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곽빈/선수 경력)] [목차] == 개요 == [[곽빈]]의 국가대표 활약상을 서술하는 문서. == 연도별 대회 == === [[WBSC U-18 야구 월드컵]] === [[대한민국 U-18 야구 국가대표팀/2017|U-18 청소년 야구 월드컵]]에 출전, 에이스로 활약했다. 캐나다 전에서 [[선발 투수]]로 출전해 6이닝 4피안타 4실점 9K를 기록하며 부진했으나 타선의 도움으로 1승을 기록했다. 니카라과와 이탈리아 전에서는 [[지명타자]]로 출전해 니카라과 전에서는 2타수 2타점 1득점, 이태리 전에서는 3타수 1안타를 기록했다. [kakaotv(376988584)] 대회 최강팀으로 꼽힌 미국 U-18 대표팀과의 경기에서 유신고 [[이성열(야구감독)|이성열]] 감독이 곽빈을 선발투수로 등판시켰고, 8⅓이닝 5피안타 2실점 9K를 기록했으나 경기는 졌다. 경기 내용을 이렇게만 보면 좋은 피칭을 한 것으로 보이지만, 이 날 경기에서 곽빈은 무려 '''144구'''를 던지는 엄청난 혹사를 당했다. 그리고 이 혹사 기용은 [[http://m.sport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109&aid=0003615088|큰 논란을 낳았다.]] 곽빈은 김경섭 배명고 감독이 프로에서 꼭 성공해야 하는 선수라며, 팀의 에이스임에도 철저히 이닝과 투구 수를 관리했다. 이미 팔꿈치 수술 경력이 있었고, 그로 인해 감독이 2학년 때까지는 타자로만 뛰게 했다. 이는 팀의 성적마저도 뒤로 제쳐두고 선수의 장래만을 위한 결정이었고[* 배명고에는 확실한 에이스 투수가 없었음에도, 김 감독은 어떻게든 팀을 꾸려나갔다. 실제로 청룡기 4강전에서 결승 진출에 실패하면서도 김 감독은 곽빈을 투수로 내보내지 않았는데, 이는 일본 고교야구 하나마키히가시고교에서의 [[오타니 쇼헤이]] 운용과도 비슷하다. 혹사가 여전히 문제가 되는 한국과 일본의 고교야구가 배워야 할 부분.], 투수로 준비하면서도 통증이 조금이라도 있으면 공을 아예 못 잡게 할 정도로 관리를 해 준 선수였다. 또한 이 경기는 승패와 상관없는 슈퍼라운드 경기였고, 정작 제일 중요한 결승전에서 가장 컨디션이 좋던 투수를 못 쓰게 되는 결과마저 낳았다. 미국 팀의 타선을 제대로 막은 투수가 이 날 선발 투수였던 곽빈과 결승전 막판에 나온 [[양창섭]] 단 둘이었다는 점을 생각해본다면 대회 결과에도 좋지 않은 상황을 만든 것이다. 특히 [[대한민국 U-18 야구 국가대표팀|청소년 대표팀]]에서의 혹사로 인해 [[성영훈]], [[한주성]], [[이영하(야구선수)|이영하]]까지 1차 지명자 3명이나 수술대에 오르는 경험을 한 두산 팀과 팬들에게는 다시는 보고 싶지 않았던 악몽이 떠오르는 순간이었다. 두산 팬들 사이에서는 1차지명의 저주라고 까지 불릴 정도였으니 곽빈의 이 날 투구 역시 두산 팬들에게는 걱정만을 안긴 투구로 남았다. 또한 이 날에 대해서 프런트 관계자[* 고위 관계자 중 성격이라던가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doosanbears_new&no=9687992|이런 모습 등을 볼 때]] [[김태룡(1959)|김태룡]] 단장으로 추정된다.]는 TV를 깨부숴버리고 싶었다고 기사에 언급하기까지 했다. 그리고 '''다음 날''' 열린 [[한일전]]에서 4번 [[지명타자]]로 선발 출전, 선취타점을 기록하며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 전날 144구나 던진 선수를 바로 다음 날에 선발 출장시키면서 그에 따른 혹사 논란은 끊이지 않았다. ===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곽빈 2023 WBC.jpg|width=100%]]}}} || ||<-1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FFFF 5%, #1E2776 10%, #A01E20 25%, #00022e 25%)"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로고 2.svg|width=7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022e 75%, #A01E20 75%, #1E2776 90%, #FFFFFF 95%)" }}} || || 경기 || 선발 || 이닝 || 방어율 || 승 || 패 || 홀드 || 세이브 || 피안타 || 실점 || 자책점 || 4구 || 삼진 || 상세 || || 2 || - || 2 || 13.50 || - || - || - || - || 4 || 3 || 3 || 0 || 3 || - || 2023년 1월 4일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한국대표팀 최종명단에 포함되면서 커리어 처음으로 국가대표에 발탁됐다[* 청소년 대표팀 제외]. 등번호는 '''61번'''을 배정받았다. 3월 6일 [[오릭스 버팔로즈]]와의 연습경기 4회에 출장해 엄청난 구위를 보여주며 1이닝 1볼넷 1삼진 무실점으로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3월 10일 일본과의 1라운드 2차전, 5:3으로 지고 있는 5회말 [[원태인]]의 뒤를 이어 등판했다. 그러나 선두 타자 [[오타니 쇼헤이]]에게 2루타를 허용했고, [[무라카미 무네타카]]는 2루수 땅볼로 처리했지만 [[요시다 마사타카]]에게 희생플라이를 내주며 실점을 하고 말았다. 이후 [[오카모토 카즈마]]에게 안타를 허용하고 [[정철원]]과 교체됐다. 최종 성적은 ⅔이닝 2피안타 1실점. 3월 12일 체코와의 1라운드 3차전, 6:0으로 앞선 5회초 2사 2루 상황에서 선발 투수 [[박세웅]]의 뒤를 이어 등판했다. 6회까지 깔끔하게 투구를 이어가다 7회초 연속 안타를 맞고 [[정철원]]과 교체됐다. 이후 올라온 정철원이 승계주자를 모두 불러들이면서 최종 성적은 1⅓이닝 2피안타 3K 2실점을 기록했다. 결론적으로 첫 성인 대표팀에서 기대만큼의 모습은 보이지 못하며 아쉽게 WBC를 마감하게 되었다.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G곽빈.jpg|width=100%]]}}} || ||<-1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F 5%, #1E2776 10%, #A01E20 25%, #00022e 25%)"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로고 2.svg|width=7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022e 75%, #A01E20 75%, #1E2776 90%, #FFF 95%)" }}} || || '''경기''' || '''선발''' || '''이닝''' || '''승''' || '''패''' || '''홀드''' || '''세이브''' || '''피안타''' || '''피홈런''' || '''실점''' || '''자책점''' || '''탈삼진''' || '''사사구''' || '''ERA''' || '''투구수''' ||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00 || 0 || ---- [[두산 베어스]]의 유일한 소속으로 대회에 참가하며 등번호는 소속팀과 동일한 47번이다. 대회 전 [[문동주]]와 함께 대표팀의 원투펀치로 낙점되었다. 9월 26일 [[상무 피닉스 야구단|상무]]와의 연습경기에서 대표팀의 선발로 등판, 3이닝 3피안타 1사사구 1탈삼진 무실점의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당초 대만전 선발 등판 후보였으나 등 담 증세로 결장하였으며, 이후 슈퍼라운드 일본과의 경기에 등판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회복이 더딘 탓인지 이 역시 결장하였다. 다만 류중일 감독은 상태가 많이 호전되었다면서 중국전 등판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중국전 [[원태인]]의 뒤를 이어 나올 예정이었지만 점수차가 많이 벌어지며 등판하지 않았다. 결승전에서도 불펜에 대기는 했었으나, [[문동주]]가 6이닝 무실점 인생투를 펼치면서 등판을 할 일이 없어졌고 이후 접전 상황에 [[최지민]]-[[박영현]]-[[고우석]]으로 이어지는 필승조가 경기를 틀어막으며 등판 없이 아시안게임을 마무리했다.[* 실제로 2회부터 불펜에서 몸을 풀었다고 한다. 어떻게든 등판하고자 진통제, 링거, 주사치료에 침술까지 받아 부상은 회복했으나 이제 부상에서 막 복귀한 선발 투수 요원을 결승전 접전 상황에서 올리기엔 너무나 리스크가 큰 상황이었다.] 불의의 부상으로 WBC에서의 아쉬움을 털어내진 못했지만 그래도 금메달을 획득, [[예술체육요원]][* 기존에는 병역혜택이 있는 대회에 엔트리에 들어도 출전하지 못 하면 병역혜택을 누릴 수 없었으나, 2020년 6월 30일 해당 조항이 폐지됨에 따라 엔트리에만 들어도 병역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되었다.]으로 병역을 해결하게 되었다.[* 본인도 이에 대한 미안함이 컸는지, 본인의 SNS에 '''"너무 죄송하고 감사합니다."'''라는 코멘트를 남겼다.] 대회가 종료된 이후 [[https://youtu.be/tVfNNtEd1E4?si=7vubwjDeWK1HKdmI&t=160|류지현 코치가 밝힌 바에 따르면]], [[곽빈]]은 홍콩전에, [[문동주]]는 대만전에 선발 투수로 등판할 예정이었다고 한다. 부상이 없었더라면 첫 경기 홍콩전과 결승행을 구분짓는 슈퍼라운드 2차전[* 당초 상대는 일본이 유력했으나 중국이 조별라운드에서 일본을 꺾는 이변이 일어나며 실제로는 중국과 맞붙었다.]에 등판했을 듯하다. === [[2023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PBC곽빈.jpg|width=100%]]}}} || ||<-1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F 5%, #1E2776 10%, #A01E20 25%, #00022e 25%)"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로고 2.svg|width=7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022e 75%, #A01E20 75%, #1E2776 90%, #FFF 95%)" }}} || || '''경기''' || '''선발''' || '''이닝''' || '''승''' || '''패''' || '''홀드''' || '''세이브''' || '''피안타''' || '''피홈런''' || '''실점''' || '''자책점''' || '''탈삼진''' || '''사사구''' || '''ERA''' || '''투구수''' || || 1 || 1 || 5.0 || 0 || 0 || 0 || 0 || 5 || 1 || 1 || 1 || 6 || 3 || 1.80 || 88 || ---- 11월 19일 일본과의 결승전에 선발 등판한다. 상대할 투수는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투수 [[이마이 타츠야]]. 결승 일본전 최종 기록은 5이닝 1실점으로 지난 WBC와 항저우AG의 아쉬움을 털어냈다. 매 이닝 주자가 득점권에 쌓이며 위기를 자초했으나 적절한 완급조절을 통해 매번 위기를 탈출했다. 유일한 흠이라면 [[마키 슈고]]에게 추격의 솔로 홈런을 허용한 점. 팀은 연장 10회까지 가는 혈투 끝에 4-3으로 아쉽게 패배. [[분류:야구선수/커리어]]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곽빈/선수 경력, version=43, paragraph=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