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 국군병원)] [include(틀:대한민국 공군의 독립부대)] [include(틀:공군교육사령부)] ||<-2> '''{{{+2 공군교육사령부 기지병원}}}[br]空軍敎育司令部基地病院[br]Air Force Education & Training Command Base Hospital''' || ||<-2> [[파일:공군교육사령부_마크.png|width=300]] || || '''창설일''' ||1952년 7월(공군항공병학교 의무실)[br][[2021년]] [[1월]] ('''공군교육사령부 기지병원''') || || [[약칭|{{{#ffffff '''약칭'''}}}]] ||'''기지병원''' || || [[상징명칭|{{{#ffffff '''상징명칭'''}}}]] ||'''비성나래병원''' || || '''소속''' ||[[대한민국 공군]] || || '''상급부대''' ||[[공군교육사령부]] || || '''종류''' ||[[국군병원]][* 국방환자관리훈령 상 일부 업무를 제외하고 군병원에 준하게 취급된다. ] || || '''역할''' ||[[공군교육사령부]] 의무지원 및 입영정밀신체검사 시행 || || '''병원장''' ||[[중령]] 황은정 (공사 54기) || || '''위치''' ||[[경상남도]] [[진주시]] 금산면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공군교육사령부, 너비=100%, 높이=100%)]}}} || || '''진료시간''' ||'''08:50~16:30''' || || '''전화번호''' ||'''055-750-2803''' || [목차] [clearfix] == 개요 == [[공군교육사령부]] 예하 '''기지병원'''. [[경상남도]] [[진주시]] 금산면 교육사령부 기지 내에 위치하고 있다. == 상세 == [[공군항공우주의료원]]과 함께 공군에 둘뿐인 [[대령]]급 지휘관이 보임하는 대형 의무부대로, 교육사 내 장병·군무원 대상 진료뿐 아니라 공군에 입영해 기본군사훈련을 받는 장병을 대상으로 연간 3만 건의 입영신체검사, 코로나19검사, 마약검사, 기본 예방접종 등을 수행한다. 이름에 병원이 들어가지만, 엄밀히 따지면, [[https://www.law.go.kr/LSW//admRulLsInfoP.do?chrClsCd=&admRulSeq=2100000221408|국방환자관리훈령]]에서 제시하는 '''군병원'''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군병원에는 의무사령부 예하 전후방 병원들과 해군해양의료원, 해군포항병원, 공군항공우주의료원만이 명시되어 있다. ]. 그러나 [[육군훈련소지구병원]]과 함께 훈령의 일부 조항[* 제4조(육군훈련소지구병원 등의 진료범위) ① 육군훈련소지구병원, 공군교육사령부 기지병원은 제47의5부터 제52에 따른 간부의 공무상요양, 의무조사, 진료미종결 전역자 치료, 군병원 전역자의 국가유공자 등록안내를 제외한 조항을 준용하여 진료할 수 있고, 「병역법 시행령」제25조에 따른 입영정밀신체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을 제외하고 여타 군병원과 동일하게 진료가 가능하다. 이러한 점을 종합해 보았을 때, '''군병원에 준하는''' 군 보건의료기관이라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군병원보다는 살짝 낮고 비행단급(사단급) 의무부대보다는 높은 정도라고 이해할 수 있다. === 역사 === * 1952. 07. [[공군기본군사훈련단|공군항공병학교]] 의무실 설치 * 1955. 10. [[공군정보통신학교|공군통신전자학교]] 의무대대로 전환창설 * 1956. 00. [[공군교육사령부|공군기술교육단]] 의무대대로 예속변경 * 1962. 00. 공군기술교육단 기지병원으로 부대명칭 변경 * 1971. 00. 공군기술교육단 항공의무전대로 부대명칭 변경 * 1973. 00. 공군교육사령부 항공의무전대로 부대명칭 변경 * 1988. 00. 구관 완공 * 2010. 01. 신관 완공 * 2021. 01. 공군교육사령부 기지병원으로 부대명칭 변경 * 2023. 09. 증축·리모델링 완공 및 '''비성나래병원''' 애칭 사용 === 편제 === 진료실, 예방의무실, 간호실과 운영과 등의 부서가 존재한다. == 진료과목 == * [[내과]] * [[정신건강의학과]] * [[신경외과]] * [[정형외과]] * [[안과]] * [[이비인후과]] * [[피부과]] * [[영상의학과]] * [[병리과]] * [[응급의학과]] * [[한의원|한방과]] * [[치과]] === 진료여건 === 병원 규모가 인근 지역 군부대 중에서는 비교적 큰 편이라[* 진료 보러 온 인접지역 육군 부대 장병을 종종 병원에서 볼 수 있다. ], 타 공군 부대에 비해 군의관 수도 많고 진료과 숫자도 살짝 많은 수준이다. 의료기기도 일반 비행단 항공의무대대에는 엑스레이 정도만 있다면, 여기는 그래도 CT 정도는 있다. 물리치료실과 물리치료사도 갖추고 있다. 여타 공군부대와 마찬가지로 응급의학과 군의관의 부족[* 응급의학과 군의관이 보임은 되나, 응급의학과 군의관으로만 24시간 응급실을 돌리기엔 사람 수가 모자란다. ]으로 모든 과 군의관들이 돌아가며 응급진료 등을 서기 때문에 근무 off인 날에는 해당 전문과 진료를 보지 못할 수도 있으나, 병원 규모가 커서 수요가 많은 진료과는 여러 명의 군의관이 진료를 보기 때문에 이러한 일은 타 부대에 비해 적은 편. 병, 부사관, 준사관, 학사 및 학군장교까지 공사 출신을 제외하고는 공군의 모든 장병들이 교육사에서 배출되기에 자연스레 이 병원도 한 번 이상은 방문하게 된다. 입영 초기 가장 얼어붙어 있는 시기에 소변검사, 피검사 등 입영신체검사와 각종 예방접종을 위해 필수적으로 방문한다. 훈련병, 후보생 등의 경우, 응급환자가 아니라면 일과중 정해진 시간에 조교 인솔하에 단체로 검진, 접종, 진료 수진을 위해 방문한다. 진료 수진의 경우, 희망하는 전문과 군의관이 없는게 아니라면 어지간해서는 해당 과에서 진료를 보게 해준다. 기간 장병의 경우는 일반적인 공군 의무대대와 비슷하게 인트라넷에 공지되는 각 진료과별 진료시간에 맞춰 예약을 하거나 당일에 방문하여 진료를 보게 된다. 자대 생활 중 발생할 수 있는 질병과 부상의 대부분은 여기 진료과에서 커버가 되지만, 정밀 진단이 필요하거나 군의관이 없는 진료과 진료가 필요한 경우 [[해군해양의료원]]이나 [[국군함평병원]] 혹은 긴급한 경우 아예 진주 시내의 [[경상대학교병원]] 등으로 외진을 나가게 된다. == 사건사고 == === [[공군교육사령부 기지병원 진료 묵살 사건]] === 해당 항목 참조. == 여담 == == 출신인물 == === 원장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6> '''역대 기지병원장''' || || '''역대''' || '''이름''' || '''계급''' || '''임관''' || '''보직''' || '''기타''' || || 00대 || 김민구 || 예) [[대한민국 공군|공군]] [[소령]] || [[군의관|군의]] 23기 || 前 항공의무전대장 || || || 00대 || 안창호 || 예) [[대한민국 공군|공군]] [[중령]] || [[군의관|군의]] 33기 || 前 항공의무전대장 || || || 00대 || 이우영 || [[대한민국 공군|공군]] [[대령]] || [[공군사관학교|공사]] 45기[*위탁교육 의과대학 위탁교육 수료] || 前 항공의무전대장 || 現 공군본부 의무실장 || || 00대 || 양솔몬 || [[대한민국 공군|공군]] [[중령]] || [[공군사관학교|공사]] 46기[*위탁교육 의과대학 위탁교육 수료] || 前 항공의무전대장 || 대령 진급 후 재보임 || || 00대 || || [[대한민국 공군|공군]] [[중령]] || || 前 항공의무전대장 || || || 00대 || 양솔몬 || [[대한민국 공군|공군]] [[대령]] || [[공군사관학교|공사]] 46기[*위탁교육 의과대학 위탁교육 수료] || 前 기지병원장[* 기지병원으로 명칭 변경 후 초대 원장] || 現 [[국군수도병원]] 기획관리실장[* 이전에는 [[공군항공우주의료원]]장을 역임하였다. ] || || 00대 || 조선희 || [[대한민국 공군|공군]] [[대령]] || [[국군간호사관학교|간사]] 38기 || 前 기지병원장 || || || 00대 || 황은정 || [[대한민국 공군|공군]] [[중령]] || [[공군사관학교|공사]] 54기[*위탁교육 의과대학 위탁교육 수료] || 現 기지병원장 || || }}} === 장교/부사관 === * [[이낙준]] - 군의관으로 근무하였다. === 병 === == 관련 문서 == * [[국군의무사령부]] * [[공군교육사령부]] * [[공군항공우주의료원]] * [[육군훈련소지구병원]] [[분류:대한민국 국군]][[분류:대한민국 공군]][[분류:공군교육사령부]][[분류:국군의무사령부]][[분류:군병원]][[분류:경상남도의 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