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판 명칭'''||<:>'''Liliana, Dreadhorde General'''||<|9> [[파일:Liliana, Dreadhorde General.png]]|| ||<:>'''한글판 명칭'''||<:>'''공포군단 장군, 릴리아나'''|| ||<:>'''마나비용'''||<:><#000>{{{#fff {4}{B}{B}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전설적 [[플레인즈워커]] — [[릴리아나 베스|릴리아나]]|| ||<-2><:>당신이 조종하는 생물 한 개가 죽을 때마다, 카드 한 장을 뽑는다.|| ||<-2><:> +1: 2/2 흑색 좀비 생물 토큰 한 개를 만든다.|| ||<-2><:> -4: 각 플레이어는 생물 두 개를 희생한다.|| ||<-2><:> -9: 각 상대는 자신이 조종하는 지속물 유형마다 지속물을 한 개씩 선택하고 나머지를 희생한다.|| ||<:>'''충성도'''||<:>6|| ||||<:>'''[[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희귀도'''|| ||||<:>[[플레인즈워커 전쟁]]||<:>미식레어|| [목차] == 개요 == [[플레인즈워커 전쟁]]의 주역으로 등장한 새로운 [[릴리아나 베스|릴리아나]]. 플레인즈워커 전쟁에서 가장 먼저 공개된 카드들 중 하나로, 볼라스의 수하로서 좀비 군단을 이끄는 때의 모습이다. [[니콜 볼라스]]와의 계약에 묶여 자포자기하는 심정으로 영생자 군단을 조종하면서 볼라스의 라브니카 침략을 돕게 되지만, 트레일러에서 묘사되듯 [[폭군의 멸시|최후의 일격마저 간단히 무시당하고 추락한]] [[흑검을 든 기디온|기디온]]을 앞에 두고 ~~통수의 상징답게~~ 자신의 목숨을 내던지고 볼라스를 배신, 영생자를 조종해 니콜 볼라스를 공격한다. 이렇게 [[배신의 대가|죽음을 각오한]] 릴리아나였지만 결국 [[기디온의 희생]]으로 릴리아나는 살아남고, 결국 신 영생자 본투와 오케트라를 조종해 볼라스의 스파크를 강탈함으로써 볼라스와의 결전의 승리 공신이 된다. 그러나 볼라스를 배신한 것은 사태가 라브니카가 심각해진 뒤였기 때문에, 그 이전에 라브니카에 남긴 전쟁범죄를 참작받지 못해 도망가는 것으로 스토리는 마무리. 이후의 이야기를 다루는 소설인 'War of the Spark: Forsaken'에서 다룰 가능성이 높다.[* [[코어세트 2020]] 다음 팩과는 관련없는 내용이라고 하니 유의하자.] == 능력 및 평가 == 플레인즈워커 전쟁의 플레인즈워커들은 전장에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이득을 볼 수 있게 해주는 정적/격발 능력이 하나씩 있는데, 릴리아나의 격발 능력은 내 생물이 죽을 때마다 카드를 뽑아주는 능력. 토큰이 아닌 생물과 같은 제한도 없어 자신의 +1과도 궁합이 좋고, 서로 희생을 강제하는 -4와도 궁합이 좋다. 사용해본 사람들은 이 능력이야말로 릴리아나의 궁극기라고 평가한다. +1 능력은 2/2 좀비 토큰 만들기. 평범하다면 평범한 능력이고 좋다면 좋은 능력이지만 6발비나 되는 플레인즈워커의, 그것도 +1 능력이라기에는 아쉬운 능력. [[죽음의 위엄 릴리아나]]는 5마나 플커가 자밀까지 하면서 +1로 같은 능력을 사용했고, [[유물 사냥꾼 브라스카]]는 +2 능력에다 뽑은 토큰이 호전적까지 달고 있었다는 걸 생각하면 단순비교로는 다소 아쉽다. 다만 본인의 격발 능력을 켜줄 생물 토큰을 만들어주기 때문에 연계가 가능하다는 것을 생각하면 전체적인 성능은 역시 이쪽이 위. -4 능력은 흑색 특유의 모든 플레이어가 생물을 희생하는 능력. 충성 카운터를 4개나 써야 한다는 점이 무겁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있었고, 서로 같은 행위를 하니까 비슷할 것 같지만 내가 이득보는 상황에서만 사용하니 당연히 나한테 좋은 능력인데다, 격발 능력이 내 생물을 희생시킬때 카드까지 뽑아주니 이 역시 예상 이상으로 강력한 능력이었다. [[살육의 폭군]]을 잡는다거나 방호, 흑방호도 잡을 수 있으니 처리하기 힘든 생물을 처리할 수 있게 해줄 수 있으며, 희생하는 수도 2개나 되기 때문에 횡전개 덱을 상대로 하지 않는 이상 유사 매스 디나이얼이나 마찬가지인 강력한 능력이다. -9는 [[대변동]]의 변형. 상대가 남길 걸 선택할 수 있는데다 -4와 격발 능력의 조합이 워낙 강력해 살짝 미묘한 감은 있으나, 이런 무거운 플커의 궁극기가 다 그렇듯이 상대를 멸망으로 몰아넣는 스킬. 일단 하나씩은 남기기 때문에 생물이나 플레인즈워커 등은 소수정예로 어떻게든 풀어나갈 수 있지만 '''대지를 하나만 남긴다'''는 게 정말 치명적이다. 손에서 할 수 있는 게 사실상 봉인되는 셈인데다 릴리아나가 +1만 계속 쓰게 만들 정도로 잘 풀린 게임에서 하나씩 남긴 지속물들도 쉽게 제거할 수 있을테니 어찌되었건 쓰면 확실히 이기는 궁극기. 그릭시스나 에스퍼처럼, 흑색을 사용하고 6발비 카드를 넣을 수 있는 덱이라면 1~2장씩 들어가서 최종병기로 사용되고 있다. [[파일:일판 릴리아나.jpg|width=240px]] 일본판의 아트를 맡은 사람은 그 유명한 [[아마노 요시타카]]. 그래서 일러스트도 과거 FF 풍이며, 프리릴리즈 포일 판은 일본 카드샵에서 6만 엔에 '''매입''' 공고가 나올 정도로 유저들 간에 비싸게 거래된다. ~~뜬금없는 프릴킷 로또화~~ 현재 얼터 릴리아나는 실전에서의 수요+컬렉터들의 수요+일판킷 자체의 물량부족사태가 얽혀서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으며, 노멀은 200불, 포일은 '''1000불'''을 바라보는 상황까지 갔다. 다만 자신의 시그니쳐 카드로 나온 주문이 하위타입에서는 더욱 주목받고 있는데... == 릴리아나의 승리 == || '''영어판 명칭''' || '''Liliana's Triumph''' ||<|6> [[파일:릴리아나의 승리.png]]|| || '''한글판 명칭''' || '''릴리아나의 승리''' || || '''마나비용''' ||<:>{1}{B}||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 || 순간마법 || ||<-2>각 상대는 생물 한 개를 희생한다. 당신이 릴리아나 플레인즈워커를 조종한다면, 각 상대는 카드도 한 장 버린다.|| |||| ''그녀는 죽음에서 도망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독립을 주장하는 것으로 승리했다.'' || |||| '''[[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 || '''희귀도''' || |||| [[플레인즈워커 전쟁]] || 언커먼 || 플레인즈워커 전쟁에서 플레인즈워커마다 한 장씩 존재하는 시그니처 카드들 중 릴리아나의 것에 해당하는 주문. 특히 관문수호대는 [[아몬케트|파멸의 시간]]에서 나왔던 패배사이클의 반대에 해당하는 ~~정신~~승리 사이클이 나왔다. 릴리아나의 승리는 상대에게 생물 희생을 강요하는 [[극악한 칙명]]류의 카드인데, 주문이 갈수록 약해지는 현대 매직 메타에 어울리지 않게 [[플레인즈워커 전쟁]]에서 '''무려 상위호환'''이 되어 돌아왔다. 플레이어를 타겟으로 잡지 않기 때문에 [[Leyline#s-4|백레이]]나 [[풍요의 목소리, 샬라이]] 등으로 플레이어 방호를 달아도 얄짤없이 뚫고 희생을 시킬 수 있다. 정말로 [[왜가리의 주인 시가르다|시가르다]]라도 쓰지 않으면 못 막을 기세. 특히 하위타입에서 방호를 덕지덕지 바른 [[Slippery Bogle|보글]]덱이 철퇴를 맞았다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으며, 깨알같이 릴리아나 플커들과의 시너지도 있어서 스포일러와 동시에 각종 릴리아나 플커들의 가격까지 출렁이게 만드는 중이다. [[True-Name Nemesis]]를 잡을 수도 있고, 릴리아나 플레인즈워커를 조종한다면 디스카드까지 있어 확실히 2:1 교환이 가능한 2마나 주문이라는 스펙이라 하위타입에서 충분히 사용할 만한 카드로 주목받는 중. 하위 타입에서는 [[베일의 릴리아나]], [[마지막 희망 릴리아나]] 등 3마나밖에 하지 않는 고성능의 릴리아나가 존재하는 만큼 스탠다드 이상으로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 점쳐지고 있다. 게다가 오픈하우스 선물로 이 카드의 다른 일러스트 버전이 제공되었기 때문에 플커워 오픈하우스가 행사 취지와 맞지 않게 올드비들 천국이 되는 해프닝이 일어나기도. 아트는 [[신 영생자 오케트라|신]] [[신 영생자 본투|영생자]]를 조종하여 [[니콜 볼라스]]에게 반기를 드는 릴리아나를 묘사한다. 위의 플레인즈워커 카드는 스포일러에서 가장 먼저 공개된 카드들 중 하나인 데에 비해 이 카드는 가장 나중에 공개된 카드들 중 하나라는 것 또한 특이점. [[분류:매직 더 개더링/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