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공원소녀]] [include(틀:아센디오)] [include(틀:공원소녀)]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공소5집단체.jpg|width=100%]] }}} || || {{{-4 {{{#ffffff 왼쪽부터 }}}}}} '''[[미야(공원소녀)|{{{#ebb8cb 미야}}}]]''' '''[[서령(공원소녀)|{{{#f7ce76 서령}}}]]''' '''[[민주(공원소녀)|{{{#97c19d 민주}}}]]''' '''[[레나(공원소녀)|{{{#95c4de 레나}}}]]''' '''[[앤(공원소녀)|{{{#c3c78b 앤}}}]]''' '''[[서경(공원소녀)|{{{#f4c88e 서경}}}]]''' '''[[소소(공원소녀)|{{{#95c4de 소소}}}]]'''[br]{{{-3 {{{#fff GWSN :: 5TH MINI ALBUM {{{#faf6c9 ''[[THE OTHER SIDE OF THE MOON|{{{#faf6c9 [math(THE)] [math(OTHER)] [math(SIDE)] [math(OF)] [math(THE)] [math(MOON)]}}}]]'' }}} PHOTOGRAPHS in Night}}}}}} || ||<-2>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공원소녀 로고.svg|height=80]]||'''{{{+1 {{{#ebb8cb 공}}}{{{#f7ce76 원}}}{{{#97c19d 소}}}{{{#95c4de 녀}}}}}}'''[br]{{{#ddd GWSN[br]Girls In The Park}}} ||}}} || || '''{{{#fff 데뷔 }}}''' ||2018년 9월 5일 {{{-2 (데뷔일로부터 '''[dday(2018-09-05)]일'''째)}}}||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ebb8cb, #f4c88e)" '''{{{#fff 데뷔 음반 }}}'''}}} ||{{{-4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0709b; font-size: .8em" '''{{{#f4a6d7 미}}}{{{#eee29f 니}}} {{{#b3ddd1 1}}}{{{#9adbe8 집}}}'''}}}}}} '''[[밤의 공원(THE PARK IN THE NIGHT) part one|{{{#976a4d 밤의 공원 (THE PARK IN THE NIGHT) part one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4c88e, #f7ce76)" '''{{{#fff 장르 }}}'''}}} ||[[딥 하우스]], [[R&B]], [[댄스]], [[발라드]] || || '''{{{#fff 리더 }}}''' ||[[서령(공원소녀)|{{{#f7ce76 서령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7ce76, #97c19d)" '''{{{#fff 소속사 }}}'''}}} ||[[아센디오|[[파일:더웨이브뮤직.png|width=60]]]][*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4397232|기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97c19d, #96c3bf)" '''{{{#fff 유통사 }}}'''}}}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파일: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 로고.svg|width=40&theme=light]][[파일: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 로고 화이트.svg|width=40&theme=dark]]]]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96c3bf, #95c4de)" '''{{{#ffffff 팬덤 }}}'''}}} ||[[그루|[[파일:그루 로고.svg|width=40%]]]] || || '''{{{#fff 공식 채널 }}}''' ||[[https://www.instagram.com/gwsn.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official_GWSN, 크기=22)]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gwsn_supporters, 크기=22)][* 공원소녀 공식 서포터즈 트위터 계정.] [[https://www.facebook.com/GWSNofficial/|[[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2]]]] [[https://www.weibo.com/u/6562518310|[[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width=22]]]] [[http://cafe.daum.net/GWSN|[[파일:다음 카페 아이콘.svg|width=22]]]] [[https://www.youtube.com/channel/UCUT58qBbE4Y3Y4FClOJOfr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인사-GIF.gif|width=620&align=center]] >(둘, 셋) Waiting for you! 안녕하세요, 공원소녀입니다.[* 리더 [[서령(공원소녀)|서령]]의 선창 후, 그룹 [[캐치프레이즈]]와 함께 구호를 외친다.] [[2018년]] [[9월 5일]] 데뷔한 더웨이브 뮤직 소속 7인조 [[다국적 아이돌 그룹|다국적 걸그룹]]. [[키위미디어그룹]]에서 처음으로 선보이는 걸그룹이라는 점과 [[엠넷]] [[프로듀스 101]]에서 '햇님'으로 활약한 [[서경(공원소녀)|서경]]이[* [[프로듀스 101]] 출연 당시에는 개인 연습생 신분이었으나, 방송 이후 학원 오디션을 통해 [[키위미디어그룹]]에 입사했다.] 멤버로 정식 합류한다고 알려져 화제를 모았다. == 멤버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bb8cb, #f4c88e, #f7ce76, #c3c78b, #97c19d, #96c3bf, #95c4de)" [[파일:공원소녀 로고 화이트.svg|width=6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미야(공원소녀)|[[파일:5집미야a3.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서경(공원소녀)|[[파일:5집서경a5.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서령(공원소녀)|[[파일:5집서령a8.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앤(공원소녀)|[[파일:5집앤a5.png|width=100%]]]]}}} || || '''[[미야(공원소녀)|{{{#ffffff 미야}}}]]''' || '''[[서경(공원소녀)|{{{#ffffff 서경}}}]]''' || '''[[서령(공원소녀)|{{{#ffffff 서령}}}]]''' || '''[[앤(공원소녀)|{{{#ffffff 앤}}}]]''' || ||<^|1>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1993. 05. 26. ([age(1993-05-26)]세)}}}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 '''메인댄서'''[br]리드래퍼 ||<^|1>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1999. 04. 16. ([age(1999-04-16)]세)}}}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메인댄서'''[br]서브보컬[br]서브래퍼 ||<^|1>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2000. 01. 26. ([age(2000-01-26)]세)}}}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리더'''[br]'''메인보컬''' ||<^|1>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2000. 10. 17. ([age(2000-10-17)]세)}}}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메인래퍼'''[br]서브보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민주(공원소녀)|[[파일:5집민주a5.pn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소소(공원소녀)|[[파일:5집소소a5.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레나(공원소녀)|[[파일:5집레나a7.png|width=100%]]]]}}} ||<|3> [[파일:공원소녀 워드마크.svg|width=100%]] || || '''[[민주(공원소녀)|{{{#ffffff 민주}}}]]''' || '''[[소소(공원소녀)|{{{#ffffff 소소}}}]]''' || '''[[레나(공원소녀)|{{{#ffffff 레나}}}]]''' || ||<^|1>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2001. 03. 11. ([age(2001-03-11)]세)}}}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서브보컬[br]서브래퍼[br]리드댄서 ||<^|1>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2001. 03. 14. ([age(2001-03-14)]세)}}} ---- [include(틀:국기, 국명=대만, 출력= )] ---- 서브보컬[br]리드댄서 ||<^|1>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2002. 04. 17. ([age(2002-04-17)]세)}}}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리드보컬 || * [[서울]] 출신 멤버가 단 한 명도 없다.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경기도) 출신 멤버가 [[레나(공원소녀)|1명]] 있고, 광역시(울산) 출신 멤버 [[서경(공원소녀)|1명]], 해외(일본, 대만) 출신 멤버 [[미야(공원소녀)|2]][[소소(공원소녀)|명]], 경상남도 창원시(마산합포구)[* 2010년까지는 경상남도 마산시였으나 이후 진해시, 창원시와 합쳐져 새로운 통합 창원시가 되었다. 그리고 마산시는 마산회원구와 마산합포구 둘로 나뉘어졌다. 서령, 민주 출신학교(의신여중, 제일여고)가 마산합포구에 위치해있다.] 출신 멤버가 [[서령(공원소녀)|2]][[민주(공원소녀)|명]], 충청도(청주시) 출신 멤버 [[앤(공원소녀)|1명]]있다. 좀 다르게 말하면 경상도 출신 3명, 경기도 1명, 충청도 1명, 해외(동아시아) 2명이다. * 혈액형을 보면 [[AB형]] 멤버가 없다. [[A형]] 3명[* 서경, 민주, 레나], [[B형]] [[서령(공원소녀)|1명]], [[O형]] 3명[* 미야, 앤, 소소]이 있다. * 가족관계를 보면 과반수가 남동생이 있다.[* [[미야(공원소녀)|미야]], [[서경(공원소녀)|서경]], [[서령(공원소녀)|서령]], [[레나(공원소녀)|레나]]. ]그리고 외동이 [[앤(공원소녀)|2]][[소소(공원소녀)|명]] 있으며, [[민주(공원소녀)|유일하게 자매인 멤버도 있다]]. 그룹 내에 오빠가 있는 멤버가 없다. * 서경, 서령, 민주는 경상도 출신답게 [[동남 방언]]을 구사하는데, 그닥 티가 나지않는 [[서경(공원소녀)|서경]][* 방송에서는 티가 잘 나지 않으나 숙소에서는 쓰는듯 하다. 물론 맘먹고쓰면 잘쓴다.]에 비해서 [[서령(공원소녀)|서령]]과 [[민주(공원소녀)|민주]]는 사투리를 쓰는 모습이 자주 보인다. 최근에는 웹드라마 출연을 거치며 민주의 사투리는 줄어들었지만 서령은... 이제 아예 수도권 출신 [[레나(공원소녀)|멤버]]에게마저 사투리가 옮아서 숙소에서 표준어를 제대로 사용하는 멤버가 없다고 한다. == 특징 == === 로고 === === 그룹명 === 공원소녀의 그룹명에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두고 있다. * 1) 공원은 누구나 갈 수 있고, 힐링하고, 꿈을 키울 수 있는 공간으로 즉, 공원소녀의 음악을 들으면 꿈꿀 수 있고 즐거움을 줄 수 있는 그런 음악을 하겠다는 의미가 담겨져 있다. * 2) 공원소녀는 영어로 약자 G.W.S.N을 사용하는데, 세 방향을 가리키는 West, South, North와 G가 모든 방향을 가리키는 Ground의 약자로, 전세계인들에게 공원소녀의 음악을 들려주고 사랑받고 또, 친구가 되고 싶다는 공원소녀의 소망을 담았다. * 3) 숫자 뜻으로, 공원을 숫자로 표현하면 0과 1로 표기할 수 있는데 7명의 소녀들이 완전체일 때 영(0)원(1)히 하나라는 뜻을 담고 있다. 영문명은 '''Girls in the Park'''이며 한글 발음의 이니셜을 딴 '''GWSN'''로도 많이 불린다. === 콘셉트 === >“딥 하우스의 붐은 온다!” 공원소녀의 음악을 듣고 있자면 이들 소속사 더웨이브뮤직(구 키위미디어)의 그런 외침이 들리는 것만 같다. (중략) 많은 사람들이 딥 하우스 특유의 도회적이면서 노스탤직한 분위기를 사랑했지만, 곧 음악적인 DNA는 비슷하면서 좀 더 상큼한 트로피컬 하우스가 케이팝의 여름을 점령하며 딥 하우스는 뒤로 밀려나는 듯 했다. 그러나 공원소녀는 2018년 ‘Puzzle Moon’으로 데뷔한 이래 쭈욱 딥 하우스 기반의 케이팝 한 우물을 파는 중이다. >-------- >{{{#!wiki style="text-align:right" -[[아이돌로지]] 필진 랜디[[https://idology.kr/16145|#]]}}} 공원소녀에 대해 논할 때에는 그룹의 음악색을 빼놓고 이야기할 수 없다. 2018년 데뷔 앨범 [[밤의 공원 (THE PARK IN THE NIGHT) Part one]]으로 '밤의 공원' 3부작의 시작을 알린 이후 2021년 미니 5집 [[THE OTHER SIDE OF THE MOON]]에 이르기까지, 모든 앨범의 타이틀 곡을 [[딥 하우스]] 장르의 곡으로 유지하고 있다. 딥 하우스라는 장르 자체가 아이돌 음악의 메인스트림과는 멀리 떨어져 있는[* 2015년 [[샤이니]]와 [[f(x)]]가 각각 [[Odd(SHINee)|Odd]]와 [[4 Walls]]에서 잠시 선보였지만 그룹의 음악색으로 유지되지는 못했다. 특히 '4 Walls'의 경우에는 딥 하우스보다는 [[개러지]]에 가깝다는 게 발매 후 시간이 흐른 뒤의 중론.][* 애초 딥 하우스는 보컬이 아예 없거나 짧은 챈트 수준의 가사만 있는 곡들이 많다.] 장르다 보니 특기할 만한 사항. 디스코그래피의 앨범들, 특히 밤의 공원 3부작은 앨범 자체의 높은 퀄리티로 좋은 평가를 받는다. 아직 인지도가 많이 부족한 아이돌이지만 우연히 앨범을 들어본 사람들은 그 예상치 못한 퀄리티에 놀랄 정도. 한국 음원 시장이 온라인 차트 위주로 재편되고 이에 따라 '타이틀곡 몰아주기'[* 시즌송, 싱글, 리패키지 등으로 대표되는, '하나의 타이틀 곡에만 역량을 집중해 대중성을 얻고 차트에 오른다'라는 식] 전략이 [[K-POP]] 아이돌의 대세 컴백 전략으로 자리 잡은 상황에서, 공원소녀의 이러한 행보는 일종의 작가주의로도 볼 수 있을 듯. 공원소녀는 [[명곡]]보다 [[명반]]의 측면에서 더 두각을 나타내는 디스코그래피를 가지고 있는 흔치 않은 K-POP 아이돌이다. == [[/음반 목록|음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공원소녀/음반 목록)] == [[/활동|활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공원소녀/활동)] === [[/음악 방송|음악 방송]]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공원소녀/음악 방송)] == 수상 경력 == === 시상식 === ||
{{{#white '''날짜'''}}} || {{{#white '''시상식'''}}} || {{{#white '''수상부문'''}}} || {{{#white '''비고'''}}} || || 2018년 11월 26일 || 제10회 서울 석세스 대상 || 문화부문 신인 가수상 || || || 2019년 11월 29일 || 제 27회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 || K-POP 가수상 || || || 2020년 8월 13일 || 제 4회 [[소리바다 베스트 케이뮤직 어워즈]] || 신한류 뮤직 핫스타상 || || == [[그루|팬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그루)] === [[/응원법|응원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공원소녀/응원법)] == 논란 및 사건 사고 == === 그룹 방치 논란 === 2021년 6월 미니 5집 활동 이후 현재까지 2년이 넘는 긴 공백기를 보내고 있는데, 이 기간이 단순 공백기가 아니라 소속사가 그룹을 방치하고 있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 과거 [[TS엔터테인먼트]] 소속이였던 걸그룹 [[소나무(아이돌)|소나무]]의 전철을 그대로 밟고 있다. * 2022년 2월부터 소속사가 임대료를 내지 않아 멤버들이 숙소에서 모두 퇴거 조치되었다. 이어 7월에는 댄스 연습실까지 정리되었고, 그룹의 활동 업무를 담당한 직원들과 매니저들도 모두 퇴사했다. * 외국인 멤버들의 [[비자]] 갱신 업무를 아무도 신경 쓰지 않아 일본인 멤버 [[미야(공원소녀)|미야]]와 대만인 멤버 [[소소(공원소녀)|소소]]가 벌금형 [[전과(범죄)|전과]]가 생기게 되었다. 결국 미야는 고향 일본으로 돌아가 일본 현지의 기획사와 계약하며 한국 생활을 청산했다. * 2023년 1월 22일 전속계약 효력 부존재 확인의 소에서 공원소녀 멤버들이 승소했다. 다만 무변론 승소로 다른 말로 말하자면 피고인 더웨이브 뮤직 측에서 소송에 전혀 참여하지 않았던 것이다. 이를 통해 이미 지난해 말부터 소속사가 폐업 상태를 비롯해 공원소녀의 해체 수순에 들어갔다는 의혹이 점점 사실로 드러나고 있다. [[https://www.topstar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997650|#]] == 여담 == * 데뷔 전 멤버 전원 [[키위미디어그룹]] 신인개발 전문 프로그램인 키위박스[* 키위미디어그룹의 아티스트 트레이닝 센터이며 신인개발 프로그램이라고 한다.] 출신이다. * [[소소(공원소녀)|소소]]를 제외한 팀 내 막내라인인 [[앤(공원소녀)|앤]], [[민주(공원소녀)|민주]], [[레나(공원소녀)|레나]]는 겁이 없다. 반대로 맏언니라인인 [[미야(공원소녀)|미야]], [[서경(공원소녀)|서경]], [[서령(공원소녀)|서령]]은 겁이 많다. 리얼리티 5화에서 공포체험 미션을 할때 특히 드러난 편이다. 특히 [[미야(공원소녀)|미야]]는 [[GOT YA! 공원소녀]] [[https://www.youtube.com/watch?v=MK0l8i84RII&t=367s|Special Clip 5]]에서 멤버들이 거의다 지목할 정도로 팀 내 공식 겁쟁이. * 데뷔 당시 공원소녀에서 귀를 뚫은 멤버는 [[서령(공원소녀)|서령]], [[미야(공원소녀)|미야]]뿐이었으나, 이후 [[소소(공원소녀)|소소]], [[민주(공원소녀)|민주]]도 귀를 뚫었다고 한다. * [[JTBC]] [[아이돌룸]]의 MC인 [[정형돈]]과 [[데프콘(가수)|데프콘]]이 등장하는 [[LG U+|U+]] 아이돌 Live CF에 [[SBS MTV]] [[THE SHOW]]에서 방영된 공원소녀의 데뷔곡 무대가 나왔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FVdDgTe1hQ)]}}} || * 한국에선 아직 인지도가 부족한 편이지만 해외, 특히 일본 쪽에선 착실하게 인지도를 쌓는 중이다. * '수록곡 맛집'이라는 수식어가 있다. 데뷔부터 세 장의 미니앨범을 내면서 [[밤의 공원 (THE PARK IN THE NIGHT) Part one|첫 번째]]와 [[밤의 공원 (THE PARK IN THE NIGHT) part two|두 번째]] 앨범은 여섯 곡, [[밤의 공원(THE PARK IN THE NIGHT) part three|세 번째]] 앨범은 무려 여덟 곡으로 곡수를 꽉꽉 채워서 발매했다. 그뿐만 아니라 프로듀서와 멤버들이 심혈을 기울여 곡을 고르는지 수록곡들도 퀄리티가 매우 좋은 편이다. 소속사에서 얼마나 신경을 쓰고 있는지 알 수 있는 부분. * 멤버들은 모두 같은 숙소에서 생활하며 데뷔 이래로 룸메이트 역시 바뀌지 않고 그대로 지내고 있다. 미야, 서경, 서령, 소소가 같은 방, 앤, 민주, 레나[* [[한림연예예술고등학교|한림예고]] 트리오로 묶을 수 있을 듯.]가 같은 방을 쓴다. * 매주 월요일 사다리 타기로 숙소 청소 담당 구역을 배정한다고 한다. * [[김형석]]은 2019년 [[키위미디어그룹]]을 떠나고 개인 음악활동과 개인 미술 관련 회사를 운영하고 있다. * [[미야(공원소녀)|미야]]의 그림실력은 전문가 수준으로 유명하다. 미니 4집 [[the Keys]]의 앨범 커버사진 등에 있는 열쇠그림은 모두 미야가 그린 것이라고 서경과 레나의 생일 브이앱에서 밝혔다.미니 5집 [[THE OTHER SIDE OF THE MOON]]에서도 앨범 커버와 CD 디자인을 맡았다.[* 마블링 기법이 사용되었다.] * 데뷔전부터 제작과 총괄 프로듀서를 담당한 peacedelic 한정수 피디가 2020년 11월 자신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키위미디어그룹 퇴사를 밝혔다. * 앨범 구매시 참고해야 할 사항으로, 밤의 공원 3부작의 경우 3부작이 각각 두 가지 버전으로 유통되고 있다. 이는 중간에 앨범의 유통사가 변경되면서 벌어진 일인데, 두 버전의 가장 큰 차이점은 앨범의 책등에 해당하는 부분에 인쇄되어 있는 유통사의 로고가 다르다는 것이다. 초회판 기준으로 part 1은 LOEN의 로고가, part 2와 part 3은 kakaoM의 로고가 인쇄되어 있다.[* 사실 두 회사는 같은 회사라고 봐도 무방하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M 컴퍼니]] 문서 참조.] 재발매판 기준으로는 셋 모두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의 로고.[*비교사진 [[파일:공원소녀 미니1집 초회판.jpg]][[파일:공원소녀 미니1집 재발매판.jpg]]] 큰 차이라고는 할 수 없으나 책장에 꽂아 놓으면 은근히 신경쓰이므로 초회판이든 재발매판이든 살 때 잘 알아보고 사자.--그냥 두 가지 버전 다 사자.-- --2년만에 2종 앨범 발매하는 기획사.-- * 1993~2002년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맏언니인 미야와 막내 레나가 9살 차이로 나이 차가 꽤 크다. 맏언니-막내 나이 차로는 [[Kep1er]], [[IZ*ONE]]과 똑같다. * 아직 부족한 인지도를 가진 그룹이지만 국내 최고의 배우 중 한명인 [[하정우]]가 언급한 적이 있다. [[https://www.facebook.com/idolinews/posts/1416138715204058/|#]] 이 때문에 '[[발롱도르 드립|하정우도르]] 수상 그룹' 이라 불린다. * 7명 중 앤을 제외한 6명의 멤버들이 모두 상반기에 생일이 몰려 있다. 심지어 [[서경(공원소녀)|서경]]과 [[레나(공원소녀)|레나]]는 4월 16일-4월 17일로 날짜가 붙어있다. 5월생인 [[미야(공원소녀)|미야]]의 생일이 지나가면 10월생인 [[앤(공원소녀)|앤]]의 생일까지 긴 공백기를 보내는 셈. ~~그래도 컴백 텀보단 짧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