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진서)] [목차] == 개요 == 郭琦 생몰년도 미상 [[서진]] 시기의 은사. 자는 공위(公偉). 병주 태원군(太原郡) 진양현(晉陽縣) 출신. == 생애 == 곽기는 어릴 적부터 성정이 올곧고 정직하였으며 도량이 깊었다. 그는 학문을 널리 익혔는데, 그 중 [[오행]]에 특히 뛰어나 《천문지(天文志)》, 《오행전(五行傳)》을 저술하였다. 또, 《[[춘추]]》와 《[[주역]]》에도 조예가 깊어, 《곡량전(穀梁傳)》에 주석을 달고, 《양씨역(京氏易)》 100권을 집필하니, 마을 사람, 왕족 할 거 없이 모두 곽기로부터 배움을 받으려 하였다. 무제 [[사마염]]이 곽기를 좌저작랑으로 삼고자, 그의 친족인 상서 곽창(郭彰)에게 곽기에 대해 물었다. 하지만 본디 곽기를 증오하던 곽창은 모른다는 대답만 할 뿐이었다. 이에 무제 사마염이 말했다. > "만약 경의 말대로라면 [[오환족]]의 애송이도 능히 경의 일을 할 수 있을 것이니, 즉시 곽기를 불러 낭(郎)에 임명해야겠소." 그리고는 곧바로 곽기를 좌저작랑에 임명하였다. 이후 무제 사마염이 붕어하자 사직하였다. 영녕 원년(301년) 정월, 정변으로 정권을 잡은 조왕 [[사마륜]]이 마침내 혜제 [[사마충]]을 위협하여 인수와 인새를 강탈하고, 갑사들을 거느리고 궁으로 들어가 황제로 즉위하였다. 사마륜은 곽기를 쓰려 했으나, 곽기는 > "나는 이미 무제의 관리가 되었으니, 더이상 이승의 관리로 복직할 수 없소." 라며 거절하고, 평생 집에 머물다가 생을 마쳤다. [[분류:서진의 인물]][[분류:몰년 미상]][[분류:타이위안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