으로 격하되었다가 다시 현으로 부활하여 광주 관할이 되었다.], 향산현(香山縣)[* 1152년 동완현 향산진을 현으로 승격하였다.] ==== 소주(韶州) ==== 시흥군(始興郡). 군사주였다. * 현 * 곡강현(曲江縣), 옹원현(翁源縣), 낙창현(樂昌縣), 인화현(仁化縣)[* 972년 낙창현에 통폐합되었다가 1000년 다시 설치되었다.], 건복현(建福縣)[* 1121년 설치되었다가 1129년 폐지되었다.], 유원현(乳源縣)[* 1166년 곡강현의 숭신향(崇信鄕), 낙창현의 의화향(依化鄕)을 분할하여 주두진(洲頭津)에 설치하였다.] * 감 * 영통감(永通監) ==== 순주(循州) ==== 해풍군(海豐郡). 군사주였다. * 현 * 용천현(龍川縣[* 1121년 뇌향현(雷鄕縣)으로 개칭되었다가 1131년 복구되었다.], 흥녕현(興寧縣)[* [[동진]] 때 설치된 현으로 치소를 장락현으로 옮겼다.], 장락현(長樂縣)[* 1071년 흥녕현에서 분할하여 설치하였다.] ==== 조주(潮州) ==== 조양군(潮陽郡). 군사주였다. * 현 * 해양현(海陽縣), 조양현(潮陽縣)[* 해양현에서 분할하여 설치한 현으로 1132년 해양현에 통폐합되었다가 1138년 다시 설치되었다.], 게양현(揭陽縣)[* 1121년 해양현의 3개 향을 분할하여 설치하였다. 1132년 해양현에 통폐합되었다가 1138년 다시 설치되었으며, 치소를 길백촌(吉帛邨)으로 옮겼다.] ==== 연주(連州) ==== 연산군(連山郡). 군사주였다. * 현 * 계양현(桂陽縣), 양산현(陽山縣), 연산현(連山縣)[* 1146년 진으로 격하되었다가 1148년 다시 설치되었다.] ==== 매주(梅州) ==== 의안군(義安郡). 군사주로 본래 조주(潮州) 정향현(程鄕縣)이었으나 [[남한(오대십국시대)|남한]] 때 공주(恭州)를 설치한 뒤 971년 매주로 개칭되었으며, 1073년 폐지되었다가 1082년 부활하였다. 1120년 군명을 받았다. 1136년 정향현으로 격하되었다가 1144년 다시 설치되었다. * 현 * 정향현(程鄕縣)0 ==== 남웅주(南雄州) ==== 본래 웅주로 군사주였으나 971년 혼동을 피하기 위해 남(南)을 붙였다. * 현 * 보창현(保昌縣), 시흥현(始興縣)[* 원래 소주(韶州) 관할이었으나 971년 남웅주 관할이 되었다.] ==== 영덕부(英德府) ==== 진양군(眞陽郡). 본래 영주(英州)로 군사주였으며, 1120년 군명을 받았다. [[영종(남송)|영종]]의 잠번이 이곳에 있었기에 1195년 부로 승격되었다. * 현 * 진양현(眞陽縣)), 함광현(浛光縣)[* 971년 광주에서 연주(連州) 관할이 되었다가 973년 영주 관할이 되었다.] ==== 하주(賀州) ==== 임하군(臨賀郡). 군사주였다. 971년 탕산현(蕩山縣), 봉양현(封陽縣), 풍승현(馮乘縣)이 폐지되었다. 본래 광남동로 관할이었으나 1108년 광남서로 관할이 되었다. * 현 * 임하현(臨賀縣), 부천현(富川縣), 계령현(桂嶺縣) ==== 봉주(封州) ==== 임봉군(臨封郡). 군사주였다. 1137년 폐지되어 두 현이 덕경부 관할이 되었다가 1140년 다시 설치되었다. * 현 * 봉천현(封川縣), 개건현(開建縣)[* 972년 봉천현에 통폐합되었다가 973년 다시 설치되었다.] ==== 조경부(肇慶府) ==== 고요군(高要郡). 본래 단주(端州)로 군사주였다가 1100년 흥경군(興慶軍)이라는 군액을 받았다. 1118년 조경부로 승격되고 군액도 조경군(肇慶軍)으로 고쳤다. * 현 * 고요현(高要縣), 사회현(四會縣)[* 원래 광주(廣州) 관할이었으나 1073년 강주 관할이 되었다.] ==== 신주(新州) ==== 신흥군(新興郡). 군사주였다. 972년 평흥현(平興縣)이 폐지되었다. * 현 * 신흥현(新興縣)[* 1003년 치소를 주성 서쪽으로 옮겼다.] ==== 덕경부(德慶府) ==== 진강군(晉康郡). 본래 강주(康州)였으며, 군사주였다. 972년 주와 열성현(悅城縣), 진강현(晉康縣), 도성현(都城縣)이 폐지되어 단계현(端溪縣)에 통폐합되고 서주(端州) 관할이 되었으나 다시 설치되었다. [[고종(송)|고종]]의 잠번이 이곳에 있었기 때문에 부로 승격되었고 1144년 영경군절도사(永慶軍節度使)를 두었다. * 현 * 단계현(端溪縣), 상수현(瀧水縣)[* 본래 상주(瀧州) 소속이었으나 상주가 폐지된 뒤 강주 관할이 되었다.] ==== 남은주(南恩州) ==== 은평군(恩平郡). 군사주였다. 옛 명칭은 은주였으며, 972년 은평현(恩平縣)과 두릉현(杜陵縣)을 폐지하였다. 1048년 [[하북로]]의 은주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남(南)을 붙였다. * 현 * 양강현(陽江縣), 양춘현(陽春縣)[* 1073년 춘주(春州)를 폐지한 뒤 동릉현(銅陵縣)이 양춘현에 통폐합되었다.] ==== 혜주(惠州) ==== 박라군(博羅郡), 군사주로 1120년 박라군이라는 군명을 받았다. * 현 * 귀선현(歸善縣), 해풍현(海豐縣), 하원현(河源縣), 박라현(博羅縣) === 광남서로(廣南西路) === 1107년 융주(融州), 유주(柳州), 의주(宜州), 평주(平州), 윤주(允州), 종주(從州), 정주(庭州), 부주(孚州), 관주(觀州)가 검남로(黔南路)로 분할되고 융주가 수부(帥府)로 승격되었다. 1109년 검남로가 광남서로에 통폐합되어 광서검남로(廣西黔南路)가 되었다가 1110년 다시 광남서로가 되었다. ==== 정강부(靜江府) ==== 시안군(始安郡). 분래 계주(桂州)로 정강군절도사(靜江軍節度使)가 파견되었다. 1107년 대도독부로 승격되었다가 다시 수부로 승격되었다. 광남서로병마검할(廣南西路兵馬鈐轄)이 경략안무사를 겸임하였다. [[고종(송)|고종]]의 잠번이 이곳에 있었기에 1133년 정강부로 승격되었다. 1258년 광서제치대사(廣西制置大使)로 개칭되었다가 폐지되었고 다시 광남서로경략안무사(廣西南路經略安撫使)가 되었다. * 현 * 임계현(臨桂縣)[* 1061년 모화현(慕化縣)이 임계현에 통폐합되었다.], 흥안현(興安縣)[* 당나라 때 전의현(全義縣)이 설치되었다. 후진 때 부주(溥州)가 설치되었다가 963년 폐지되었다. 태평흥국(太平興國) 연간에 흥안현이 되었다.], 영천현(靈川縣), 여포현(茘浦縣), 영복현(永福縣), 수인현(修仁縣)[* 1071년 진으로 격하되어 여포현에 통폐합되었다가 1086년 복구되었다.], 의령현(義寧縣)[* 본래 의령진(義寧鎭)으로 마씨(馬氏)가 상주하여 설치되었다. 972년 광주 신회현에 통폐합되었다가 973년 다시 설치되었다.], 이정현(理定縣), 고현(古縣), 영령현(永寧縣)[* 당나라 때 풍수현(豐水縣)이었다. 1071년 진으로 격하되어 여포현에 통폐합되었다가 1086년 복구되었다. 정강의 변 이후 폐지되었다.] ==== 용주(容州) ==== 보령군(普寧郡). 하도독부(下都督府)로 영원군절도사(寧遠軍節度使)가 파견되었다. 972년 흔도현(欣道縣), 위룡현(渭龍縣), 능성현(陵城縣)을 폐지하였다. * 현 * 보령현(普寧縣)[* 972년 수주(繡州)를 폐지하고 상림현(常林縣), 아림현(阿林縣), 나수현(羅繡縣)이 보령현에 통폐합되었다.], 육천현(陸川縣)[* 972년 순주(順州)를 폐지하고 용호현(龍豪縣), 온수현(溫水縣), 용화현(龍化縣), 남하현(南河縣)을 육천현에 통폐합하였다. 975년 치소를 공평으로 옮겼다가 994년 다시 옛 온수현으로 옮겼다.], 북류현(北流縣)[* 972년 우주(禺州)를 폐지하고 아석현(峨石縣), 부래현(扶萊縣), 나변현(羅辨縣), 능성현(陵城縣)을 북류현에 통폐합하였다.] ==== 옹주(邕州) ==== 영령군(永寧郡). 하도독부(下都督府)로 건무군절도사(建武軍節度使)가 파견되었다. 972년 낭령현(朗寧縣), 봉릉현(封陵縣), 사룡현(思龍縣)이 폐지되었다. * 현 * 선화현(宣化縣)[* 1035년 여화현(如和縣)을 선화현에 통폐합하였다.], 무연현(武緣縣)[* 1035년 낙창현(樂昌縣)을 무연현에 통폐합하였다.] * 채 * 태평채(太平砦)[* 영평채(永平砦), 태평채, 고만채(古萬砦), 횡산채(橫山砦)가 있었으나 《원풍구역지(元豐九域志)》에 의하면 태평채만 기재되었는데, 나머지는 폐지된 것으로 보인다.] * 금장 * 진내금장(鎭乃金塲)[* 1073년 설치되었다.] * 기미주 ==== 상주(象州) ==== 상군(象郡). 경덕(景德) 연간에 방어주로 승격되었다. 1262년 치소를 내빈현(來賓縣) 봉래(蓬萊)로 옮겼다. * 현 * 수양현(陽壽縣), 내빈현(來賓縣)[* 엄주(嚴州) 관할이었으나 엄주가 폐지된 뒤 상주 관할이 되었다. 974년 엄주 귀화현(歸化縣)이 통폐합되었다.], 무화현(武化縣)[* 1073년 내빈현에 통폐합되었다가 1086년 복구되었다. 정강의 변 이후 폐지되었다.], 무선현(武仙縣) ==== 소주(昭州) ==== 평락군(平樂郡). 군사주였다. 972년 영평현(永平縣)을 폐지하였다. * 현 * 평락현(平樂縣)[* 1008년 치소를 주성 동쪽으로 옮겼다.], 입산현(立山縣)[* 1072년 몽주(蒙州)가 폐지되고 동구현(東區縣)과 몽산현(蒙山縣)이 입산현에 통폐합되었다.], 용평현(龍平縣)[* 972년 부주(富州)가 폐지되고 소주 관할이 되었으며, 사근현(思勤縣), 마강현(馬江縣)이 용평현에 통폐합되었다. 1075년 오주(梧州) 관할이 되었다가 1085년 다시 소주 관할이 되었다. 선화 연간에 소평현(昭平縣)으로 개칭되었다가 1179년 다시 용평현이 되었다.], 공성현(恭城縣)[* 976년 치소를 북향(北鄕) 용저시(龍渚市)로 옮겼다가 1264년 복구하였다. ==== 오주(梧州) ==== 창오군(蒼梧郡). 군사주였다. * 현 * 창오현(蒼梧縣)[* 1071년 융성현(戎城縣)을 진으로 격하하여 창오현에 통폐합하였다.] ==== 화주(化州) ==== 능수군(陵水郡). 군사주였다. 본래 변주(辯州)였으나 980년 화주로 개칭되었다. 개보(開寶) 연간에 능라현(陵羅縣)이 폐지되었다. * 현 * 석룡현(石龍縣), 오천현(吳川縣)[* 본래 나주(羅州) 소속이었으나 주가 폐지되어 972년 화주 관할이 되었다.], 석성현(石城縣)[* 1167년 오천현 서향西鄕)을 분할하여 설치하고 석성강(石城岡)에서 지명을 땄다.] ==== 고주(高州) ==== 고량군(高凉郡). 군사주였다. 972년 양덕현(良德縣)을 폐지하였다. 1004년 두주(竇州)에 통폐합되고 치소를 무명현(茂名縣)으로 옮겼으며, 1006년 다시 설치되었다. * 현 * 전백현(電白縣), 신의현(信宜縣)[* 당나라 때 신의현(信儀縣)이었으나 태평흥국(太平興國) 연간에 의(儀)를 의(宜)로 고쳤다. 1071년 두주가 폐지되어 고주 관할이 되었다.], 무명현(茂名縣)[* 972년 파주(潘州)에서 고주 관할이 되었다.] ==== 뇌주(雷州) ==== 해강군(海康郡). 군사주였다. * 현 * 해강현(海康縣)[* 관두채(冠頭砦)가 있었다.], 수계현(遂溪縣[* 972년 폐지되었다가 1149년 다시 설치되었다.], 서문현(徐聞縣)[* 972년 폐지되었다가 1171년 다시 설치되었다.] ==== 흠주(欽州) ==== 영월군(寧越郡). 군사주였다. 972년 준화현(遵化縣), 흠강현(欽江縣), 내정현(內亭縣)이 폐지되었으며, 1023년 치소를 남빈채(南賓砦)로 옮겼다. * 현 * 영산현(靈山縣[* 돌보채(咄步砦)가 있었다.], 안원현(安遠縣)[* 당나라 때 보경현(保京縣)이었으며, 송나라 때 안경현(安京縣)으로 고쳤다가 경덕(景德) 연간에 안원현이 되었다. 여홍채(如洪砦), 여석채(如昔砦)가 있었다.] ==== 백주(白州) ==== 남창군(南昌郡). 군사주였다. 972년 남창현(南昌縣), 건녕현(建寧縣), 주라현(周羅縣)을 폐지하였다. 1111년 폐지되어 울림주(鬱林州) 관할이 되었다가 1113년 복구되었다. 정강의 변 이후 다시 울림주에 통폐합되었다. * 현 * 박백현(博白縣)[* 정강의 변 이후 울림주 관할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