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 골드 알뤼르 관련 틀}}}''' ||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include(틀:JRA상 최우수 더트 호스)] [include(틀:신세기의 명마 베스트 100)] ---- [include(틀:NAR 그랑프리 더트 그레이드 경주 특별상)] [include(틀:NAR 그랑프리 특별 표창마)]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old_Allure.jpg|width=100%]]}}} || ||<-2> 이름 || ゴールドアリュール[br]Gold Allure || ||<-2> 출생 || [[1999년]] [[3월 3일]] || ||<-2> 죽음 || [[2017년]] [[2월 18일]] (18세) || ||<-2> 성별 || 수컷 || ||<-2> 털색 || 밤색 (栗毛, 쿠리게) || ||<-2> 아비 || [[선데이 사일런스]](Sunday Silence) || ||<-2> 어미 || 니키야(ニキーヤ) || ||<-2> 외조부 || 누레예프(Nureyev) || ||<-2> 성적 || 16전 8승 (8-1-1-6)[br]12전 5승[*중앙][br]4전 3승[*지방] || ||<-2> 총상금 || 4억 1037만 6000엔[br]2억 1037만 6000엔[*중앙][br]2억 엔[*지방] || ||<|3> 주요[br]우승 || G1 || [[페브러리 스테이크스]](2003) || || 통일 G1 || [[재팬 더트 더비]](2002)[br][[더비 그랑프리]](2002)[br][[도쿄대상전]](2002) || || G3 || [[안타레스 스테이크스]](2003) || ||<-2> 주요 수상 || 2002년 JRA 최우수 더트 호스[br]2002년 NAR 그랑프리 특별 표창마[br]2002년 더트 그레이드 경주 최우수마 || ||<-2> [[#주요 산구|주요 산구]] || [[에스포와르 시티]](2005)[br][[스마트 팔콘]](2005)[br][[코파노 리키]](2010)[br][[골드 드림]](2013)[br][[크리소베릴(말)|크리소베릴]](2016)[br][[나란 훌레그]](2016) || ||<-2> 상세 정보 || [[https://db.netkeiba.com/horse/1999106689/|[[파일:netkeiba_logo.png|width=85]]]] | [[https://www.jbis.or.jp/horse/0000619768/|JBIS]]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Gold_Allure_Portrait.jpg|width=100%]]|| || '''내일의 이야기[br]{{{-2 明日の物語}}}''' || || '''{{{#white 2019년 명마의 초상}}}''' || >'''내일의 이야기''' > >전화를 미워해도 >병을 원망해도 >잃어버린 시간이 >돌아올 일은 없다 > >하지만 한탄하지 마라 >그때 그렸던 꿈을 >그대가 남긴 희망이 >지금 뒤쫓고 있다 > >이야기는 계속된다 >흙먼지 너머로 >---- >JRA 명마의 초상 일본의 경주마. [[선데이 사일런스]]의 산구 중에서 유일한 더트 G1/Jpn1 우승마다.[* 정작 선데이 사일런스는 현역 시절에 더트만 뛰었다.] 자마도 주로 더트 G1/Jpn1 우승마를 많이 배출했으며, 자마인 [[크리솔라이트]]가 한국에서 종마 생활을 하고 있다. 마명은 '황금의 매력'이라는 뜻으로, 영어 발음과 프랑스어 발음이 합쳐진 독특한 이름이다. 이 때문에 한국에서는 전부 영어 발음인 골드 알루어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 혈통 == || 1대 || 2대 || 3대 || ||<|4>'''[[선데이 사일런스]]'''[br]{{{-2 Sunday Silence[br]1986}}}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2>'''[[헤일로(말)|헤일로]]'''[br]{{{-2 Halo[br]1969}}}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헤일 투 리즌'''[br]{{{-2 Hail to Reason}}}|| ||코스마[br]{{{-2 Cosmah}}}|| ||<|2>위싱 웰[br]{{{-2 Wishing Well[br]1975}}}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언더스탠딩[br]{{{-2 Understanding}}}|| ||마운틴 플라워[br]{{{-2 Mountain Flower}}}|| ||<|4>니키야[br]{{{-2 Nikiya[br]1993}}}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2>누레예프[br]{{{-2 Nureyev[br]1977}}}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__[[노던 댄서]][br]{{{-2 Northern Dancer}}}__|| ||스페셜[br]{{{-2 Special}}}|| ||<|2>릴럭턴트 게스트[br]{{{-2 Reluctant Guest[br]1986}}}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호스티지[br]{{{-2 Hostage}}}|| ||베이글리 로열[br]{{{-2 Vaguely Royal}}}|| ||<-3>* [[노던 댄서]] 3×5 15.625%[br]* 앨마무드 4×5 9.375%|| == 생애 == === 2세 (2001년) === 데뷔전에서 3착한 후 두 번째 경주에서 첫 승리를 거뒀다. 연말에는 [[타케 유타카]]와 함께 오픈 경주인 호프풀 스테이크스[* 현재의 호프풀 스테이크스와 같은 조건으로 시행했지만 직접적인 연관은 없다. 현행 호프풀 스테이크스의 전신은 한신 경마장에서 열렸던 라디오탄파배 3세(2세) 스테이크스.]에 1번 인기로 출전했지만 4착을 거뒀다. === 3세 (2002년) === [include(틀:2002년 NAR G1 대회 우승마/간략)] 3세가 된 후에도 3연패를 거두자 결국 더트로 전향했다. 여기서 내리 2연승을 거두며 잔디보다 더트에 적성이 있다는 것이 드러났다. 하지만 진영은 [[일본 더비]]에 도전하기로 하면서 다시 잔디 경주에 출전하게 되었다. 그러나 결국 잔디 마장을 극복하지 못하고 [[타니노 김렛]]과 [[심볼리 크리스 에스]] 등에 밀리며 5착을 거뒀다. 다시 더트로 돌아온 골드 알뤼르는 타케를 다시 태우고 오오이 경마장의 재팬 더트 더비에 도전했다. 시작부터 선두를 잡고 그대로 2착마와 7마신 차이로 벌리며 레이스 레코드로 첫 G1 승리를 따냈다. 여름 휴양 후 모리오카 경마장의 [[더비 그랑프리]]에 출전했다. 여기서도 도주하여 10마신 차로 승리를 따내면서 최초의 양대 더트 더비마가 되었다.[* 2005년에 [[카네 히키리]]가 두 대회를 우승하면서 두번째 양대 더트 더비마가 되었다. 하지만 더비 그랑프리는 2008년에 폐지했고, 2010년에 부활하긴 했지만 모리오카 경마장의 자체 등급인 M1으로 시행하게 되면서 양대 더트 더비마는 더이상 나오지 않고 있다.] [[챔피언스 컵|재팬 컵 더트]]에선 동기이자 아사히배 우승마인 [[어드마이어 돈]]과 맞붙게 되며 주목을 받았고, 그에 이은 2번 인기를 받았다. 골드 알뤼르는 마지막 직선에서 먼저 치고 나왔고 어드마이어 돈이 뒤따랐으나, 안쪽에서 올라온 이글 카페가 무서운 기세로 둘을 제치며 우승을 차지했고 골드 알뤼르는 어드마이어 돈에게도 뒤쳐지며 5착을 거뒀다. 연말의 도쿄대상전에선 이글 카페와 어드마이어 돈이 회피하여 압도적인 1번 인기로 출전했고, 여기서 2착마 비와 신세이키에 1마신 반 차이로 1착하면서 세번째 G1 승리를 따냈다. 그해 [[JRA상]]에서 최우수 더트 호스로 선정되었다. === 4세 (2003년) === [include(틀:2003년 JRA G1 대회 우승마/간략)] 고마 첫 경주인 페브러리 스테이크스에서는 G1마가 8마리라는 호화 멤버들 사이에서 1번 인기로 출전했다. 최종 코너에서 선두의 카네츠 플뢰브를 따라잡았고, 비와 신세이키의 거센 추격을 받았지만 끝까지 버티고 목 차이로 승리를 거두며 4번째 G1 승리이자 첫 중앙 G1 승리를 가져갔다. 3월에는 두바이 월드컵 원정을 위해 출국했지만, 하필이면 그때 [[이라크 전쟁]]이 발발하면서 경유지인 싱가포르에서 두바이로 가는 항공편이 취소되고 말았다. 두바이 월드컵 대회 자체는 정상적으로 진행됐지만 정작 두바이로 가지 못하게 되면서 결국 단념하게 되었다. 일본으로 돌아온 골드 알뤼르는 안타레스 스테이크스 (G3)에서 이글 카페를 8마신 차이로 가볍게 이겼다. 6월에는 제왕상에 출전했지만 전혀 힘을 쓰지 못하고 11착으로 밀렸다. 이후 검사에서 천명증으로 판명났고, 복귀를 위해 재활에 들어갔지만 증상이 악화되어 그대로 은퇴했다. === 종마 시절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연도 || 교배[br]두수 || 자마[br]두수 || 교배료[br](만 엔) || Sire[br]순위 || || 계양처 ||<-4> 샤다이 스탤리언 스테이션 (2004~2017) || || 2004 || 147 || - || 200[*조건A 수태 확인 후] || - || || 2005 || 189 || 85 || 150[*조건A] || - || || 2006 || 136 || 122 || 150[*조건A] || - || || 2007 || 132 || 83 || 120[*조건A] || 97 || || 2008 || 204 || 90 || 300[*조건A] || 27 || || 2009 || 186 || 143 || 300[*조건A] || 17 || || 2010 || 207 || 117 || 300[*조건A] || 18 || || 2011 || 144 || 153 || 300[*조건A] || 15 || || 2012 || 180 || 95 || 250[*조건A] || 14 || || 2013 || 160 || 126 || 200[*조건A] || 11 || || 2014 || 188 || 112 || 200[*조건A] || 10 || || 2015 || 191 || 127 || 300[*조건A] || 10 || || 2016 || 141 || 131 || 300[*조건A] || 12 || || 2017 || 6 || 91 || 300[*조건B 수태 확인 후 ※FR특약 없음] || 9 || || 2018 || - || 4 || || 10 || }}}[*출처 [[https://mag-p.com/1819/|#]]] 2004년부터 샤다이 스탤리언 스테이션에서 종마 생활을 시작했다. 첫해 산구부터 [[에스포와르 시티]], [[스마트 팔콘]] 등 G1마만 3마리를 배출했으며, 그 후로도 일본 최다 G1 우승마 (11승)인 [[코파노 리키]], 초대 [[코리아컵]] 우승마 [[크리솔라이트]] 등 우수한 더트마들을 배출했다. 2022년에는 [[나란 훌레그]]가 타카마츠노미야 기념을 우승하면서 잔디 G1마를 배출하는데도 성공했다. 2017년에 18세의 나이로 심장질환으로 죽었다. ====# 주요 산구 #==== 2005년산 * [[에스포와르 시티]] - '''[[챔피언스 컵|재팬 컵 더트]] (2009), [[페브러리 스테이크스]] (2010), [[마일 챔피언십 남부배]] (2009, 2012, 2013), [[카시와 기념]] (2009, 2010, 2012), [[JBC 스프린트]] (2013)''', [[마치 스테이크스]] (2009), [[나고야대상전]] (2011), [[미야코 스테이크스]] (2011) * [[스마트 팔콘]] - '''[[JBC 클래식]] (2010, 2011), [[제왕상]] (2011), [[도쿄대상전]] (2010, 2011), [[카와사키 기념]] (2012)''', [[우라와 기념]] (2008, 2010), [[브리더즈 골드 컵]] (2009), [[다이올라이트 기념]] (2010), [[니혼테레비배]] (2010), [[하쿠산대상전]] (2008), [[효고 골드 트로피]] (2008), [[사가 기념]] (2009), 나고야대상전 (2009), [[카키츠바타 기념]] (2009, 2010), [[사키타마배]] (2009, 2010) * 오로 마이스터 - '''마일 챔피언십 남부배 (2010)''' 2010년산 * [[코파노 리키]] - '''페브러리 스테이크스 (2014, 2015), 카시와 기념 (2014, 2016, 2017), JBC 클래식 (2014, 2015), 제왕상 (2016), 마일 챔피언십 남부배 (2016, 2017), 도쿄대상전 (2017)''', [[효고 챔피언십]] (2013), [[토카이 스테이크스]] (2015) * [[크리솔라이트]] - '''[[재팬 더트 더비]] (2013)''', 니혼테레비배 (2014), 다이올라이트 기념 (2015~2017),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px]]]] [[코리아컵]] (2016) * [[그레이스풀 립]] - '''JBC 스프린트 (2018)''', [[서머 챔피언]] (2016),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px]]]] [[코리아컵|코리아 스프린트]] (2017), 효고 골드 트로피 (2017), [[도쿄 스프린트]] (2018) 2012년산 * 랄라벨 - '''[[JBC 레이디스 클래식]] (2017)''' 2013년산 * [[골드 드림]] - '''페브러리 스테이크스 (2017), [[챔피언스 컵]] (2017), 카시와 기념 (2018, 2019), 제왕상 (2018)''', [[유니콘 스테이크스]] (2016) 2014년산 * 선라이즈 노바 - '''마일 챔피언십 남부배 (2019)''', 유니콘 스테이크스 (2017), [[무사시노 스테이크스]] (2018, 2020), [[프로키온 스테이크스]] (2020) 2016년산 * [[크리소베릴(말)|크리소베릴]] - '''재팬 더트 더비 (2019), 챔피언스 컵 (2019), 제왕상 (2020), JBC 클래식 (2020)''', 효고 챔피언십 (2019), 니혼테레비배 (2019) * [[나란 훌레그]] - '''[[타카마츠노미야 기념]] (2022)''' ==== Broodmare Sire(BMS) 산구 ==== 2015년산 * [[오메가 퍼퓸]] - '''도쿄대상전 (2018~2021), 제왕상 (2019)''', [[시리우스 스테이크스]] (2018), [[헤이안 스테이크스]] (2020), [[안타레스 스테이크스]] (2022) == 여담 == * 한 성깔 나오기로 유명한 선데이 사일런스의 자마답지 않게 성격은 온순했다고 한다. == 경주 성적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경주일 || 경마장 || {{{#!wiki style="min-width: 130px" 경기명}}} || 등급 || {{{#!wiki style="min-width: 80px" 트랙}}} || 배당 || 인기|| 착순 || 기수 || 1착마[br](2착마) || ||<-10> 2001년 {{{-1 (2세)}}} || || 11.11 || [[교토 경마장|교토]] || 2세 신마 || || 잔디 1800m || 5.3 || 3 || 2착 ||<|2> [[쿠마자와 시게후미]] || 야마닌 세라핌 || || 11.25 || 교토 || 2세 신마 || || 잔디 1800m || 1.4 || 1 || '''{{{#red 1착}}}''' || (암피트리온) || || 12.23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호프풀 스테이크스 || OP || 잔디 2000m || 1.9 || 1 || 4착 || [[타케 유타카]] || 타이거 카페 || ||<-10> 2002년 {{{-1 (3세)}}} || || 1.26 || [[코쿠라 경마장|코쿠라]] || 쿠스노키상 || 500만 || 잔디 1800m || 2.2 || 1 || 3착 || 우치다 코이치 || 타케하나 오페라 || || 2.23 || 나카야마 || 스이센상 || 500만 || 잔디 2200m || 5.0 || 2 || 5착 || [[고토 히로키(기수)|고토 히로키]] || 대디스 드림 || || 3.9 || [[한신 경마장|한신]] || 유키야나기상 || 500만 || 잔디 2000m || 3.6 || 1 || 4착 || 쿠미자와 시게후미 || 유우 캐럿 || || 4.13 || 한신 || 3세 500만 이하 || || 더트 1800m || 4.5 || 2 || '''{{{#red 1착}}}''' ||<|3> 우에무라 히로유키 || (마이네르 디바인) || || 4.27 || 교토 || 탄고 스테이크스 || OP || 더트 1800m || 2.4 || 1 || '''{{{#red 1착}}}''' || (카이트 힐 윈드) || || 5.26 || [[도쿄 경마장|도쿄]] || [[일본 더비]] || '''GI''' || 잔디 2400m || 48.1 || 13 || 5착 || [[타니노 김렛]] || || 7.4 || [[오이 경마장|오이]] || '''[[재팬 더트 더비]]''' || '''JpnI''' || 더트 2000m || 1.5 || 1 || '''{{{#red 1착}}}''' ||<|4> 타케 유타카 || (인터 타이요) || || 9.23 || [[모리오카 경마장|모리오카]] || '''[[더비 그랑프리]]''' || '''JpnI''' || 더트 2000m || '''1.1''' || 1 || '''{{{#red 1착}}}''' || (스타 킹 맨) || || 11.23 || 나카야마 || [[챔피언스 컵|재팬 컵 더트]] || '''GI''' || 더트 1800m || 2.6 || 2 || 5착 || [[이글 카페]] || || 12.29 || 오이 || '''[[도쿄 대상전]]''' || '''JpnI'''[* 2011년에 국제G1으로 승격했다] || 더트 2000m || 1.5 || 1 || '''{{{#red 1착}}}''' || (비와 신세이키) || ||<-10> 2003년 {{{-1 (4세)}}} || || 2.23 || 나카야마 || '''[[페브러리 스테이크스]]''' || '''GI''' || 더트 1800m || 3.1 || 1 || '''{{{#red 1착}}}''' ||<|3> 타케 유타카 || (비와 신세이키) || || 4.27 || 교토 || [[안타레스 스테이크스]] || GIII || 더트 1800m || 1.4 || 1 || '''{{{#red 1착}}}''' || (이글 카페) || || 6.25 || 오이 || [[제왕상]] || '''JpnI''' || 더트 2000m || '''1.1''' || 1 || 11착 || 네임 밸류 || }}} [include(틀:페브러리 스테이크스,grade=GI)] [include(틀:재팬 더트 더비,grade=통일 GI)] [include(틀:더비 그랑프리,grade=통일 GI)] [include(틀:도쿄대상전,grade=통일 GI)] ---- [include(틀:안타레스 스테이크스,grade=GIII)] [[분류:경주마/일본 생산]][[분류:경주마/일본 조교]][[분류:죽은 경주마]][[분류:1999년 출생/경주마]][[분류:2017년 죽은 동물]][[분류:선데이 사일런스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