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폐지된 말레이시아의 시험, rd1=Penilaian Tahap Satu, other2=배틀그라운드 대회, rd2=, rd2_1=PUBG Thailand Series)] [include(틀:대만의 TV 방송)] [[파일:agY3JAU.jpg]] 財團法人 公共電視文化事業基金會 Taiwan Public Television Service Foundation [[http://www.pts.org.tw/|홈페이지]] [목차] == 개요 == 대만의 [[공영방송]]을 운영하는 재단법인 단체로. 약칭은 공공전시대(公共電視台), 공공전시(公共電視), 공시(公視), PTS로 쓰이고 있다. [[중화 텔레비전]](中華電視公司), 하카 텔레비전(客家電視台), 원주민족 텔레비전(原住民族電視台)과 함께 타이완 공영방송 그룹([[TBS(동음이의어)#s-1.4|TBS]])을 이룬다. PTS는 성격상 한국의 [[KBS 1TV]]나 [[국회방송]], [[KTV]]에 대응되는 공영채널이다. 한국의 [[EBS]]에 대응하는 채널은 [[중화 텔레비전]](CTS/화시)의 교육문화채널이며, 사실 제1공영방송으로서의 위상적인 측면은 [[중화 텔레비전|CTS]] 본채널(교육문화채널은 별도의 채널이다)이 KBS1과 비슷하다. 1980년 [[대만]] [[행정원]](정부)이 공영방송 설립을 제안했는데, 당시 대만은 민간 텔레비전 방송국만 있는 상황이었다. 정확히 말하자면 1997년 이전까지의 3대 TV방송국은 정부와 국민당에서 지분 다수를 차지하여 사실상 국영방송의 형태를 띄기는 했지만 한국과는 다르게 전부 명목상으로는 국영방송이나 공영방송이 아닌 민영방송의 형식으로 운영되었다. 1998년 7월 1일 공공전시문화사업기금회가 설립되면서 정식으로 개국했다. 운영비는 시청자에게 수신료를 징수하지 않고, 행정원의 교부금으로 충당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업광고는 편성하지 않는다. 채널 특성상 오락 프로그램보다 교양 프로그램을 중점적으로 편성하며 프로그램의 질이 높다는 평가를 많이 받지만 시청률이 그리 높지 않다. 2017년부터 대만 최초로 [[4K UHD]] 채널을 시험방송 중이다.[[https://www.pts.org.tw/4k_UHD/20200826/|#]] 2019년 7월 1일 [[대만어]] 채널을 신설했으며[[https://ent.ltn.com.tw/news/breakingnews/2839501|#]], 2020년부터는 [[영어]] 방송을 준비 중이다.[[https://focustaiwan.tw/culture/202007210012|#]] == 영상 == [youtube(tyfZMpuwzt0)] * 정파영상 [youtube(9SiawTmDz5w)] * 정파영상(HD 채널) [[분류:아시아의 공영방송]][[분류:대만의 방송]][[분류:1998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