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래에 적힌 두 개의 단어 목록에서,[br]단어가 적힌 색상을 위에서부터 아래로[br]각각 최대한 빨리 읽어 주세요.[* 즉 왼쪽 6개의 폰트 색상을 먼저 위에서 아래로 읽고, 그 다음에 오른쪽 6개의 폰트 색상을 위에서 아래로 읽을 것. 글자를 읽는 게 아니라 그 글자의 색상을 읽어줘야 한다.][br][br]'''{{{+3 {{{#orange 주황}}}}}}'''     '''{{{+3 {{{#red 파랑}}}}}}'''[br]'''{{{+3 {{{#red 빨강}}}}}}'''     '''{{{+3 {{{#orange 초록}}}}}}'''[br]'''{{{+3 {{{#blue 파랑}}}}}}'''     '''{{{+3 {{{#green 주황}}}}}}'''[br]'''{{{+3 {{{#green 초록}}}}}}'''     '''{{{+3 {{{#blue 초록}}}}}}'''[br]'''{{{+3 {{{#orange 주황}}}}}}'''     '''{{{+3 {{{#red 파랑}}}}}}'''[br]'''{{{+3 {{{#blue 파랑}}}}}}'''     '''{{{+3 {{{#green 빨강}}}}}}''' || || ▲ 대표적인 [[심리학]] 과제 중 하나,[br]스트루프 과제(Stroop task).[br]오른쪽의 수행이 왼쪽보다 힘들다. || [clearfix] Task 피실험자가 심리학 실험에 참여했을 때 연구자가 피실험자에게 "이거 해 보세요, 저거 해 보세요." 하면서 시키는 오만가지 것들. [[질문지법|무슨 설문지 같은 걸 작성하라고 시키는 것]]이나 [[면접법|이야기를 들려 달라고 부탁하는 것]]과는 다르다. 특히 [[인지과학]]이나 [[신경과학]] 쪽에서는 얼굴을 고정시킨 후 모니터에 떴다가 사라지는 점을 눈으로 쫓아다니라거나 뭐 그런 이상한 요구를 하기도 한다. 순순히 따라주자. 기억심리학 쪽에서는 "네 자리 숫자가 모니터에 뜰 겁니다. 각 자리마다 1씩 계속 더해 가세요"[* 예콴데 1483이 뜨면 참가자는 그걸 보자마자 머릿속으로 계속 2594, 3605, 4716, ... 하면서 암산해야 한다.]나 "세 자리 숫자가 모니터에 뜰 겁니다. 그만하라고 할 때까지 쉬지 말고 계속해서 3씩 빼세요"[* 예컨대 857이 뜨면 참가자는 그걸 보자마자 머릿속으로 854, 851, 848, 845, 842, ... 하면서 암산해야 한다.] 같은 걸 시키기도 한다. 이는 작업기억(working memory)이라고 부르는 개념을 연구하기 위해 시키는 것. 물론 [[수학]]시험이 아니므로 [[알 게 뭐야|이 연산이 틀렸는지 아닌지 자체는 아무도 확인하지 않는다.]] 그러나 간혹 이걸 시키면서 '''그와 동시에''' 눈으로 점을 쫓아다니라고 하는 극악한 과제를 시켜서 여러분을 정신없게 만들기도 하는데, 이 경우 연구의 목적은 바로 그 정신없는 상황 중에 벌어지는 일을 알고 싶은 것.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라면, version=175)] [[분류:심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