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교야구 주말리그/대전·충청)] ||<-2>
[[파일:공주고교표.png|width=200]] || ||<-2> {{{#FF8337 '''공주고등학교 야구부'''}}}[br]{{{#FF8337 '''(Gongju High School)'''}}} || || {{{#FF8337 '''창단'''}}} || [[1974년]] || || {{{#FF8337 '''소속 리그'''}}} || 충청권 || || {{{#FF8337 '''감독'''}}} || 오주상[* 2022년 11월 25일 취임하였다. 1977년생이며 공주중-공주고 출신으로 1997년 한화 이글스에 입단했으며 공주중 코치(2001~2005), 공주고 코치(2006~2013), 공주중 감독(2014~2022)을 역임했다. ] || || {{{#FF8337 '''우승 기록'''}}}[* 4대 메이저 + 협회장기] || 3회 || || {{{#FF8337 '''홈페이지'''}}} || [[http://kongjugo.cnehs.kr/boardCnts/list.do?boardID=50780&m=0713&s=kongjugo|공주고등학교 야구부]] || ||<-2> [include(틀:지도, 장소=공주고등학교, 너비=100%, 높이=225px)] || ||
{{{#FF8337 '''대회'''}}} || {{{#FF8337 '''우승'''}}} || {{{#FF8337 '''준우승'''}}} || {{{#FF8337 '''4강'''}}} || ||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대통령배]]''' || 2회(1977, 2013) || - || 1회(1992) || || '''[[청룡기 전국고교야구 선수권대회|청룡기]]''' || 1회(1992) || 1회(1990) || 1회(2000) || ||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황금사자기]]''' || - || - || 1회(2006) || ||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봉황대기]]''' || - || - || - || || '''[[협회장기]]''' || - || - || - || ||<-5>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ffffff '''1977년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 || [[군산상업고등학교 야구부|군산상업고등학교]] || → || '''공주고등학교''' || → || [[부산고등학교 야구부|부산고등학교]] || ||<-5>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ffffff '''1992년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 || || [[부경고등학교 야구부|경남상업고등학교]] || → || '''공주고등학교''' || → || [[경북고등학교 야구부|경북고등학교]] || ||<-5>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ffffff '''2013년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 || [[진흥고등학교 야구부|진흥고등학교]] || → || '''공주고등학교''' || → || [[서울고등학교 야구부|서울고등학교]] || [목차] [clearfix] == 연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chanhopark61.com/3.jpg|width=100%]]}}} || 1925년에 창단해서 1945년까지 팀이 있었다고는 하지만, 실질적으로 대중들이 아는 공주고등학교 야구부의 역사는 1974년으로 당시 대한야구협회장인 [[김종락]]의 후원을 받아 창단한 것이 시작이었다. 당시만 해도 야구의 불모지였던 충청권인지라 창단 멤버들은 외부 전학생들이었다. 그 전학생 중 가장 우수했던 선수가 훗날 감독으로 명성을 떨치게 되는 [[김경문]]. 상대 타자가 고의로 타석에서 스윙인척 배트를 휘둘러 머리를 가격했을 정도로 우수한 포수였던 [[김경문]]은 부산에서 전학을 와 공주고의 핵심 멤버가 되었고, 그를 필두로 한 외인군단은 1977년 대통령배에서 [[부산고등학교 야구부|부산고]]를 누르고 창단 첫 우승의 영광을 안았다. ||[[파일:M98HTA8.jpg|width=100%]]|| || [[김경문]] || 그러나 이 짧은 전성기를 뒤로 하고 1980년대는 이렇다 할 성적을 내지 못하는데, 충남 천안시에 생긴 [[북일고등학교 야구부|북일고등학교]]의 등장 때문이었다. [[북일고등학교 야구부|북일고등학교]]는 한화그룹의 지원을 받아 전국에서 유망한 선수들을 스카웃하면서 일약 고교 무대의 새로운 강자로 부상하게 되었고, 자연히 지역예선에서 [[북일고등학교 야구부|북일고]]에 치인 공주고는 1980년대를 그렇게 날리고 말았다. 그리고 애당초 충남 지역에 고교 팀이 두 개 뿐인지라 수시로 지역예선에서 둘이 만난 통에 빚어진 라이벌 의식은 2000년대를 넘어서도 계속되었다.[* 대통령배,청룡기,황금사자기 대회에 충남대표는 1개교만 참가할 수 있었는데, [[북일고등학교 야구부|북일고]]와의 예선전은 서울 본선 못지 않게 살벌한 분위기에서 진행되었다. 정식 야구장을 갖춘 [[북일고등학교 야구부|북일고]]에서 예선전을 치를 시, [[북일고등학교 야구부|북일고]]의 홈텃세로 공주고 야구부 버스의 야구장 진입을 막아, 공주고 선수들은 정문에서 부터 무거운 야구장비를 들고 야구장까지 가야했다.][* 2002년 봉황대기 대회에서 [[북일고등학교 야구부|북일고]]는 20-3으로 공주고를 맹폭했는데, [[동대문야구장]] 우측 스탠드를 맞고 튀어나온 홈런볼을 공주고 우익수는 화를 내며 어디론가 던져버렸다.][* 충남에는 [[천안북중학교|천안북중]], [[온양중학교|온양중]], [[태안중학교|태안중]], [[공주중학교|공주중]] 야구부가 있었는데, 스카우트 전쟁도 치열하였다. 이후 [[태안중학교|태안중]] 야구부가 해체되고 부여에 위치한 [[외산중학교|외산중]]이 야구부를 새로 창단해 2018년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파일:attachment/gongjupark1.png|width=100%]]|| || [[박찬호]] || 비록 성적에서는 [[북일고등학교 야구부|북일고]]에 뒤졌다고 해도, 공주고가 모든 고등학교를 능가한다는 자부심을 가지게 해주는 인물이 등장하는데, 바로 '''[[박찬호]]'''다. 박찬호의 등장 전후로 공주고도 훌륭한 인재들이 모였고, 이를 토대로 1990년 [[청룡기]] 준우승에 이어 [[노장진]]이 1992년 청룡기에서 결승전 [[노히트 노런]]의 신화를 쓰며 창단 후 두 번째 메이저대회 우승을 차지하는데 성공했다. 참고로 [[박찬호]]가 고등학교 3학년이던 1991년에는 [[박찬호]]-[[손혁]]-[[홍원기]] 등 멤버가 우수했지만, 전설의 92학번이 등장한 시즌이라 다 능력이 우수해서 4강도 들지 못했다.[* 이 해에는 4대 메이저 대회를 경남상고와 [[신일고등학교 야구부|신일고]]([[조성민]], [[설종진]], [[강혁(야구)|강혁]] 등이 포함)가 양분했다.] 예외적으로 전국 대회는 아닌 부산일보가 주최한 [[화랑대기]] 대회의 결승에 진출하기는 했지만, 우승은 당시 [[손민한]], [[염종석]], [[김대익]] 등을 주축으로 했던 [[부산고등학교 야구부|부산고]]가 차지했다. 그 뒤로 다시 [[2000년대]] 두 차례 4강에 오른 것 외에는 전부 초반 탈락하는 긴 암흑시대에 들어갔지만, 2013년 대통령배에서 2학년 에이스 [[김훈호]]와 3학년 [[이재림]]의 활약을 앞세워 정확히 20년만에 다시 메이저대회 우승에 성공했다. 당시 결승전 상대는 공주고의 숙적인 [[북일고등학교 야구부|천안북일고]]. [[북일고등학교 야구부|북일고]]는 한화 이글스 유니폼과 똑같은 옷을 입고 [[한화 이글스|한화]] 출신 [[이강돈]]이 감독, [[송진우(야구)|송진우]]의 차남 [[송우현]]이 선발투수로 대결했다. 공주고를 우승으로 이끌었던 오중석 감독은 [[박찬호]]와 [[공주중동초등학교|중동초]] - [[공주중학교|공주중]] - [[공주고]] - [[한양대학교 야구부|한양대]] 동창이며, [[한양대학교|한양대]]에서는 3루수로 활약했다. 결승전이 [[KBO 리그|프로야구]]의 휴식일인 [[월요일]]에 열린 관계로 [[박찬호]], [[손혁]], [[조동화]], [[박정배]] 등이 [[목동야구장]]을 찾아 응원했다.[[http://news.joins.com/article/12440939|기사1]][[http://news.joins.com/article/12408874|기사2]] ||[[파일:eQHYZfI.jpg|width=300]]|| ~~[[시카고 컵스]]의 마지막 우승을 이끈 [[안승민|레전드]]도 [[공주고]] 출신이라 카더라~~ == [[야구대제전]] == * '''역대전적''' : 1패 * '''최고성적''' : 조별예선 (2014 야구대제전) 야구대제전 참가는 2014년 야구대제전이 처음이며, 조별예선에서 패해 탈락했다. == 여담 == * [[2019년]] 드라마 [[스토브리그(드라마)|스토브리그]]에 [[공주고등학교]] 야구장과 더불어 공주고 학생들이 훈련하는 장면이 나왔다. 그중 작중 즉전감 3루 유망주라는 설정의 손승민은 실제 고3이던 손승민 본인이 출전했다.[[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stoveleague&no=491|##]] 그외에 피칭훈련을 하는 정영호도 짤막하게 등장. == 출신 선수[* [[나무위키]] 등록 선수만... 졸업 연도 순.] == || '''{{{#211D36 이름}}}''' || '''{{{#211D36 포지션}}}''' || '''{{{#211D36 프로입단}}}''' || '''{{{#211D36 경력}}}''' || || '''[[김경문]]''' || 포수 || 1982년 원년멤버 ||고려대-[[OB 베어스|OB]](1982~1989)-[[태평양 돌핀스|태평양]](1990)-[[OB 베어스|OB]](1991)|| || [[신경식(야구)|신경식]] || 내야수 || 1982년 원년멤버 ||상업은행-[[OB 베어스|OB]](1982~1990)-[[삼성 라이온즈|삼성]](1991~1992)-[[쌍방울 레이더스|쌍방울]](1993~1995)|| || '''[[김광림(야구)|김광림]]''' || 외야수 || 1984년 1차지명 ||고려대-[[OB 베어스|OB]](1984~1993)-[[쌍방울 레이더스|쌍방울]](1994~1997)-[[현대 유니콘스|현대]](1997~1998)-[[쌍방울 레이더스|쌍방울]](1999)|| || [[손차훈]] || 내야수 || [[한국프로야구/1993년/신인드래프트|1993년 2차 1라운드]] ||한양대-[[태평양 돌핀스|태평양]]/[[현대 유니콘스|현대]](1993~1999)-[[쌍방울 레이더스|쌍방울]](1999)-[[SK 와이번스|SK]](2000-2001) || || [[허준(1970)|허준]] || 내야수 || [[한국프로야구/1993년/신인드래프트|1993년 2차 1라운드]] ||경성대-[[빙그레 이글스|빙그레]]/[[한화 이글스|한화]](1993~2003)-[[KIA 타이거즈|KIA]](2003~2004)|| || [[신재웅(1972)|신재웅]] || 투수 || [[한국프로야구/1995년/신인드래프트|1995년 1차지명]] ||경성대-[[한화 이글스|한화]](1995~2002)|| || '''[[박찬호]]''' || 투수 || [[1994년]] 아마추어 자유계약[br]([[로스앤젤레스 다저스|LAD]]) ||한양대[* 2학년 중퇴. 2001년 명예졸업장을 받았다.]-[[로스앤젤레스 다저스|LAD]](1994~2001)-[[텍사스 레인저스|TEX]](2002~2005)-[[샌디에이고 파드리스|SD]](2005~2006)-[[뉴욕 메츠|NYM]](2007)-[br][[로스앤젤레스 다저스|LAD]](2008)-[[필라델피아 필리스|PHI]](2009)-[[뉴욕 양키스|NYY]](2010)-[[피츠버그 파이리츠|PIT]](2010)-[[오릭스 버팔로즈|오릭스]](2011)-[[한화 이글스|한화]](2012)|| || '''[[손혁]]''' || 투수 || [[한국프로야구/1996년/신인드래프트|1996년 2차 1라운드]] ||고려대-[[LG 트윈스|LG]](1996~1999)-[[해태 타이거즈|해태]]/[[KIA 타이거즈|KIA]](2000~2002)-[[두산 베어스|두산]](2003~2004)-노퍽 타이즈 (2007)|| || [[홍원기]] || 내야수 || [[한국프로야구/1996년/신인드래프트|1996년 1차 지명]] ||고려대-[[한화 이글스|한화]](1996~1999)-[[두산 베어스|두산]](1999~2005)-[[현대 유니콘스|현대]](2006~2007)|| || [[노장진]] || 투수 || [[한국프로야구/1993년/신인드래프트|1993년 고졸우선지명]] ||[[빙그레 이글스|빙그레]]/[[한화 이글스|한화]](1993, 1997~1998)-[[삼성 라이온즈|삼성]](1999~2004)-[[롯데 자이언츠|롯데]](2004~2006)|| || '''[[조동화]]''' || 외야수 || 2000년 [[신고선수]] 입단 ||[[SK 와이번스|SK]](2001~2018)|| || '''[[박정배]]'''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05년/신인드래프트|2005년 2차 6라운드]] ||한양대-[[두산 베어스|두산]](2005~2011)-[[SK 와이번스|SK]](2012~2019)|| || [[오재필]] || 외야수 || [[한국프로야구/2001년/신인드래프트|2001년 2차 12라운드]] ||한양대-[[한화 이글스|한화]](2005~2013)|| || '''[[송광민]]''' || 내야수 || [[한국프로야구/2002년/신인드래프트|2002년 2차 10라운드]] ||동국대-[[한화 이글스|한화]](2006~2020)|| || '''[[조동찬]]''' || 내야수 || [[한국프로야구/2002년/신인드래프트|2002년 2차 1라운드]] ||[[삼성 라이온즈|삼성]](2002~2018)|| || [[박노민]] || 포수 || [[한국프로야구/2004년/신인드래프트|2004년 2차 3라운드]] ||[[한화 이글스|한화]](2004~2016)|| || [[최용규(야구선수)|최용규]] || 내야수, 외야수 || [[한국프로야구/2008년/신인드래프트|2008년 2차 2라운드]] ||원광대-[[KIA 타이거즈|KIA]](2008~2010, 2014~2016)|| || [[김태식(야구)|김태식]]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07년/신인드래프트|2007년 2차 2라운드]] ||[[LG 트윈스|LG]](2007~2010)-[[NC 다이노스|NC]](2012)|| || [[이웅한]]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07년/신인드래프트|2007년 2차 1라운드]] ||[[롯데 자이언츠|롯데]](2007~2015) || || [[황진수]] || 내야수 || [[한국프로야구/2007년/신인드래프트|2007년 2차 6라운드]] ||[[롯데 자이언츠|롯데]](2007~2019)|| || [[안승민]]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10년/신인드래프트|2010년 3라운드]] ||[[한화 이글스|한화]](2010~2018)|| || [[이국필]] || 외야수 || 2018년 [[신고선수]] 입단 ||중앙대-[[NC 다이노스|NC]](2018)|| || [[조용근(야구선수)|조용근]] || 투수 || 2020년 [[육성선수]] 입단 ||중앙대-[[LG 트윈스|LG]](2020~2021)|| || [[김준현(야구선수)|김준현]] || 투수 || [[KBO 리그/2016년/신인드래프트|2016년 2차 7라운드]] ||[[NC 다이노스|NC]](2016~2020)|| || [[이찬석]] || 투수 || [[KBO 리그/2016년/신인드래프트|2016년 2차 6라운드]] ||[[넥센 히어로즈|넥센]]/[[키움 히어로즈|키움]](2016~2020)|| || [[조효원]] || 내야수 || [[KBO 리그/2022년/신인드래프트|2022년 2차 4라운드]] ||동강대-원광대-[[NC 다이노스|NC]](2022~)|| || [[허민혁]] || 투수 || [[KBO 리그/2019년/신인드래프트|2019년 2차 4라운드]] ||[[SK 와이번스|SK]]/[[SSG 랜더스|SSG]](2019~)|| || [[제환유]] || 투수 || [[KBO 리그/2020년/신인드래프트|2020년 2차 2라운드]] ||[[두산 베어스|두산]](2020~)|| || [[김규민(2002)|김규민]] || 포수 || [[KBO 리그/2024년/신인드래프트|2024년 10라운드]] ||여주대-[[SSG 랜더스|SSG]](2024~)|| || [[김규연]] || 투수 || [[KBO 리그/2021년/신인드래프트|2021년 2차 8라운드]] ||[[한화 이글스|한화]](2021~)|| || [[강매성]] || 투수 || [[KBO 리그/2022년/신인드래프트|2022년 2차 6라운드]] ||[[SSG 랜더스|SSG]](2022~)|| || [[김두현(야구선수)|김두현]] || 내야수 || [[KBO 리그/2024년/신인드래프트|2024년 11라운드]] ||동원대-[[KIA 타이거즈|KIA]](2024~)|| || [[곽도규]] || 투수 || [[KBO 리그/2023년/신인드래프트|2023년 5라운드]] ||[[KIA 타이거즈|KIA]](2023~)|| == 둘러보기 == [include(틀: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 역대 우승 고교)] [include(틀: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역대 우승 고교)] [[분류:대한민국의 고교야구]] [[분류:공주시 연고 구단]] [[분류:1974년 창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