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회원수정2)] ||
{{{#000000,#ffffff '''곽윤기 관련 틀'''}}} || || {{{#!folding[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남자부 우승자)] ---- [include(틀:역대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 시리즈 대회 남자부 종합우승자)] ---- [include(틀:대한민국 올림픽 대표팀/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 [include(틀:대한민국 올림픽 대표팀/2018 평창 동계올림픽/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 [include(틀:대한민국 올림픽 대표팀/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 [include(틀:고양시청 쇼트트랙팀)] ---- [include(틀:브리온컴퍼니 소속 운동선수)] ---- [include(틀:가짜사나이)]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60deg, #fff 10%, #cd313a 50%, #0047a0 50%, #fff 100%)" '''{{{#fff {{{+1 곽윤기}}}[br]郭潤起|Kwak Yoon-G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곽윤기 베이징.jpg|width=100%]]}}} || ||<|2> '''출생''' ||[[1989년]] [[12월 26일]] ([age(1989-12-26)]세)|| ||[[서울특별시]]||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본관''' ||[[청주 곽씨]][* 함창파(咸昌派) 32세 윤(潤) 항렬이다.]|| || '''신체''' ||164.6cm[* [[https://www.youtube.com/watch?v=eEC1SpuSB0A&t=182s|꽉잡아윤기]]에서 공개된 가장 최근에 증명된 곽윤기의 키이다. 160cm라고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지만 실제 키는 164~165cm 사이가 맞다.][* 160이라고 하면 실제로 봤을 때 더 커보이는 효과가 있다며...(지극히 곽피셜이다.) ], 60.6kg[*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시절에는 50kg 초반대를 유지했었다. 때문에 훈련 도중 금방이라도 쓰러질 듯한 어지러움을 자주 느꼈었다고...] , [[https://youtu.be/W8faI7WdZiA|A형]]|| || '''학력''' ||서울목원초등학교 {{{-2 (졸업)}}}[br][[목일중학교]] {{{-2 (졸업)}}}[br][[신목고등학교]] {{{-2 (졸업)}}}[br][[연세대학교]] {{{-2 (스포츠레저학[* 現 스포츠응용산업학과] / 학사)}}} || || '''종목'''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br]{{{-1 주종목: '''1000m''', 1500m[*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전까지만 해도 주종목이 딱히 잡혀 있지 않았지만, 500m가 자신의 주종목이나 다름없듯이 좋은 성적을 냈다. 밴쿠버 동계올림픽 이후에는 다른 한국 선수들처럼 1000m와 1500m로 주종목이 변경되는 듯했으나, 파벌 논란으로 인해 대표팀에서 한동안 아웃 됐었고 이후 1500m 괴물 [[노진규]]가 들어오면서 주종목은 1000m로 굳혀졌다. 당연하지만 1500m도 굉장히 잘 탄다. 대표팀 합류 초창기 때는 500m가 주종목이었긴 했지만, 이는 사실 [[빅토르 안|안현수]], [[이호석]], [[송경택]], [[성시백]], [[이승훈(스피드 스케이팅)|이승훈]]에게 우선순위가 뒤로 밀리다 보니 대표팀 선수들이 상대적으로 약한 500m에 집중 출전해야만 했던 것이다. 2008-09 시즌에 접어들면서야 국가대표 선수들이 어느 정도 세대 교체가 되며 조금씩 자신의 주종목을 찾아가게 된다.][* 2012년 10월 21일부터 2016년 2월 6일까지 1000m 신기록 보유자였다. 그 이후는 [[세묜 옐리스트라토프]]가 세웠으나, 2015-16 시즌 도핑 의혹이 생기면서 다시 곽윤기의 기록이 신기록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있었으나 그렇게 되지는 않았다. 대신 2016-17 시즌 후배 [[황대헌]]이 신기록을 세웠다.]}}}|| || '''소속''' ||[[고양시청]] (플레잉 코치)|| || '''소속사''' ||브리온컴퍼니[* 에이전트를 겸하며, 롤 팀인 [[BRION]]의 모회사이다.][[https://brion.co.kr|[[파일:브리온컴퍼니 로고.png|width=20]]]] || || '''국가대표''' ||2007-08~2009-10, 2011-12~2012-13,[br]2014-15~2015-16, 2017-18~--2018-19--[* 이 시즌에는 선발이 되었음에도 대표팀 자리를 반납하고 한 시즌 스킵을 선언했다. 해당 시즌에는 차순위인 [[박지원(쇼트트랙)|박지원]]이 자리를 매꿨다.], 2021-22('''총 10시즌 대표팀 선수 경력''')[* 남자부 역대 최다 기록이다. 남녀 통틀어서는 2023-24 시즌 여자부의 [[심석희]]가 11번째 국가대표 선발에 성공하면서 곽윤기의 기록을 넘어섰다.][br]올림픽 남자 [[쇼트트랙]] 국가대표팀 주장 (2017-18, 2021-22)|| || '''병역''' ||[[예술체육요원]][*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5000m 계주 {{{#c0c0c0 '''은메달'''}}}]|| || '''종교''' ||[[가톨릭]] {{{-2 ([[세례명]]: [[http://m.catholictimes.org/mobile/article_view.php?aid=289568|스테파노]])}}}|| || '''MBTI''' ||[[ISTJ]] || || '''가족''' ||부모님, 여동생 곽윤영^^(1991년생)^^[* 이미 결혼하고 슬하에 딸 다인, 다은 2명을 본 유부녀이다. 이후 [[호적메이트]]에 함께 출연했다.]|| || '''서명''' ||[[파일:곽윤기선수-싸인.jpg|width=150]][* 이전 서명은 [[:파일:곽윤기 서명_이전.jpg|여기]]서 볼 수 있다.]|| || '''링크''' ||[[https://www.youtube.com/channel/UCKurJtf5TWo5nrq8nnuvrc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https://cafe.naver.com/kwakjoba|[[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width=24]]]] [[https://www.instagram.com/yoongykwak|[[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https://www.twitch.tv/kwakjoba|[[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곽윤기 2022.jpg|width=100%]]}}} || [[대한민국]]의 남자 [[쇼트트랙]] 선수이자 [[유튜브 크리에이터|유튜버]]다. 선수 생활을 굉장히 길게 한 것으로 유명하다. 통산 2개의 올림픽 메달([[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남자 5000m 계주 은메달)을 따낸 [[대한민국 올림픽 대표팀/메달리스트|메달리스트]]다. == [[곽윤기/선수 경력|선수 경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곽윤기/선수 경력)] == 평가 == 남자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쇼트트랙]] 선수들의 키가 대부분 170cm를 웃도는 걸 감안했을 때 곽윤기는 그 중에서도 매우 작은 편이며 그래서 몸싸움에 굉장히 약한 편이다. 또한 다리가 짧아 피치가[* 스케이트로 얼음을 밀어내는 동작이다.] 작고 몸무게가 가벼워서 빠른 속도로 코너를 돌 때 원심력이 기존 선수들보다 약하다는 단점들이 있지만, 이를 장점으로 승화시켜 작은 체격 조건을 적극 활용한 스케이팅이 특징이다.[* 다만 어렸을 때부터 작은 체구 때문에 몸싸움에서 항상 밀리는 게 습관처럼 되다 보니 가끔 포지션을 방어해야 하거나 피할 수 없는 몸싸움을 해야 할 때 좀 과감한 면이 떨어지는 편이다. 그래도 경혐과 노련미가 쌓이며 견제 능력을 통해 극복해내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다른 선수들은 돌파 시도도 못할 비좁은 공간을 자유롭게 파고들 수 있으며 가벼운 몸무게 덕분에 순간 가속도가 굉장히 좋고[* 전재목 前 국가대표 코치가 말한 바로는 세계에서 순간 가속도 하나만은 최고라고 한다. 그의 진가를 보고 싶다면 [[https://youtu.be/FlYlIy6gJI4?t=10|2009-10 시즌 1차 월드컵 500m 결승 경기]]를 꼭 참조하길 바란다.] 속도가 붙은 상황에서 급 방향틀기도 자유자재로 가능하다. 하지만 가벼운 몸무게와 짧은 다리 때문에 간혹 단점을 보이기도 하는데 최고 스피드를 낼 땐 그리 빠른 편이 아니다.[* [[캐나다]] 선수들이 괜히 500m와 계주에서 잘하는 게 아니다.][* 사실 순간 속도와 운영을 통해 극복할 수 있는 개인전에서는 크게 자주 드러나지 않는 단점이지만, 계주에서 속도전으로 가게된다면 최대 속력에서 타국 에이스들이나 단거리 스프린터들과 비교했을 때는 떨어지는 편이다. 곽윤기가 계주에서 가장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는 상황은 그의 최대 장점인 순간 가속도를 이용한 운영과 추월로 풀어나갈 수 있을 때이다. 그렇기에 간혹 2번째 주자일 때 전력질주만을 해야하는 마지막 두바퀴에서 약점을 보인적이 있고, 2012-13시즌에서는 한국 코치진이 추월능력은 떨어지지만 강한 체력덕에 두바퀴를 최대 속력을 유지하며 달릴 수 있는 [[노진규]]를 대신 마지막 주자로 넣는 실험을 하기도 했던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그럼에도 곽윤기에겐 저 순간 가속도라는 무기와 정상급 인코스 추월 능력[* 인코스만큼은 아니지만 아웃코스 추월 능력도 상당하다.]이 있기에 단거리에서도 좋은 성적을 내는 게 가능했다. 본론으로 돌아가서, 곽윤기는 자신의 장점들 덕에 허를 찌르는 장면도 자주 연출하는 편이다. 추월을 당한 이후 바로 인코스로 눈 깜짝할 새에 다시 추월한다든지, 마지막 한 바퀴까지 꼴찌로 달리다가 갑자기 코너를 돌면서 메달권에 들어오기도 한다. 이러한 곽윤기의 인코스 추월 능력은 다른 선수들과는 차원을 달리하는 비범함이 있으며 이것은 신체 조건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닌, 곽윤기의 뛰어난 기술 덕분이다. 기술로는 이미 예전부터 인정을 받아왔으며 쇼트트랙에서 기술을 떠올리면 [[빅토르 안|안현수]]와 [[이호석]] 다음으로는 곽윤기의 이름이 나오는 편이다. 또한 안현수&이호석 세대 이후, 영리하고 노련하고 침착한 수준급 경기 운영을 할 수 있는 세계에서 몇 안 되는 선수이며 [[성시백]]까지 은퇴한 시점에서 올라운더에 가장 가까운 정상급 대한민국 스케이터는 차세대 에이스들이었던 [[임효준]]이나 [[황대헌]]의 등장 전까지는 곽윤기가 수년간 거의 유일했다고 볼 수 있다. [[성시백]] 만큼은 아니지만 500m에서도 꽤나 강점을 보이고[* 2007-08 시즌 기준으로 500m 세계랭킹 2위에 등극했었다.][* 사실 곽윤기는 모든 한국 쇼트트랙 선수들을 통틀어봤을 때 500m에서 몇 안 되는 상위권 실력을 가지고 있는 선수이자 국제대회에서도 본 이벤트에서 경쟁력을 갖춘 선수이다. [[캐나다]] 선수들을 씹어먹었던 성시백이 그냥 별종인 거다.] 계주에서는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을 기점으로 줄곧 마지막 주자로 나서기도 했다.[* 실력적으로 가장 뛰어나고 막판 뒤집기에 능한 [[이호석]]이 마지막으로 타기로 되어 있었으나 500m에서 넘어졌을 때 약간의 부상으로 코치진이 이호석이 100% 기량으로 탈 수 없다고 판단한다. 결국 계주나 단거리에서 약한 편인 이정수를 커버하기 위해 이호석이 세 번째로 배정된다. 가벼운 몸무게의 곽윤기를 밀어주기 위해 원래 단거리/계주에 강했던 성시백이 첫 번째로 탔다.] 우리나라 선수답게 기본적으로 1000m, 1500m도 당연히 잘 타고, [[노진규]]가 1500m의 지배자로 군림하게 되면서 곽윤기는 본인의 순발력과 추월 능력, 그리고 경기 운영 능력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1000m에 더 집중하게 되었다. 실력에 비해 올림픽 운이 없는 편이다.[* 국가대표 선발전과 상성이 잘 맞지 않는 선수이기도 하다. [[서이라|국가대표 선발전에서는 강하지만]] [[박세영(쇼트트랙)|국제대회에서는 약한 모습을 보이는 선수들]]이 있는가 하면, [[박지원(쇼트트랙)|국가대표 선발전에서는 고전하지만 국제대회에서는 기량을 펼치는 선수들]]이 있기도 한데, 곽윤기는 후자에 해당된다.] 자신의 시니어 무대 2번째 시즌이었던 2008-09 시즌에는 개인전 멤버로 활약했지만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이 걸렸던 시즌에는 계주멤버로 턱걸이 선발로 합류했었다. 2012년에는 [[2012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세계선수권]] 우승[* [[2010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10 세계선수권]]에서 준우승 후 오래 쉬었다가 복귀하자마자 우승을 한 것이다.]을 하며 세계 1인자로 최전성기를 달리다가 2012-13 시즌에 발목 골절이라는 큰 부상으로 세계선수권 2연패 도전도 물 건너가고 올림픽 선발전까지 부상 회복이 덜되어서 [[2014 소치 동계올림픽]]에는 출전하지 하지 못했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계주 준결승에서 올림픽 신기록을 세웠지만 결승 후반부에 [[임효준|팀 동료]]가 넘어지며 4위에 그쳤다.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계주에서 은메달을 따며 한국 남자 대표팀이 12년 만에 남자 계주에서 메달을 획득하는데 일조했다.[* 비슷한 경력으로 [[2010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10 세계선수권]] 계주에서 금메달을 따고 8년 만에 [[2018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18 세계선수권]] 계주에서도 금메달을 땄는데 이 때도 두 대회 모두 곽윤기가 있었다.] 부상을 입은 선수들과 곽윤기의 날에 문제가 있었고 매번 그랬지만 이번에도 역시 금메달을 예상했던 전력이기에 선수들이 많이 아쉬워하는 모습을 보였다.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는 계주에서만 은메달을 땄고 [[2014 소치 동계올림픽]]은 부상으로 못 나갔기 때문에 올림픽 때만 쇼트트랙을 보는 대중들은 곽윤기의 실력을 많이 폄하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까지 나오는 것을 보고 그의 실력을 인정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오랜 기간 정상급 폼을 유지하며 세계 무대에서 검증된 실력을 가지고 있는 선수 중 한 명이자, 실력만으로 봤을 때도 상위 클래스에 해당하는 선수이자 오랜 기간 동안 대표팀으로 활약해 온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skating&no=348958&page=1|베테랑이다.]][* 2006년부터 2010년까지 펼쳐진 한국 쇼트트랙 황금기를 대표하는 황금세대의 일원이자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세계 1인자 자리를 두고 노진규와 시대를 양분한 선수로 쇼트트랙의 레전드라 불려도 손색이 없는 선수이다.] == 수상 기록 == ||
'''대회''' || '''금''' || '''{{{#white 은}}}''' || '''{{{#white 동}}}''' ||합계 || || 올림픽 || 0 || {{{#white 2}}} || {{{#white 0}}} || 2 || || 세계선수권 || 7 || {{{#white 5}}} || {{{#white 4}}} || 16 || || 세계 팀선수권 || 2 || {{{#white 0}}} || {{{#white 1}}} || 3 || || 주니어 세계선수권 || 0 || {{{#white 1}}} || {{{#white 2}}} || 2 || || '''합계''' || '''9''' || '''{{{#white 8}}}''' || '''{{{#white 7}}}''' || 24 || ||<-5>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width=25]]{{{#white 월드컵 시리즈 수상성적}}} || || 월드컵 랭킹 || 4 || {{{#white 3}}} || {{{#white 3}}} || 10 || || 월드컵 메달 || 32 || {{{#white 21}}} || {{{#white 17}}} || 70 || || '''합계''' || '''36''' || {{{#white 24}}} || {{{#white 20}}} || 80 || ||<-5> {{{#white 공인 국제대회 + 월드컵 합계 }}} || || '''총 합계''' || '''45''' || '''{{{#white 32}}}''' || '''{{{#white 40}}}''' || '''102''' || ---- ||<-4>
[[파일:오륜기(여백X).svg|width=25]] {{{#white 올림픽}}} || || 은메달 ||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2010 밴쿠버]] || 5000m 계주 ||<-2> [[https://youtu.be/XgpMBEN6at0?t=1135|[[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은메달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2022 베이징]] || 5000m 계주 ||<-2> [[https://youtu.be/JbMaM8Upqo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4>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width=25]] {{{#white 세계선수권}}} || || 금메달 || [[2008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08 강릉]] || 5000m 계주 || || 금메달 || [[2010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10 소피아]] || 5000m 계주 ||<-2> [[https://youtu.be/9RDi-NMIwP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금메달 || [[2010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10 소피아]] || 1500m ||<-2> [[https://youtu.be/TId9IQwd-7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금메달 || [[2012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12 상하이]] || 종합 || || 금메달 || [[2012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12 상하이]] || 1000m ||<-2> [[https://youtu.be/FZtnJFuIqBE?t=29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위 || [[2012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12 상하이]] || 3000m S.F. ||<-2> [[https://youtu.be/FZtnJFuIqBE?t=532|[[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금메달 || [[2018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18 몬트리올]] || 5000m 계주 ||<-2> [[https://youtu.be/2GxOKXF23X4?t=355|[[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금메달 || [[2022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22 몬트리올]] || 5000m 계주 ||<-2> [[https://youtu.be/0T1Jd_zx31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은메달 || [[2009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09 비엔나]] || 500m ||<-2> [[https://youtu.be/2VUnHibImx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은메달 || [[2009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09 비엔나]] || 1500m ||<-2> [[https://youtu.be/Uo8S4zhyuhU?t=6|[[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은메달 || [[2010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10 소피아]] || 종합 || || 은메달 || [[2010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10 소피아]] || 1000m ||<-2> [[https://youtu.be/fgzzl8X7Nq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위 || [[2010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10 소피아]] || 3000m S.F. ||<-2> [[https://youtu.be/4HGvMfYdsf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은메달 || [[2012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12 상하이]] || 1500m ||<-2> [[https://youtu.be/FZtnJFuIqBE?t=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동메달 || [[2012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12 상하이]] || 5000m 계주 ||<-2> [[https://youtu.be/IimnWSP-nH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동메달 || [[2012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12 상하이]] || 500m || || 동메달 || [[2016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16 서울]] || 5000m 계주 || || 동메달 || [[2022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22 몬트리올]] || 1000m ||<-2> [[https://youtu.be/_fXZ0JcIaq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4>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width=25]] {{{#white 월드컵}}} || || 금메달 || [[2007-08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07 헤이렌베인]] || 5000m 계주 ||<-2> [[https://youtu.be/V0vGt_QoVf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금메달 || [[2007-08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07 토리노]] || 5000m 계주 || || 금메달 || [[2007-08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07 퀘백]] || 5000m 계주 ||<-2> [[https://youtu.be/vWE97QZlny4?t=150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금메달 || [[2007-08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07 퀘백]] || 500m ||<-2> [[https://youtu.be/vWE97QZlny4?t=1185|[[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금메달 || [[2007-08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07 솔트레이크 시티]] || 5000m 계주 ||<-2> [[https://youtu.be/4Q1AERFlKe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금메달 || [[2008-09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08 솔트레이크 시티]] || 5000m 계주 ||<-2> [[https://youtu.be/3Gf9YU5Bva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금메달 || [[2008-09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08 솔트레이크 시티]] || 1000m ||<-2> [[https://youtu.be/8lz-M6lY8vQ?t=232|[[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금메달 || [[2008-09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08 소피아]] || 1000m || || 금메달 || [[2009-10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09 베이징]] || 5000m 계주 || || 금메달 || [[2009-10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09 베이징]] || 500m || || 금메달 || [[2009-10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09 서울]] || 5000m 계주 || || 금메달 || [[2009-10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09 몬트리올]] || 5000m 계주 || || 금메달 || [[2011-12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1 솔트레이크 시티]] || 1000m ||<-2> [[https://youtu.be/4OoxMEQbnJ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금메달 || [[2011-12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1 사그네]] || 5000m 계주 || || 금메달 || [[2011-12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1 나고야]] || 1000m || || 금메달 || [[2011-12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1 상하이]] || 1000m ||<-2> [[https://youtu.be/fzpdHuuN4s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금메달 || [[2011-12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1 모스크바]] || 1000m ||<-2> [[https://youtu.be/4oO3C8aWdp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금메달 || [[2012-13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2 캘거리]] || 5000m 계주 ||<-2> [[https://youtu.be/indGRsHEJJ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금메달 || [[2012-13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2 몬트리올]] || 5000m 계주 || || 금메달 || [[2012-13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2 몬트리올]] || 1000m ||<-2> [[https://youtu.be/5ManeGmWEy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금메달 || [[2012-13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2 나고야]] || 5000m 계주 || || 금메달 || [[2012-13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2 상하이]] || 1000m(1) || || 금메달 || [[2012-13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2 상하이]] || 1000m(2) || || 금메달 || [[2012-13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2 상하이]] || 5000m 계주 || || 금메달 || [[2014-15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4 몬트리올]] || 5000m 계주 || || 금메달 || [[2014-15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4 상하이]] || 5000m 계주 || || 금메달 || [[2014-15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4 상하이]] || 500m || || 금메달 || [[2015-16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5 몬트리올]] || 1500m ||<-2> [[https://youtu.be/j5vK80dEy4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금메달 || [[2015-16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5 토론토]] || 1500m || || 금메달 || [[2015-16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5 상하이]] || 1000m || || 금메달 || [[2017-18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7 서울]] || 5000m 계주 ||<-2> [[https://youtu.be/IKO5kVyOy2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금메달 || [[2021-22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21 도르드레흐트]] || 5000m 계주 ||<-2> [[https://youtu.be/0CJBV4Bx3Q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은메달 || [[2007-08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07 고베]] || 1000m ||<-2> [[https://youtu.be/pj4_uUQuZzw?t=22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은메달 || [[2007-08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07 솔트레이크 시티]] || 500m ||<-2> [[https://youtu.be/Dn8V6p1pjb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은메달 || [[2008-09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08 베이징]] || 1000m || || 은메달 || [[2008-09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08 나고야]] || 5000m 계주 || || 은메달 || [[2008-09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08 나고야]] || 1000m || || 은메달 || [[2008-09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08 드레스덴]] || 5000m 계주 || || 은메달 || [[2008-09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08 드레스덴]] || 500m ||<-2> [[https://youtu.be/Xky39TP2i7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은메달 || [[2011-12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1 솔트레이크 시티]] || 1500m ||<-2> [[https://youtu.be/cUtJ6yF79A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은메달 || [[2011-12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1 사그네]] || 1500m ||<-2> [[https://youtu.be/YGeKPvYA8r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은메달 || [[2011-12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1 나고야]] || 1000m ||<-2> [[https://youtu.be/_r4iyqeW9L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은메달 || [[2011-12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1 모스크바]] || 5000m 계주 ||<-2> [[https://youtu.be/EHdOOvoU4R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은메달 || [[2011-12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1 도르드레흐트]] || 500m || || 은메달 || [[2012-13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2 캘거리]] || 1500m ||<-2> [[https://youtu.be/VjUzm0lIcg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은메달 || [[2014-15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4 서울]] || 1000m || || 은메달 || [[2014-15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4 서울]] || 3000m || || 은메달 || [[2014-15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4 에르주름]] || 5000m 계주 || || 은메달 || [[2015-16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5 토론토]] || 5000m 계주 || || 은메달 || [[2015-16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5 나고야]] || 500m ||<-2> [[https://youtu.be/_OoYU05VQs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은메달 || [[2015-16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5 도르드레흐트]] || 1500m ||<-2> [[https://youtu.be/4PTM2fW2xS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은메달 || [[2017-18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7 상하이]] || 5000m 계주 || || 은메달 || [[2021-22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21 데브레첸]] || 5000m 계주 ||<-2> [[https://youtu.be/vOGh3UvUeV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동메달 || [[2007-08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07 고베]] || 500m ||<-2> [[https://youtu.be/oAqdFZ2_5b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동메달 || [[2007-08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07 헤이렌베인]] || 500m ||<-2> [[https://youtu.be/dLDuOqOZjv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동메달 || [[2008-09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08 밴쿠버]] || 500m || || 동메달 || [[2009-10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09 서울]] || 1000m ||<-2> [[https://youtu.be/O32uPRFbun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동메달 || [[2009-10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09 마켓]] || 5000m 계주 ||<-2> [[https://youtu.be/3CQsb3LMmfI?t=8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동메달 || [[2011-12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1 솔트레이크 시티]] || 5000m 계주 ||<-2> [[https://youtu.be/IimnWSP-nH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동메달 || [[2011-12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1 상하이]] || 1500m ||<-2> [[https://youtu.be/qojOOW5ig6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동메달 || [[2011-12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1 도르드레흐트]] || 5000m 계주 ||<-2> [[https://youtu.be/Y5v924H6XU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동메달 || [[2012-13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2 캘거리]] || 1000m ||<-2> [[https://youtu.be/DiskJ3lS46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동메달 || [[2012-13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2 소치]] || 1500m ||<-2> [[https://youtu.be/5H926K3dlP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동메달 || [[2014-15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4 몬트리올]] || 500m || || 동메달 || [[2014-15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4 드레스덴]] || 500m ||<-2> [[https://youtu.be/0kCsjTwWQZ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동메달 || [[2015-16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5 토론토]] || 1000m ||<-2> [[https://youtu.be/G0vndi481K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동메달 || [[2015-16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5 상하이]] || 1500m || || 동메달 || [[2015-16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5 드레스덴]] || 1500m ||<-2> [[https://youtu.be/sIua35dJdc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동메달 || [[2015-16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5 도르드레흐트]] || 500m ||<-2> [[https://youtu.be/EYjJTr-9Fx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4>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width=25]] {{{#white 세계 팀선수권}}} || || 금메달 || 2009 헤이렌베인 || 단체전 ||<-2> [[https://youtu.be/ILwkmmUhq6A?t=107|[[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금메달 || 2010 보르미오 || 단체전 || || 동메달 || 2008 하얼빈 || 단체전 || ||<-4>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width=25]] {{{#white 주니어 세계선수권}}} || || 은메달 || [[2005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2005 베오그라드]] || 1000m || || 동메달 || [[2005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2005 베오그라드]] || 종합 || || 동메달 || [[2005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2005 베오그라드]] || 1500m || || 3위 || [[2005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2005 베오그라드]] || 1500m S.F. || === 월드컵 성적 === ||<-5>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width=25]] {{{#white 월드컵 우승 기록}}} || || '''종합 우승''' ||[[2015-16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5-16 시즌]] || || 1000 m 1위 ||[[2011-12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1-12 시즌]], [[2012-13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2-13 시즌]] || || 1500 m 1위 ||[[2015-16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5-16 시즌]]|| ||<-5>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width=25]] {{{#white 월드컵 수상 기록}}} || || '''월드컵 랭킹''' || '''우승''' || '''{{{#white 2위}}}''' || '''{{{#white 3위}}}''' || '''포디움''' || || 종합 || '''1''' || {{{#white 1}}} || {{{#white 1}}} || '''3''' || || 500 m 랭킹 || '''0''' || {{{#white 1}}} || {{{#white 1}}} || '''2''' || || 1000 m 랭킹 || '''2''' || {{{#white 1}}} || {{{#white 0}}} || '''3''' || || 1500 m 랭킹 || '''1''' || {{{#white 0}}} || {{{#white 1}}} || '''2''' || || '''합계''' || '''4''' || {{{#white 3}}} || {{{#white 3}}} || '''10''' || ||<-5> || || '''월드컵 메달''' || '''금''' || '''{{{#white 은}}}''' || '''{{{#white 동}}}''' || '''포디움''' || || '''개인전 합계''' || '''15''' || {{{#white 14}}} || {{{#white 13}}} || '''42''' || || 계주 || 17 || {{{#white 7}}} || {{{#white 4}}} || 28 || || '''메달합계''' || '''32''' || {{{#white 21}}} || {{{#white 17}}} || '''70''' || ||<-5> || || '''랭킹 + 메달 합계''' || '''36''' || {{{#white 24}}} || {{{#white 20}}} || '''80''' || ---- == 활동 == === 영화 === * [[토이 솔져스: 가짜사나이2 더 컴플리트]][* 쇼트트랙 선수가 안 됐다면 영화배우가 되었을 것이라며 배우로써의 꿈도 있던 것으로 보인다. [[:파일:Screenshot_20220319-053255_NAVER.jpg|인터뷰 기사]]] === 드라마 === * [[좋좋소]] === 예능 === || '''방영일''' || '''방송사''' || '''제목''' || '''영상''' || '''비고''' || ||<-5> {{{-1 '''2010년'''}}} || || 3월 4일 || [[KBS|[[파일:KBS 로고(1984-2023).svg|width=40]]]] || [[아침마당]] || [[https://youtu.be/IRFkukTc3w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5> {{{-1 '''2015년'''}}} || || 5월 31일 || [[KBS|[[파일:KBS 로고(1984-2023).svg|width=40]]]] || [[출발 드림팀]] || [[https://youtu.be/m7-3GeB8MX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5> {{{-1 '''2018년'''}}} || || 3월 14일 || [[MBC|[[파일:MBC 로고.svg|width=40]]]] || [[라디오 스타(황금어장)|라디오 스타]] || [[https://www.youtube.com/watch?v=NB7dCQN3Km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with [[이상화(스피드 스케이팅)|이상화]], [[이승훈(스피드 스케이팅)|이승훈]], [[임효준]] || || 5월 7일 ||<|2> [[JTBC|[[파일:JTBC 로고.svg|width=40]]]] ||<|2> [[냉장고를 부탁해]] || [[https://youtu.be/PP-Vxe2G8q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2> with [[김아랑]] || || 5월 14일 || [[https://youtu.be/oD-JyQefKP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youtu.be/TU-R-qUm7s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9월 28일 ~ 10월 19일 ||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 [[정글의 법칙]] || || with [[이상화(스피드 스케이팅)|이상화]] || || 10월 27일 ~ 11월 17일 || [[JTBC|[[파일:JTBC 로고.svg|width=40]]]] || [[현지 패키지로 세계일주 - 뭉쳐야 뜬다 시즌2|뭉쳐야 뜬다2]] || [[https://youtu.be/y7GP8OocF9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 12월 11일 || [[MBC every1|[[파일:MBC every1 로고(2011-2022) 가로형.svg|width=40]]]] || [[비디오 스타]] || [[https://youtu.be/DfkrVrAirS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with [[라이언 방]], [[리아킴]], [[한현민]] || ||<-5> {{{-1 '''2019년'''}}} || || 2월 13일 ||<|2> [[MBC every1|[[파일:MBC every1 로고(2011-2022) 가로형.svg|width=40]]]] ||<|2> [[대한외국인]] ||<|2> ||<|2> || || 10월 16일 || || 10월 21일 ||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 [[동상이몽2]] || [[https://youtu.be/0bmACle_-_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with [[강남(가수)|강남]], [[이상화(스피드 스케이팅)|이상화]] || || 12월 1일 || [[MBC|[[파일:MBC 로고.svg|width=40]]]] ||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 [[https://youtu.be/ZeH_LZd5Aj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복면이름 꿀밤 || || 12월 8일 ~ 12월 15일 || [[JTBC|[[파일:JTBC 로고.svg|width=40]]]] || [[뭉쳐야 찬다 - 전설들의 조기축구|뭉쳐야 찬다]] || || 모태범 친구 || ||<-5> {{{-1 '''2020년'''}}} || || 1월 12일 || [[MBC every1|[[파일:MBC every1 로고(2011-2022) 가로형.svg|width=40]]]] || [[비디오 스타]] || [[https://youtu.be/DfkrVrAirS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with [[김요한(배구)|김요한]], [[이승준]], [[이대훈]], 홍순상 || || 1월 26일 ~ 2월 2일 ||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 [[집사부일체]] || [[https://youtu.be/RObvswiVqg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with [[김동현(1981)|김동현]], [[박세리]], [[조준호(유도)|조준호]], [[최병철]] || || 2월 13일 || [[tvN|[[파일:tvN 로고(2012-2021).svg|width=40]]]] || 핑거게임 || [[https://youtu.be/9XlQrLtU9f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youtu.be/-I6BW-ILJ5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with [[조준호(유도)|조준호]], [[최병철]] || || 3월 31일 || [[JTBC|[[파일:JTBC 로고.svg|width=40]]]] || [[정산회담]] || [[https://youtu.be/OsceJaqrtR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with [[김아랑]] || || 4월 2일 ||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 [[배성재의 텐]] || [[https://youtu.be/xShauMSB3X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with [[홍진호]], [[김아랑]] || || 6월 22일 || [[tvN|[[파일:tvN 로고(2012-2021).svg|width=40]]]] || 몸의 대화 || [[https://youtu.be/2ue8nh-1bW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5> {{{-1 '''2022년'''}}} || || 3월 1일 ||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 [[신발 벗고 돌싱포맨]] || [[https://youtu.be/8EBGZPBKcR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with [[박승희]], [[박장혁]] || ||<|2> 3월 2일 || [[tvN|[[파일:tvN 로고(2012-2021).svg|width=40]]]] || [[유 퀴즈 온 더 블럭]] || [[https://youtu.be/xZOPrrhhEY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동계올림픽 특집 || || [[MBC|[[파일:MBC 로고.svg|width=40]]]] || [[라디오 스타(황금어장)|라디오 스타]] || [[https://youtu.be/yuM8JiO4v0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with [[김동욱(쇼트트랙)|김동욱]], [[박장혁]], [[이준서(쇼트트랙)|이준서]], [[황대헌]] || || 3월 4일 || [[MBC|[[파일:MBC 로고.svg|width=40]]]] || [[나 혼자 산다]] || [[https://youtu.be/HtHE5jNp6l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youtu.be/aBbQ0rVRYL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with [[김아랑]] || || 3월 5일 || [[JTBC|[[파일:JTBC 로고.svg|width=40]]]] || [[아는 형님]] || [[https://youtu.be/PSvqYG12EU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with [[김아랑]], [[이유빈]] || || 3월 10일 ||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 [[써클 하우스]] || [[https://youtu.be/yGsla0XVHM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youtu.be/rqjHwH40IB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with [[이승훈(스피드 스케이팅)|이승훈]], [[이유빈]], [[정재원(스피드 스케이팅)|정재원]] || || 5월 7일 ~ 8월 8일 || [[tvN|[[파일:tvN 로고(2012-2021).svg|width=40]]]] || [[전설이 떴다 군대스리가]] || || MC || || 5월 12일 ||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 [[김영철의 파워FM]] || [[https://youtu.be/pWYO-OsOEN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보이는 라디오 full ver. || || 5월 12일 || [[파일:트위터 로고.svg|width=30]] || 트위터 블루룸 || [[https://twitter.com/TwitterKorea/status/1524689651008946177?t=3x3R1U8nZzCj7IT8Sd_PsQ&s=19|#]] || with [[황대헌]] || || 5월 28일 || [[쿠팡플레이|[[파일:쿠팡플레이 로고.svg|width=40]]]] || [[SNL 코리아]] || || 특별 게스트 || || 6월 7일 ~ 6월 14일 || [[MBC|[[파일:MBC 로고.svg|width=40]]]] || [[호적메이트]] || [[https://youtu.be/CjTSdJKIv-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youtu.be/SUo565Okkb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출연 || || 6월 19일 || [[MBC|[[파일:MBC 로고.svg|width=40]]]] || [[구해줘! 홈즈]] || [[https://youtu.be/h3fN3s137z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출연 || || 6월 28일 || [[왓챠|[[파일:왓챠 로고.svg|width=40]]]] || 지혜를 빼앗는 도깨비 || [[https://youtu.be/byPFlYljqG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with [[쯔양]], [[오킹]] || || 7월 15일 ~ 9월 16일 || [[파일:채널S 로고.svg|width=70]] [[파일:K STAR.png|width=40]] || [[나대지마 심장아]] || [[https://youtu.be/gJAScS0dgk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MC || || 7월 26일 ~ 8월2일 || [[MBC|[[파일:MBC 로고.svg|width=40]]]] || [[호적메이트]] || [[https://youtu.be/yLT8Sfihjq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youtu.be/ey6dxjBmiM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with [[황대헌]],[[조준호(유도)|조준호]], 조준현 || || 9월 15일~23년 1월 5일 || [[KBS joy|[[파일:KBS joy 로고.svg|width=40]]]] || [[내일은 천재]] || || 출연 || ||<-5> {{{-1 '''2023년'''}}} || || 2월 6일 ~ 2월13일 || [[MBC|[[파일:MBC 로고.svg|width=40]]]] || [[안싸우면 다행이야]] || [[https://youtu.be/73UGDCHOYf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youtu.be/EH_Gl-3vtO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youtu.be/j52BtcxMQv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with [[박세리]],[[박태환]],[[오상욱]] || || 4월 7일 || [[파일:채널S 로고.svg|width=70]] || [[다시 갈 지도]] || [[https://youtu.be/F9mS6fUtSD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youtu.be/vS6zrPYYPC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youtu.be/Ld2wMc9txC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출연 || || 4월 26일 || [[MBC|[[파일:MBC 로고.svg|width=40]]]] || [[라디오스타]] || [[https://youtu.be/6m38xh_GEV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youtu.be/FWYCfKNvZk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youtu.be/QgY5hxXU2i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youtu.be/lzwTPIwy20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youtu.be/sgjhMRJKk3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youtu.be/3r09AHCYSd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with [[최수종]],[[박영진]], 슈카([[슈카월드]]) || || 6월 5일 || [[MBC|[[파일:MBC 로고.svg|width=40]]]] || [[안싸우면 다행이야]] || [[https://youtu.be/r0M3kc-x5B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https://youtu.be/Ci7Qa0TR26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https://youtu.be/YDcLafpHE1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youtu.be/Fkq6MJU_vf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https://youtu.be/tQ5TxKoblk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https://youtu.be/8cJ_GfDjwT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youtu.be/_t0j1f5kmF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https://youtu.be/LyiCmowPZS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https://youtu.be/IPhcnZ-7mI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with [[박세리]],[[박태환]],[[허웅]] || || 6월 12일 || [[MBC|[[파일:MBC 로고.svg|width=40]]]] || [[두시의 데이트]] || [[https://www.youtube.com/live/HDVuwT-dV5E?feature=share&t=347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6월 13일 || [[MBC|[[파일:MBC 로고.svg|width=40]]]] || [[안싸우면 다행이야]] || [[https://youtu.be/AGvk9sHmMc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https://youtu.be/vcCyPi-9-p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youtu.be/ZcXCHmOe3e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https://youtu.be/ZcXCHmOe3e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with [[박세리]],[[박태환]],[[허웅]],[[김해준]] || === 유튜브 === ||<-2>
'''{{{+1 {{{#000000 꽉잡아윤기}}}}}}'''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꽉잡아윤기 프로필 20220214.jpg|width=100%]]}}} || || '''시작일''' ||2019년 8월 1일 || || ''' 구독자 수''' ||100만명[*기준 2023년 09월 17일] || || ''' 조회수''' ||291,461,352회[*기준] || || '''링크''' ||[[https://www.youtube.com/channel/UCKurJtf5TWo5nrq8nnuvrc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출연''' ||곽윤기|| || '''보유 크리에이터 어워즈''' ||[[파일:youtube silver_button_preview.png|width=50]] {{{#silver 실버 버튼}}}[br][[파일:youtube gold_button_preview.png|width=45]] {{{#gold 골드 버튼}}} [[https://youtu.be/J5ZIS0kCyN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업로드''' ||매주 금요일 저녁 9시[* 꽉잡아윤기 콘텐츠 중에 "꽉잡아윤기 대주주 김아랑님"이라는 주제로 올라온 영상에 5:06초에 보면 자막으로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거의 주 2~3회 정도 업로드하는 경우도 있다.~~ 최근에는 쇼츠 포함 주 2~3회 업로드 중이다.]|| || '''게스트''' ||[[김아랑]][* 꽉잡아윤기 대주주 및 비공식이사 / 쇼트트랙 여자 대한민국 국가대표 주장(2022~) / [[샌드박스]] 가 운영했던 개인 유튜브 채널 [[김아랑]]의 채널주. 2023년 5월 20일 계약이 종료되어 현재는 직접 운영하고 있다. / 꽉잡아윤기의 대부분의 영상이 김아랑 선수가 직접 등장하거나 목소리로 등장하는 경우가 많아, 채널 주인이 아니냐는 농담이 자자하다.]|| [[2019년]] 유튜브 채널을 개설하였고 쇼트트랙과 각종 비인기 스포츠를 다루는 주제의 영상을 주로 게시하고 있다. 본인을 언급할 때는 '스포츠텔러' 혹은 '쇼트트랙 연구가'라고 말한다. [[2020년]] [[7월 31일]] 채널 개설 1주년을 기념하여 이전 영상 등을 리뷰하면서 라이브 방송을 진행했다. [[가짜사나이/2기|가짜사나이 2기]]에 지원하여 합격했는데, 선수 경력이 오래되다 보니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시절에 신인이었던 곽윤기를 본 사람들이 가짜사나이에서 출연한 것을 보면서 "아직 현역이냐"며 놀라워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한편으로는 곽윤기가 밴쿠버 이후로는 올림픽에서의 활약이 두드러지지는 않았다보니, 밴쿠버 동계올림픽을 직접 보지 못한 세대의 경우 특별히 빙상 종목에 관심이 있는게 아닌 이상 유튜브나 TV 예능에 출연하는 곽윤기를 '스케이트 엄청 잘 타는 유튜버'[* 곽윤기도 "금메달 VS 구독자 100만 명"이라는 밸런스 게임에서 한치의 망설임도 없이 '''구독자 100만 명'''을 선택했다.] 정도로 생각한 케이스도 상당수 있었다. 물론 현직 국가대표인 만큼 녹슬지 않은 스케이팅 실력으로 모두의 놀라움을 자아냈다. [[2021년]] [[1월 22일]] 본인의 유튜브 채널을 통해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한민국 여자 팀추월 대표팀 논란|스피드 스케이팅 팀추월 종목]] 논란 때 불거진 [[김보름]]과 [[노선영]]의 공방에 대한 심경을 밝혔다.[* 이땐 이미 김보름이 노선영을 고소한 상태였다.] 하지만 이미 2018년 [[문화체육관광부|문체부]] 감사 결과에 의하면 김보름과 박지우가 노선영을 왕따시키며 주행한 적이 없다는 결과가 나왔음에도 지나치게 양비론적인 해석을 했다며 비판을 받았다.[* 영상에서 곽윤기는 노선영이 뒤쳐져서 달린 상황은 팀추월에서 나올 수 없는 장면이라고 말했는데, 정작 문화체육부 감사 보고서에는 동일한 사례들이 여러 개 나열되어 있다. 물론 노선영도 후배들을 감싸줘야 한다는 식으로 이야기했지만, 이미 김보름이 법정에 노선영의 폭행 및 폭언과 관련된 증언들을 여러 개를 제출한 상황이라 비난을 자초했다.] [[1월 25일]] 유튜브 커뮤니티에 사과문을 올렸고 영상은 삭제했다.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통해 그의 존재감이 또 다시 부각되면서 유튜브 채널도 그야말로 떡상하고 있다. 올림픽 개막 전인 2022년 2월 4일 기준 구독자 수가 17.1만 명이었던 것에 비해, 2022년 2월 17일 구독자 수가 '''100만 명'''을 달성하여 6배 가까이 상승했다. 올림픽 참가 중에는 매일 유튜브 콘텐츠를 올리며 물 들어올 때 노 젓는 모습을 보여준다. 본인이 직접 밝힌 베이징 동계올림픽 목표는 "역대 최초로 올림픽에서 메달을 딴 유튜버가 되는 것" 이라고 한다. 결국 12년 만에 계주에서 은메달을 따내며 목표 달성에 성공했다.[*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에서 '내뒤로다준서' 채널을 운영하는 [[이준서(쇼트트랙)|이준서]] 선수도 동시에 메달을 따게 되면서 역대 최초는 맞지만 단독은 아니게 되었다.][* [[톰 데일리]] 등 [[https://www.youtube.com/user/tvtomdaley|개인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는 올림픽 메달리스트는 많다. 그러나 어쨌든 곽윤기가 '''한국 국가대표 선수 중 최초'''라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 사실 메달리스트 출신 유튜버는 이미 한국에도 있지만, 유튜버가 된 이후 메달을 딴 케이스가 최초인 셈이다.] 이후 유튜브 영상을 통해 은퇴하는 무대가 될지도 모른다는 말도 했다. 선수 생활이 가능한 한 최대한 지속하고 싶다고 심경을 밝히기도 했다. 외국 선수들과도 친하게 지내는 모습이 나왔다. 특히 작년 월드컵 기간에는 세계적 신드롬을 일으켰던 [[오징어 게임]] 열풍을 활용해 네덜란드 쇼트트랙 선수들과 [[달고나|달고나 뽑기]]와 [[딱지치기]][* 1등한 선수에게 [[한복]]을 선물했다.] 게임을 하는 영상을 올리기도 했다. 국제대회 출전 기간이 아닐 때는 혼자 콘텐츠에 출연하거나 국가대표 쇼트트랙 선수들은 물론 타 종목의 운동선수들과도 함께 콘텐츠를 꾸민다. 이외에 주로 콘텐츠에 출연하는 이들은 소속팀인 [[고양시청]] 빙상단 선수들이며 가장 절친한 후배 중 1명인 [[김아랑]]이 영상 촬영을 도와주는 경우가 많다. 특히 김아랑의 출연 지분이 엄청나게 높아서 우스갯소리로 곽윤기 채널의 실질적 주인이 김아랑이고 김아랑 개인 채널의 고정 게스트 곽윤기가 아니냐는 농담도 있다. 시청자들이 우스갯소리로 채널명을 꽉잡아랑으로 바꾸라고 할 정도로 비중이 높다.[* --실제로 김아랑은 곽윤기처럼 개인 유튜브 채널이 없지만 소속사인 리코스포츠에이전시의 유튜브 채널을 통해 개인 콘텐츠 '기마랑티비'를 올리고 있다.-- 2022년 7월 7일 샌드박스 네트워크가 운영하는 개인 유튜브 채널을 개설 하였다.2023년 5월 20일 계약이 종료되어 현재는 직접 운영 중[* [[https://www.youtube.com/channel/UCqLpXUYCykYLInJycJ9W3rA|개인 유튜브]]]] 가끔 후배들에게 개인 카드를 쾌척하기도 하는데 이른바 "곽카 찬스"라고 불린다. 2022년 4월 1일 만우절에 유튜브 채널 사진과 배너가 김아랑 사진으로 바뀌었다. 배너에는 여기에 더해 '꽉잡아랑'으로 바뀌었다. 2022년 5월 4일에는 김아랑이 곽윤기의 카드를 쓰는 영상이 올라왔다. 2022년 [[메이저리그]]의 초청을 받아 아시아 대표로 [[https://www.spotv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13776|와일드카드 자격]]으로 [[홈런더비]] X에 참가했다.(7월 9일 런던/9월 17일 서울/10월15일 멕시코시티) [[https://youtu.be/D5jrzuCZWcA|관련영상(1)]] [[https://www.mlb.com/video/yoongy-kwak-s-great-catches|관련영상(2)]] === 광고 === || '''기업명''' || '''브랜드명''' || '''영상''' || '''비고''' || ||<-4> {{{-1 '''2021년'''}}} || || 일분충전 || 일분충전 || [[https://youtu.be/YlEbkssmxr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 ||<-4> {{{-1 '''2022년'''}}} || || [[(주)비에스비푸드]] || 치킨 인류 || [[https://www.instagram.com/p/CayZ5RFhiym|[[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https://youtu.be/vJSPHK61pM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 || [[제주맥주]] || 맥BTI || [[https://www.instagram.com/tv/Cbyuy4gBOH-|[[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 || [[아모레퍼시픽]] || [[에뛰드]] || [[https://youtu.be/Oup8cmCMTx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https://youtu.be/Oup8cmCMTx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 || [[동아오츠카]] || [[나랑드 사이다]] || [[https://youtu.be/B0rcQhzjgG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https://youtu.be/AW2qUl4jqt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with [[김아랑]] || || [[더벤티코리아]] || [[더벤티]] || [[https://www.instagram.com/p/CmnDmyZho92/?utm_source=ig_web_copy_link|[[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 || [[뉴퍼마켓]] || [[뉴퍼마켓]] || [[https://youtu.be/-qJ9FSC-tQ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https://youtu.be/_68SoPGWQx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 '곽윤기가 수돗물💧을 마시는 이유💙 믿고 마시는 수돗물 환경부가 함께합니다' 라는 환경부 공익광고에 출연한 바 있다. [[https://youtu.be/RMj0F7iIkDY|영상]] === 음원 === * Traveler - CHEEZE (치즈), 곽윤기 [[https://www.youtube.com/watch?v=4mquxoalXW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2022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서 곽윤기 선수의 모습에 감동을 받은 치즈가 직접 작사, 작곡한 음원을 곽윤기 선수에게 먼저 제안하며 성사된 만남이다.] * 밤이 깊었네 (Vocal. 곽윤기) - 이찬혁비디오 [[https://youtu.be/ivnoevkbJQQ?t=2273|[[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곽윤기/기타영상|기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곽윤기/기타영상)] == 사건 사고 == === [[승부조작]] 사건 연루 === 2010년 [[이정수(쇼트트랙)|이정수]]와 함께 승부조작 담합을 저질러서 자격정지 6개월과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 받은 상금들을 받지 못하는 [[http://m.koreatimes.com/article/20100910/615634.|징계]]를 받았다. 연이은 실격과 탈락으로 국가대표 승선이 불확실한 이정수와 코치 전재목의 부탁으로 어느정도 확정된 곽윤기는 올림픽 개인전 출전을 보장받고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이정수를 도왔다. 후에 약속한 올림픽 개인전 출전이 불발되고 대신 세계선수권 개인전에 출전했다. 이정수는 짬짜미는 없었다고 주장했지만 곽윤기를 비롯해 주변 동료들[* 그 중 [[성시백]]도 있었다.]의 증언과 영상 분석으로 짬짜미가 있었다고 결론이 났다. 다만 세계선수권 사건은 [[이정수(쇼트트랙)|이정수]]의 주장에 따르면 쇼트트랙팀 코치인 전재목의 [[https://m.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cp=nownews&id=20100408603070|강압]] 때문이라고 고백하였다. 대한체육회·문화관광부·대한빙상경기연맹이 함께 구성한 [[https://www.hani.co.kr/arti/622359.html|공동조사위원회]]는 2010년 4월 쇼트트랙 부문 최고 책임자인 유태욱 부회장을 비롯한 대한빙상경기연맹 집행부의 자진 사퇴 등을 건의했으며, 결국 빙상연맹 집행부 임원들은 사건의 책임을 지고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0/04/29/2010042900091.html|사퇴]]하였다. [[대한빙상경기연맹]]은 이정수의 주장을 받아들였으며, 2010년 5월 전재목에 대해서는 [[https://www.joongang.co.kr/article/4129682#home|영구제명]]이라는 처벌을 내렸다. 밴쿠버 올림픽의 총감독이었던 [[김기훈(쇼트트랙)|김기훈]]은 3년 자격정지, [[송재근]], 최광복은 1년의 자격정지 징계를 내렸다. 이정수와 곽윤기에게는 서로 엇갈리는 주장 등으로 선수 자격 3년 정지를 내렸다. 하지만, 그해 5월 말 국제올림픽위원회(IOC)로부터 날아온 전자우편 한 통으로 징계는 6개월로 내려가게 된다. IOC는 대한체육회에 짬짜미 내용과 밴쿠버 겨울올림픽의 연관성, 대한체육회의 입장 등을 물어왔다. 대한체육회와 대한빙상경기연맹은 발칵 뒤집혔다. 잘못하면 밴쿠버 올림픽에서 이정수·곽윤기가 올린 성적(금메달 2개, 은메달 2개)을 박탈당할 수도 있었기 때문이다. 더욱 심각한 것은 2018년 겨울올림픽 유치에도 영향을 받는 게 아닌가 하는 점이었다(당시는 평창 겨울올림픽을 유치하기 전이었다). 해결 방법은 이정수·곽윤기 선수가 이의신청을 하고, 두 선수의 징계를 대폭 경감해주는 것밖에 없었다. 두 선수는 대한체육회에 이의신청을 냈고, 대한체육회 법제상벌위원회는 기다렸다는 듯이 2010년 7월20일 두 선수의 자격정지를 3년에서 6개월로 [[https://www.hani.co.kr/arti/622359.html|경감했다.]][* 그러나 2010-11 시즌 선발전에 참가할 수 없었기에 사실상 1시즌 자격정지를 받은 셈이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곽윤기/선수 경력, 문단=4.5)] === [[여성시대발 곽윤기 악성 루머 유포 사건|여성시대발 악성 루머 유포 사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여성시대발 곽윤기 악성 루머 유포 사건)] == 여담 == * [[골 세리머니|세레모니]]를 굉장히 잘한다.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5000m 계주 메달 시상식 때 시상대에서 '''[[브라운아이드걸스]]의 [[Abracadabra(브라운아이드걸스)|아브라카다브라]] 춤을 추면서''' 세레머니를 했다.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에서는 5000m 계주 간이 시상식에서 '''[[방탄소년단|BTS]]의 [[Dynamite]] 춤을 추기도''' 했다.[* 이에 멤버 [[RM]]이 인스타그램에 '윤기님 다이너마이트 잘 봤습니다'라고 스토리에 올리는 한편 '우리 [[슈가(방탄소년단)|윤기 형]]도 잘 부탁드립니다'라고도 올렸다. 곽윤기는 이걸 보고 [[성덕|좋아서 자지러졌다.]]] 가끔 시상대에서 춤 춘 것이 아직 자신 뿐이라며 자신을 자랑스러워한다. 그러한 반면 [[https://youtu.be/z9zZNxiPRUo?t=222|인터뷰]]에서 "제가 사실 알고 보면 진지하고 깊은 면이 꽤 있거든요"라며 깝윤기에 대한 아쉬움을 이야기했다. ||
[[파일:external/pds.joins.com/htm_2010030109535860006010-001.jpg|width=100%]] || || [[파일:곽윤기 베이징 올림픽 세레모니_YouTube.jpg|width=100%]] || 귀국했을 때 본인 왈 "아무래도 타 종목에서도 많이 따고 했다보니 즉석으로 제의해서 했던 이벤트이기도 하고 무엇보다 '''저를 알리고 싶어서''' 하기도 했어요" 이라고 했다. 이 사건으로 깝윤기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 이후 네티즌들에 의해 본인의 [[싸이월드]] 미니홈피에 올려진 많은 움짤들이 발견되면서 더 [[http://minihp.cyworld.com/pims/main/pims_main.asp?tid=60428228|유명세]]를 탔다. 단시간에 방명록 수가 12,000명을 돌파했다. 그리고 [[http://entertain.naver.com/read?oid=215&aid=0000611444|매의 눈 타이틀]]을 거며쥘 수 있을지도 모른다. * 2007년 11월에 일본 [[간사이 국제공항]]에서 [[샤니 데이비스]]와 딱밤 대결을 영상으로 촬영한적이 있는데,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때 곽윤기의 인지도가 급상승하는 바람에 영상이 재발굴 되어 큰 화제가 됐었다. * 아이스링크 곳곳에 있는 TV 카메라를 귀신같이 잘 찾는다. 특히 골인 직후 자신을 원샷으로 잡아주는 카메라를 찾아내서 강렬하게 세레모니를 하는 모습은 압권이다. * 밴쿠버 동계올림픽 때 사진을 보면 헤어스타일이 '''심히 독특했다.''' 윗 사진에서 보여진 대로 오른쪽으로 머리를 전부 넘겼으며 거기에 파마+'''붉은색 염색'''까지 해서 이건 뭥미 수준으로 보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너무 잘 어울리는 탓에 '''한국에서 가장 디올한 남자'''라는 타이틀로 불리기도 했다. 하지만 곽윤기의 큰아버지는 그 머리카락에 [[http://todaythink.tistory.com/12299|불만]]이 많았다. * 밴쿠버에서 귀국한 후 인터뷰에서 헤어스타일 역시 '''저를 알리고 싶어서''' 한 것이라는 발언을 하였다. 이로서 [[조권]]과 같은 과라는 것이 만천하에 드러났는데 2010년 3월 7일 국가대표 선수들을 격려하기 위해 마련된 방송에서 [[2AM]]과 같이 이 노래를 불렀는데 (쇼트트랙 남자 선수들이 다 올라갔다.) '''조권이랑 호노보노 러브러브'''를 연출하여 충격을 주었다. ||
[[파일:/listimglink/6/2010030719124236404_1.jpg|width=100%]] ||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는 장발에 '''핑크색 염색'''이라는 독특한 헤어 스타일로 출전했다. 심지어 개막식 기수로 나서서 절친한 후배 [[김아랑]]과 깨방정 입장 세레모니를 했다. 그러나 현재는 흑발로 돌아오고 짧게 깎았다. * 6살 어린 [[김아랑|같은 소속팀 후배]]에게 맥을 못 추는 경향이 있다. 유튜브 채널에도 종종 함께 등장하는데, 대부분 후배가 선배를 놀리는 대목이 많다.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이후 꽉잡아윤기 커뮤니티란에 'ㅎㅎ이거 아직도 약속 안지킨거 알죠? -'라고 보낸 카톡이 올라왔으며, 본격적으로 후배가 선배의 지갑을 탈탈 터는 컨텐츠가 올라올 것이 예고되었다.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당시 인터뷰에서 편파적인 판정에 대한 일침을 날려 중국 네티즌에게 대대적인 [[https://n.news.naver.com/article/005/0001503226|악플 세례]]를 받았다. 본인은 [[극찬#s-1.1|응원]] 받는 중이라며 비꼬았다. 또한 쇼트트랙 남녀 혼성 계주의 중국 편파 판정 논란에 비난을 했다. 현지에서의 비난은 계속되었지만 한국 반응은 좋을 수밖에 없었다. * 올림픽에 출전할 때마다 화제를 불러 모으지만, 특히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는 개회식 기수를 맡아 입장할 때부터 눈에 띄는 모습에 화제를 모았다.[* 심지어 [[대한민국]]과 앙숙인 [[중국]]에서도 꽤 화제를 모았는지 [[웨이보]] 실시간 검색어 순위에 “한국기수 분홍머리(韩国旗手 粉发)”가 오르기도 했다.] 경기 중 뒷 선수를 확인할 때 고개를 좌 혹은 우로 보는 것이 아닌 가랑이 사이로 확인하는 모습에 많은 밈이 생겨났다. [[https://twitter.com/sob_od/status/1492112536220569603?t=T6OS1bPhyYgIe47m6VzKuw&s=19|트위터]]에서 어떤 유저가 이를 그림으로 <곽윤기 뒷선수 시점>이라는 글과 함께 그려 올렸고, 해당 글이 4만 개 이상의 리트윗을 받아 화제가 되었다. 이후 [[인스타그램]]으로 퍼져 인스타에서 다시 화제가 되자 뉴스나 TV 프로에도 이 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본인도 이 짤을 보고 황대헌에게 영상 촬영을 부탁해 [[https://youtube.com/shorts/s9x2910WGSA?feature=share|재연 영상]]을 찍었고, [[https://youtu.be/Aeh6gc90uXQ|인터뷰]]도 했다. 이 여파로 유튜브 채널에도 관심이 쏠렸고 2년 넘게 꾸준히 올린 영상과 재밌는 컨텐츠 덕에 구독자 수가 급증했다. 그리고 대회 이후 이 짤의 [[https://youtu.be/V0G5Xmdgrec|원작자]]를 찾았는데 초등학생이었다. * 본인의 트레이드 마크인 보조개가 스케이트 날에 찍힌 자국이 흉터로 남은 것이라고 [[라디오 스타(황금어장)|라디오스타]]에서 밝혔다. * [[김필]]의 'Fly To Your Dream' 곡에 코러스로 참여했다.[* [[한국교육방송공사|EBS]] '청소년소통프로젝트 경청' [[2018년]] [[3월 25일]] 방송에서 본인이 직접 밝혔다.] *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231~240회#s-1|116차 경연]]에 '가왕 오늘 나한테 꿀밤각! 꿀밤'이라는 닉네임으로 출연했다.[* 과거 [[라디오 스타(황금어장)|라디오 스타]]에서 뽐냈던 곽윤기의 다소 부족한 노래 실력을 직관했던 김구라가 놀랄 정도로 그가 긴장한 탓에 빨라진 박자를 제외하면 이전보다 향상된 노래 실력을 뽐냈다.] * [[웜톤]]이라고 본인이 알고 있었지만, 결국 [[https://youtu.be/Dz36vpKDRYg|겨울 쿨톤]]임을 알게 되었다. 팬들은 강경 쿨톤이라 주장한다.[* 겨울 스트롱~다크톤으로 주로 추정되었으며 가을 뮤트라고 추측되는 경우도 가끔 있었다. ] 이전에 초록색 머리에 노란색 패딩을 입었을때 매우 심한 톤그로 효과로 간 수치가 정상이냐, 상자 가장 아래쪽에 있는 썩은 귤 같다는 등의 댓글을 받았다. 이를 계기로 곽윤기는 비공식 퍼스널컬러 전도사가 되었다. [* 종종 인터넷 곳곳 퍼스널컬러 관련 게시물들을 보면 곽윤기 선수 사진이 맨 앞에 보이곤 한다.] ~~얼굴도 염색하셨어요?~~국가대표 옷을 입었을때 가장 잘 어울리는 모습을 보고 국대톤이라고도 한다. * [[조재범]] 前 쇼트트랙 국가대표팀 코치가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6952041|폭로]]한 내용에 의하면 [[전명규]] 교수가 싫어한 남자 선수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다. 고양시청 소속 곽윤기가 개인전에 출전하는 걸 매우 싫어해 티 나지 않게 여자 선수 경기까지 압박하면서 월드컵 개인전 출전을 막았다.[* 고양시청은 전명규 손이 닿지 않는 비전명규 라인이며, 김아랑은 한국체육대학교 출신이지만 고양시청으로 가서 배신자 취급을 받았고, 임효준도 집중관리를 받았던 전명규 라인이었지만 고양시청으로 갔다.] * 서울 출신이라 그런지 요즘은 많이 사라진 [[서울 방언]]을 구사하는데, 대표적으로 '삼춘', '챙피', '같애' 등의 어휘를 사용한다. 특히 [[2010년]] 이전에 본인이 인터뷰하는 장면 등을 보면 지금보다 더 서울 방언에 가깝다. 2010년에 연세교육방송에서 업로드한 [[https://youtu.be/Aeo7qIAuBW0|다큐 영상]][* 꽉잡아윤기 채널에서 그의 영상 소스로 많이 쓰인다.]에서는 그의 인터뷰 장면이 나오는데, “~구요”, “~했는데요/~했거등요?” 등의 어휘 구사나 억양에서 서울 방언이 더 잘 드러난다. [* 참고로, 이 영상 인터뷰에는 같은 서울 출신 성수인 [[성시백]]과 [[이정수(쇼트트랙)|이정수]]도 서울 방언을 구사하는 모습이 나온다.] 나이에 비해서도 서울 말씨가 많이 남아 있는 편이다. * 대회 시 발급 받는 ID카드에 들어간 사진들을 엽기적인 표정으로 찍는게 특징인데, 다른 나라 선수를 향한 기선 제압이라고 밝혔다. [[https://youtu.be/um5Adw5NFPQ|해당 영상]]에서 추가로 고등학교 졸업사진도 나왔는데 심히 비범하다. * 역대 대한민국 동계올림픽 남자 쇼트트랙 계주 종목에서 획득한 5개의 메달([[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 금메달,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 은메달,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 금메달,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은메달,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은메달) 중 2개(밴쿠버 대회와 베이징 대회의 은메달)는 곽윤기가 팀의 일원으로서 획득했다. 공교롭게도 쇼트트랙 남자 계주 초대(初代) 금메달 멤버 중 한 명인 [[모지수]]는 곽윤기의 스승으로 현 소속팀인 고양시청 빙상단의 감독이기도 하다. * 롤을 하는데 티어는 골드고 샤코 유저다. * 꽉잡아윤기 멤버십 전용 영상에서 [[이준서(쇼트트랙)|이준서]], [[한승수(쇼트트랙)|한승수]], [[황대헌]]과 함께 반민초파라고 밝혔다. * 2022년 MAMA AWARDS에 시상자로 참석했다. [[https://www.starnewskorea.com/stview.php?no=2022112920453265938|#]] 일본에서 체류하는 동안 [[임영웅]]과 함께 한국 축구팀을 응원했다.[[https://topstar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793202|#]] * 쇼트트랙계 대표 짠돌이로 유명하며 더치페이를 매우 중요시 한다. 그 행적이 가히 놀라울 정도인데 김아랑이 라디오 스타에서 밝히기를 커피캡슐 500원, 에너지바 한입에 300원, 동승 시 무조건 기름값 더치페이,[* 옆에서 듣던 박장혁이 이 정도일 줄 몰랐다고...] 아는 형님에서 밝히기를 햄버거는 단품시키고 세트 시킨 사람에게 감자튀김을 얻어먹고, 호적매이트에서는 황대헌과 밥사기 내기에서 이겨서 사준다고 데려간 곳이 분식집(...)이고 이때 밝혀진 바로는 예전에 황대헌이 고등학생 때 처음 곽윤기와 방을 쓰면서 스타벅스에 같이 가자고 해서 사주는 줄 알고 가서 아이스 아메리카노를 시켰는데 더치페이 하자며 4500원 달라고 했다고...[* 같이 갔던 조준호, 조준현 역시 독하다며 혀를 내두르고 패널들은 웃기려는 거 아니냐고 했다.] * 추후 라디오스타에 출연하여 부모님의 집을 마련해 드리고, 여동생의 결혼 비용을 다 해줬다고 밝혔다. 아껴서 가족들에게 아낌없이 쓴다고 한다. 앞으로 자신의 집을 마련하는것이 새로운 목표라고 한다. [[https://www.news1.kr/articles/?5028826|#]][* 물론 [[시스터 콤플렉스|시스콘]]이라고 할 수준은 아니고 단순히 가족애가 남다른 것일 뿐이다. [[호적메이트]] 출연 시에 진짜배기 시스콘들인 [[윤지성]]이나 [[최성민]]을 보고는 [[그런 거는 우리한테는 있을 수가 없어|그야말로 기겁을 했다(...)]].] * MBTI는 [[ISTJ]][* [[ISTP]] → [[ISFJ]] → [[ISTJ]] 순.]이다. 친화력이 매우 좋고 밝은 성격에 다들 E가 아니냐고 평하지만, 항상 검사할 때마다 I가 나오곤 한다. 실제로 예전엔 매우 내성적이고 조용한 성격이었으나, 세계 대회를 여러 번 출전하고 나서부터 조금씩 성격이 바뀌었다고 한다. * 롤 프로팀 [[BRION]]의 홍보대사로 활동중인 것으로 보인다. * 여자친구 출신 [[유주]]와 친하여 서로 영상에 출연하고 있다. 유주의 연습실로 찾아가 여자친구 춤을 추는 영상을 2023년에 꽉잡아 윤기에 올렸는데, 심지어 여고 교복까지 갖춰 입고 춘다.[[ https://youtu.be/QIw_5FP7b3o?si=yg9NyCHEDpbD8WwT]] 그리고 한 달 후에는 유주가 아이스링크로 찾아가 스케이팅을 배우는 영상이 올라왔다. 그날 같이 찍은 영상에서 지나가던 학생이유주를 보고 [[김아랑|아랑 언니]]다! 라고 하는 건 덤. 23년 9월 유주의 [[따라랏]] 싱글 발매 때도 챌린지에 참여했다. (김아랑도 따라랏 챌린지에 참여했다.) * 2023년 7월 중하순 경 쯤 머리를 다시 검은색으로 염색하고 짧게 깎았는데, 이는 [[2026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올림픽]]에 출전할 각오로 깎았다고 한다.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청주 곽씨]][[분류:1989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가톨릭 신자]][[분류:목일중학교 출신]][[분류:신목고등학교 출신]][[분류:연세대학교 출신]][[분류:병역특례자/쇼트트랙]][[분류:운동선수 출신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유튜버]][[분류:운동선수 출신 유튜버]][[분류:골드 플레이 버튼 수상자]][[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쇼트트랙 메달리스트]][[분류: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메달리스트]][[분류:2018 평창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참가 선수]][[분류: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메달리스트]][[분류:가짜사나이/교육생]][[분류:인터넷 밈/운동선수/대한민국]][[분류:브리온컴퍼니 소속 운동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