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곡창지대란 말 그대로 [[곡창]]과 같이 식량이 풍부한 지역을 말한다. 보통 [[평야]]거나 [[삼각주]], [[선상지]], [[범람원]], [[흑토]] 등 충적토가 쌓인 지형, 부식토가 몇 미터가 쌓인 곳으로 특히 후자 2개는 농사가 매우 잘 되는 선택받은 땅이다. 농사짓기 적합한 지역인만큼 [[농업]]이 주 산업이던 과거에는 인구밀도가 가장 높은 지역이었다. 공업화와 [[산업화]]로 인구가 도시로 집중되어 인구밀도가 줄어들었지만 도시를 제외하고 보면 여전히 인구가 집중되어 있다. 곡창지대의 존재 여부는 국가의 [[식량자급률]]과도 밀접한데 곡창지대가 적을수록 식량을 생산하기 불리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식량 자원을 수입에 의존하게 되어 식량자급률이 떨어지게 된다. 반면 곡창지대가 많은 나라는 식량 생산에 여유가 있어 높은 자급률을 자랑하다 못해 해외로 수출도 한다. 자연적 요인 혹은 인위적 요인으로 곡창지대를 잃거나 경지 면적이 감소하여 과거엔 식량수출국이었다가 현재는 식량수입국이 된 국가도 일부 있는데 [[이집트]]와 [[짐바브웨]]가 대표적이다. 특히 짐바브웨는 2000년까지 밀, 담배, 옥수수를 다른 아프리카 국가에 수출하기까지 했는데 현재는 대부분의 식량을 유럽이나 북미에서 수입한다. 또한 곡창지대는 전략, 안보에서도 중요한데 곡창지대를 사수해야 전시에도 원활한 식량 공급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도 우크라이나 곡창이 위협받으면서 세계 식량 공급에 빨간불이 켜졌다. 글자 그대로의 곡창을 영어로는 Granary, 곡창지대는 breadbasket이라고 한다. 즉 [[빵]] 바구니다. [[동남아시아]]처럼 쌀을 주로 재배하는 지역의 곡창 지대를 가리킬 때는 rice bowl이라는 표현도 쓰인다. == 목록 == __밑줄__은 주요 식량 수출국 === 아시아 === * [[대한민국]] - [[호남평야]], [[나주평야]], [[낙동강]] 유역 분지, [[형산강]] 중류 지역, [[금강]] 유역 중하류 지역, [[철원평야]] * [[북한]] - [[재령군|재령평야]], [[평양시|평양평야]], [[안주시|안주평야]] * [[일본]] - [[간토 평야]][* 일본 최대의 평야. 계속된 개발로 현재는 도시가 빽빽하게 채워지면서 [[메트로폴리스]]가 되었으나 그 넓은 평야에 전부 도시가 들어선 것은 아닌데다 농사를 안 짓는 것은 아니라서 외곽 지역에서 산출되는 농산물의 양이 아직도 상당한 편이며 지평선이 보일 정도의 넓은 논밭이 펼쳐진 곳들도 남아 있다.], [[토카치 평야]], [[도호쿠]] 지방을 비롯한 [[혼슈]] 북부 지역[* [[아키타현]], [[니가타현]], [[야마가타현]]이 유명한 곡창지대이다.] * [[중국]] - [[화북 평야]], 동북 평야, [[장강]], [[강남(중국)|강남]] 일대, [[쓰촨]] 분지, 삼강평원 * [[대만]] - [[자이현]], [[장화현]], [[신주현]], [[먀오리현]], [[타오위안시]], [[윈린현]] * __[[베트남]]__ - [[메콩강]] [[삼각주]], [[홍강]] 삼각주 일대 * [[필리핀]] - [[루손섬]][* 누에바에시하 지방이 쌀 생산으로 잘 알려져 있다.], [[민다나오섬]] * __[[태국]]__ - 짜오프라야강 삼각주 일대 * [[인도네시아]] - [[자바섬|자바]] 평야 * [[말레이시아]] - [[크다]] * [[캄보디아]] - 바탐방 * [[미얀마]] - [[이라와디강|이라와디 삼각주]] * [[이라크]] - [[바스라]], [[알자지라]] * [[시리아]] - [[알자지라]] * [[파키스탄]] - [[펀자브(파키스탄)|펀자브]] * __[[인도]]__ - [[인더스강]] - [[갠지스강]] 평원[* 인도는 전 국토의 약 절반이 경작지로, 영토는 3배지만 경지율이 15~20%에 불과한 중국의 경지 면적을 능가하며 미국과 함께 경지 면적 세계 1위를 오간다.], [[펀자브(인도)|펀자브]] * [[방글라데시]] - 국토의 많은 지역이 포함된다. === 아메리카 === * __[[미국]]__ - [[텍사스]] 서북부 지역[* 세계에서 가장 비옥한 곡창지대 중 하나로 꼽힌다. 우수한 과일과 채소가 매우 많이 생산된다.], [[워싱턴주|워싱턴]] 서남부 지역, [[미시시피강]] 유역, [[캘리포니아]] 서부 지역, [[아이다호]] 컬럼비아 분지 지역[* 세계적인 감자 생산지이다.], [[프레리]][* [[몬태나]], [[와이오밍]], [[콜로라도]], [[노스다코타]], [[사우스다코타]], [[네브래스카]], [[캔자스]], [[오클라호마]], [[미네소타]], [[아이오와]], [[미주리]], [[인디애나]], [[일리노이]], [[미시간]] 등 북아메리카 중서부의 평원지대. 토지의 비옥도가 최고 수준이다. 특히 아이오와는 미국 최고 수준의 농업 생산량을 자랑한다. 이 중 [[노스다코타]], [[사우스다코타]] 동부 지역, [[미네소타]] 중남부 지역, [[아이오와]], [[미주리]], [[인디애나]], [[일리노이]]와 [[미시간]] 중남부 지역, [[오하이오주|오하이오]] 서부 지역이 [[옥수수]] 생산 중심지인 콘 벨트라고 한다.] * __[[캐나다]]__ - [[프레리]][* 이쪽은 [[서스캐처원]], [[앨버타]], [[매니토바]]에 위치한다.] * [[멕시코]] - [[시날로아]] * __[[아르헨티나]]__ - [[팜파스]] * __[[브라질]]__ - [[히우그란지두술]]. 그리고 개간된 지역 대부분이 포함되고 있다.[* [[아마조니아]] 등에 있는 열대우림 지대 정도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땅이 비옥한 농토로 쓸 수 있다. 열대우림은 비가 자주 오기 때문에 양분이 모조리 빗물에 쓸려나간 상태이므로 농사가 어려워 숲을 개간할 경우 [[화전(농업)|화전]]이 자주 이용된다. 즉, 일부러 불을 질러서 나무가 타고 남은 재로 일시적으로 땅에 양분을 공급한다.] * [[칠레]] - 남부 평야지대[* 칠레 남부가 칠레 농경지의 75%를 차지한다.] === 유럽 === * [[세르비아]] - [[보이보디나]] * [[스페인]] - [[안달루시아]] * [[포르투갈]] - 알렌테호 * [[이탈리아]] - [[포강]] 유역[* [[피에몬테]], [[롬바르디아]], [[베네토]]가 속한다.], [[에밀리아로마냐]], [[토스카나]], [[라치오]], [[시칠리아]] 섬 * __[[우크라이나]]__ - '''국토 대부분에 해당하는 [[초르노젬]][* 흑토를 러시아어로는 체르노젬, 우크라이나어로는 초르노젬이라고 발음한다.](흑토) 지역''' * __[[러시아]]__ - [[남부 연방관구]] 등 남부의 '''[[체르노젬]](흑토) 지역''' * __[[프랑스]]__ - '''국토 대부분'''[* 프랑스 농지의 비옥도는 미국이나 러시아, 우크라이나의 곡창보다는 낮지만 프랑스 국토 전체가 곡창지대에 해당한다. [[식량자급률]]이 300%를 아득히 넘겨 세계 최고 수준이다. [[대한민국]]은 47%, [[일본]]은 39%이며 [[독일]]은 150%, [[영국]]은 130% 초반이다. 물론 [[영국]]과 [[독일]]은 [[밀]], [[보리]]에서는 자급이 가능하지만 [[옥수수]], [[콩]]의 경우는 [[미국]], [[캐나다]], [[프랑스]]에서 일부를 수입한다. 전시 상황에서도 [[독일]], [[영국]]을 식량으로 먹여살릴 수 있을 정도로 [[유럽]]에서는 [[우크라이나]], [[러시아]], [[튀르키예]]와 함께 독보적인 농업국이다.] * __[[영국]]__ - [[사우스이스트 잉글랜드]], [[사우스웨스트 잉글랜드]], [[이스트 오브 잉글랜드]], [[요크셔험버]], [[스코틀랜드|스코티시 로랜드]] * __[[독일]]__- [[라인강]] 유역[* [[라인란트팔츠]], [[헤센]], [[바덴뷔르템베르크]] 등의 지역이 해당한다.], 북독일 평원[* [[니더작센]],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브란덴부르크]], [[작센안할트]] 등이 속한다.], [[바이에른]] 평원 * [[아일랜드]] - 국토 동부 지역[* 서부 지역은 주로 목초지로 사용된다.] * [[스웨덴]] - [[스코네]] 평야 * [[키프로스]] - 메사오리아 평야 * __[[튀르키예]]__- [[에게 해]] 연안 서부 지역, [[흑해]] 해안 일대 * [[폴란드]] - 국토 대부분[* 폴란드 전 국토의 90%가 평야지대이며 국토의 42%가 경작지이다. 특히 남동부 지역이 비옥하다.] * [[핀란드]] - [[우시마]] * [[헝가리]] - 헝가리 대평원[* 소위 [[푸스타 초원]]과 [[판노니아]] 분지로 불리는 [[카르파티아 산맥]] 서부 지역.] * [[불가리아]] - [[도브루자|남도브루자]] === 아프리카 === * [[이집트]][* 원래는 식량 수출국이었으나 농업 생산 감소와 인구 폭증으로 식량 수입국이 되었다. 참고로 이집트의 경지면적당 인구밀도는 일본에 이어 2위지만 인구가 정체, 감소중인 일본과 달리, 이집트는 아직도 인구가 폭풍 성장중이라 조만간 경지면적당 인구밀도 1위에 등극할 것으로 보인다.] - [[나일강]] [[삼각주]] 일대 * [[모로코]] - 차우이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프리스테이트]] 주 === 오세아니아 === * __[[호주]]__ - 머레이 달링 분지[* [[퀸즐랜드]], [[뉴사우스웨일스]], [[빅토리아주|빅토리아]] 동부 내륙 지역],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분지 지역,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에어 반도 * [[뉴질랜드]] - 캔터베리 평야, 타라나키 - 통가리로 용암대지 [[분류:인문지리]][[분류:농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