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쇄된 교통시설)]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역은 현존하지 않습니다. 현재 마포구에 있는 전철역, rd1=공덕역)] ||<-3> {{{+2 '''공덕리역'''}}}[br]{{{#red '''(폐역)'''}}} || ||<-3> {{{#!wiki style="margin: 0 -10px" {{{#373a3c,#c3c6c8 {{{#!folding 경성순환노선(폐지) 운행계통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 {{{#!html
외선순환}}}[[동막역(용산선)|동 막]][br]← 0.8 km || [[경성순환노선|{{{#!html
경성순환노선}}}]] || {{{#!html
내선순환}}}[[미생정역|미생정]][br]0.6 km → ||}}}}}}}}}}}} || ||<-3> || ||<-3> '''다른 문자 표기''' || || 가나 ||<-2> 孔德里[br](こうとくり) || || 로마자 ||<-2> Kōtokuri || ||<-3> '''주소''' || ||<-3>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92 ([[도화동(마포구)|도화동]] 25-13번지) || ||<-3> '''역 운영기관''' || || [[용산선|{{{#ffffff 용산선}}}]] ||<-2> [[조선총독부]] 철도국 || ||<-3> '''개업일''' || ||<-3> [[1929년]] [[12월 1일]] || ||<-3> '''폐업일''' || ||<-3> [[1944년]] [[3월 31일]] || ||<-3> '''열차거리표''' || || [[용산역|{{{#!html
용산 방면}}}]][[미생정역|미생정]][br]← 0.6 km || '''[[용산선|舊 용산선]]'''[br]공덕리 || [[가좌역|{{{#!html
가좌 방면}}}]][[동막역(용산선)|동 막]][br]0.8 km → || {{{+1 孔德里驛 / Kōtokuri Station }}} [clearfix] [목차] == 개요 == [[용산선]]과 [[경성순환노선]]의 역이었다. 다른 역들보다 7개월 정도 늦은 [[1929년]] [[12월 1일]]에 개업했다. [[1944년]] [[일본 제국|일제]]가 전쟁 물자 공출을 위해 [[3월 31일]]에 일제히 역 건물을 뜯어가면서 [[폐지|폐역]]당했다. 이런 식으로 폐지 당한 역이 [[아현리역]], [[서소문역]], [[한강리역]], [[수철리역]] 등이다. 폐지된 지 60년이 훨씬 넘었고, 현재는 공덕리역 자리에 건물이 있어 흔적조차 찾아볼 수 없다. 그래도 역 터를 답사한 [[철도 동호인]]은 있다([[http://blog.naver.com/sj10913/50015656430|#]]). 1947년 2월 1일 1분 간 정차하는 조건으로 부활했다.[[https://cafe.naver.com/korailslr?iframe_url_utf8=%2FArticleRead.nhn%253Fclubid%3D13267663%2526page%3D1%2526menuid%3D17%2526boardtype%3DL%2526articleid%3D111112%2526referrerAllArticles%3Dfalse|열차 임시 정차의 건]] 현재 역 터에는 [[수도권 전철 5호선|5,]] [[서울 지하철 6호선|6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과 [[인천공항철도]] [[공덕역]]이 자리한다. 용산선 시절에는 지상이었으나 경의선 복선전철화 당시에 지하화되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용산선의 역 목록)] [[분류:1929년 개업한 철도역]][[분류:1944년 폐지된 철도역]][[분류:마포구의 폐지된 철도역]][[분류:용산선의 폐지된 철도역]][[분류:경성순환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