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귤속]] [include(틀:귤속)] [include(틀:관상용 귤속 식물)] ||<-2> '''{{{#fff {{{+1 광귤}}}[br]광橘 | Daidai}}}'''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광귤.jpg|width=100%]]}}} || || '''학명''' || ''' ''Citrus × daidai'' '''[br],,Siebold ex Hayata,, || ||<-2>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fff '''계'''}}}]] ||[[식물|식물계]] Plantae|| ||<|3> [[생물 분류 단계#분류군|{{{#000,#fff '''분류군'''}}}]] ||[[속씨식물군]] Angiosperms|| ||[[진정쌍떡잎식물군]] Eudicots|| ||[[장미군]] Rosids|| || [[생물 분류 단계#목|{{{#000,#fff '''목'''}}}]] ||[[무환자나무목]] Sapindales|| || [[생물 분류 단계#과|{{{#000,#fff '''과'''}}}]] ||[[운향과]] Rutaceae|| || [[생물 분류 단계#속|{{{#000,#fff '''속'''}}}]] ||[[귤속]] ''Citrus''|| || [[생물 분류 단계#종|{{{#000,#fff '''종'''}}}]] ||'''광귤 ''C. × daidai'' '''|| [목차] [clearfix] == 개요 == 광귤(광橘)나무, [[한의학]]에서는 대대화(玳玳花), [[지각(한약재)|지각]](枳殼)이라고 부른다. 인도의 [[히말라야산맥|히말라야]] 지방이 주 원산지이며 [[동남아시아]]로 옮겨졌다. 상록 활엽 [[관목]] 또는 소[[교목]]이며 [[가시]]가 있다. 5~10m까지 자라고 잎은 난형에 끝은 뾰족하고 톱니가 나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제주도]]에서 주로 서식하며 보통 집 앞에다가 심는다. [[가시]] 있는 나무라서 줄을 지어 심으면 가시 울타리가 된다. 그리고 꽃은 5월에 개화하며 꽃잎은 5개다. [[과실]]은 10월에 주황 또는 빨강으로 익는다. 쓰고 셔서 사람이 먹기에는 적합하지 않지만, [[한의학]]에서는 [[지각(한약재)|기각(枳殼)]]이라고 하여 이 과실을 썰어서 말려 [[한약재]]로 사용해오고 있다. 광귤나무에는 또 하나의 특성이 있는데, 과실이 익은 후에 수확하지 않으면 '''나무에 2~3년 동안 온전한 상태로 메달려 있는다'''. 초록색 과실이 익어 가면서 오렌지색, 주홍색으로 변하고, 겨울이 지나 꽃이 필 때쯤은 다시 초록색으로 돌아간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중국에서는 젋은 시절로 돌아간다는 뜻으로 회청등(回青橙)이라 부른다. 또한 나무에 과실이 매달려 있는 채 해가 지나 새로운 과실이 자라나면서, 두 세대의 과실이 한 나무에 맺어 있는 모습을 보고 대대로 전해져 내려간다는 뜻의 대대화(代代花), 대대귤(代代橘)이라고도 불린다. 관상 재미에 더해 [[회춘]]과 영속을 상징하니 중국에서는 중대형 [[분재]]로의 인기가 많다. == [[분류학]] == 광귤은 [[비터오렌지]]와 동일하게 [[포멜로]](''C. maxima'')와 [[감귤나무]](''C. reticulata'') 간의 자연 교잡을 통해 생겨났다. 동양에서 자라는 것을 광귤(''C. × daidai''), 서양에서 자라는 것을 [[비터오렌지]](C. × aurantium)로 구분하기도 한다. [[다나카 체계]]에서는 식물학적 [[생물 분류 단계#s-3.8|종]](''C. × daidai'')으로 보고 있으며, 다른 분류 체계에서는 비터오렌지의 [[변종]](''C. × aurantium'' var. ''daidai'')으로 보기도 한다. == 나라별 명칭 == ||<-2> '''나라별 명칭''' || ||'''한국'''||광귤(gwanggyul), [[지각(한약재)|기각]](枳殼), 대대화(玳玳花) || ||'''중국'''||代代(daidai), 代代橘, 代代花, 回青橙, 枳壳 || ||'''일본'''||ダイダイ(daidai) || ||'''영어권'''||Daidai, bitter orange || ||'''이명'''||''C. × aurantium'' var. ''daidai'' ,,Makin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