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전라남도의 기초자치단체)] [include(틀:곡성군의 읍면)] ||<-4> '''[[전라남도|{{{#000,#ddd 전라남도}}}]]의 [[자치군|{{{#000,#ddd 자치군}}}]]'''[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곡성군 CI.svg|height=65]]}}}||{{{#!wiki style="margin: -5px 0;" '''{{{+1 곡성군}}}'''[br]谷城郡[br]{{{-1 Gokseong County}}}}}}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곡성군&zoom=10, 너비=100%, 높이=100%)]}}} || ||<-2> '''군청 소재지''' ||<-2> 곡성읍 군청로 50 (읍내리) || ||<-2> '''광역자치단체''' ||<-2> [[전라남도]] || ||<-2> '''하위 행정구역''' ||<-2> 1[[읍(행정구역)|읍]] 10[[면(행정구역)|면]] || ||<-2> '''면적''' ||<-2> 547.47㎢ || ||<-2> '''인구''' ||<-2> 26,769명[* 2024년 4월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o.kr/|주민등록인구현황]].] || ||<-2> '''인구밀도''' ||<-2> 48.89명/㎢[* 2024년 4월 기준.] || ||<-2> '''[[곡성군수|{{{#fff 군수 권한대행}}}]]''' || [include(틀:권한대행 표시)] || 이귀동[* 직전 군수 [[이상철(1960)|이상철]]의 당선무효로 [[2024년]] [[10월 16일]]([[2024년 하반기 재보궐선거]])까지 권한대행을 맡게 되었다.] || ||<|2><-2> '''군의회'''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5석[* 곡성군 가선거구 (곡성읍, 오곡면, 목사동면, 죽곡면, 고달면): 강덕구, 김을남[br]곡성군 나선거구 (삼기면, 석곡면, 옥과면, 입면, 겸면, 오산면): 김요순, [[윤영규]][br]곡성군 비례대표: 김홍순] || || [include(틀:무소속/행정구역)] || 2석[* 곡성군 가선거구 (곡성읍, 오곡면, 목사동면, 죽곡면, 고달면): 조대현[br]곡성군 나선거구 (삼기면, 석곡면, 옥과면, 입면, 겸면, 오산면): 허채형] || ||<-2> [[전라남도의회|{{{#fff '''도의원'''}}}]]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진호건[* 곡성군 선거구] || ||<-2> '''국회의원'''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권향엽]][* 갑 선거구는 순천시로만 이루어져 있다. 곡성군은 광양시, 구례군과 함께 을 선거구에 속해 있다.][br]{{{#!wiki style="margin: 0 -10px; letter-spacing: -1px; font-size: 12px"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을|순천·광양·곡성·구례 을]] / 초선)}}} || ||<|4> '''상징''' || '''군화''' ||<-2> [[철쭉]], [[코스모스]] || || '''군목''' ||<-2> [[느티나무]] || || '''군조''' ||<-2> [[청둥오리]] || || '''군가''' ||<-2> [[https://www.gokseong.go.kr/kr/subPage.do?menuNo=101002005000|[[파일:음악 재생.svg|width=20]]]] || ||<-2> '''지역번호''' ||<-2> '''061''' || ||<-2> '''홈페이지''' ||<-2> [[http://www.gokseong.g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2> '''SNS''' ||<-2> [[https://www.facebook.com/gokseong.kr|[[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gokseong_lov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youtube.com/channel/UCYS4zxvKm6nq0SQ136C8Zw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blog.naver.com/gokseong_love|[[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곡성군청 전경 사진.jpg|width=100%]]}}} || || {{{#fff '''곡성군청 [br] {{{-2 전라남도 곡성군 곡성읍 군청로 50}}}'''}}} || [[전라남도]]의 [[군(행정구역)/대한민국|군]]. 전성기에는 인구가 11만 명까지 찍었지만 2018년 2월에 처음으로 3만이 깨졌으며 계속 감소 중이다. 북쪽으로는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남원시]]가 있고, 남쪽으로는 [[순천시]], 서남쪽으로는 [[화순군]]과 서쪽으로 [[담양군]], 동쪽으로는 [[구례군]]이 있다. 상징하는 [[꽃]]은 [[철쭉]]과 [[코스모스(꽃)|코스모스]]이며, [[나무]]는 [[느티나무]], [[새]]는 [[청둥오리]]이다. == 상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곡성1.jpg|width=100%]]}}} || || {{{#fff '''캐릭터 심청, 심학규'''}}} || == 역사 == [[백제]] 때는 곡나(谷那)[* [[일본서기]]의 [[오진 덴노]] 8년(397년?) 3월 기사에서 백제의 지역으로 언급되었으며, 같은 문헌의 [[진구 황후]] 52년(372년?) 9월 10일 기사에는 [[칠지도]]가 백제의 곡나철산(谷那鐵山)에서 얻은 철로 만들어졌다고 적혀 있다.] 또는 욕내군(欲乃郡)[* [[삼국사기]] 지리지에 백제의 지명으로 등장한다.]이었다. [[통일신라]] [[경덕왕]] 때 전국 지명을 한화하면서 곡성(谷城)으로 바꾸었다. [[고려]]시대에 한자가 [[곡성|哭聲]]으로 바뀌었고, 뜻이 좋지 않아 穀城으로 변경되었으나 나라에서 곡식 곡(穀) 자를 보고 풍족한 동네로 착각해서 조세를 많이 부과한다고 하여 다시 谷城으로 변경되었다. 1914년에 창평군이 담양군에 병합될 때 1908년 창평군이 병합했던 옥과군 일원을 가져왔다. 또한 구례군에서 고달면을 편입하였다. 1979년 곡성면이 [[곡성읍]]으로 승격하였다. == 지리 == [[섬진강]] 유역이 전체적으로 고지대인지라 전남에서 대지 고도가 가장 높은 곳이다. 장거리 육상 팀들이 이곳 도로에서 연습하는 것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농업으로 유명한 지역이며 (지방 군 단위 지역은 다 그렇다지만) 농업과 축산업 등이 가장 활발히 이루어지는 지역이다. 섬진강을 끼고 있다는 지리적 특성을 살려서 관광 산업 도시로도 각광 받는다. 곡성기차마을은 가족 나들이 코스로 잘 알려져 있다. 기차마을 옆으로 영화 세트장이 있었지만 철거되었고 현재는 유스호스텔이 지어졌다. [[태극기 휘날리며]]가 이곳에서 촬영되었다. 곡성군은 [[광주광역시]]와 교류가 많다. 읍면 별로는 크게 [[곡성읍]](오곡면, 고달면), [[옥과면]](삼기면, [[겸면]], [[입면]], 오산면), 석곡면(죽곡면, 목사동면) 3곳을 중심으로 나뉜다. * 곡성읍은 역사적으로도 곡성의 중심지이며 [[광주광역시]] 생활권과 [[남원시]] 생활권이 중첩되는 지역이다.[* 광주로는 시외버스가 하루 14회, 남원으로는 시내버스가 하루 17회 운행하고 [[전라선]] 기차를 하루 20회 이용할 수 있어 남원 생활권에 좀 더 가까운 편이다. 다만 곡성은 전남이기 때문에 행정기관들은 광주를 중심으로 묶여 있는 편.] [[곡성역]]을 이용하여 [[순천시]]로 가기도 한다. * 옥과면은 전남과학대학을 중심으로 상권이 형성되어 있으며 [[광주광역시]]와 매우 가까운 [[광주권]]이다. * 석곡면은 곡성, 옥과에 비해 규모는 작지만 5일장도 있고 [[순천시]]와 가까우며 [[광주광역시]]보단 순천시에 의존한다. === 인구 === || [[파일:곡성군 CI.svg|width=50]] '''{{{#000 전라남도 곡성군}}}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a97db 100%,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109,73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a97db 99.72%,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99,72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a97db 93.10%,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93,09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a97db 75.09%,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75,090명}}}}}} || || [[1983년]] [[2월 15일]] '''곡성군''' [[석곡면]] 운룡리 → [[승주군]] [[주암면]] 편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a97db 63.82%,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63,81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a97db 49.70%,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49,70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a97db 41.76%,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41,75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a97db 41.15%,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41,14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a97db 34.16%,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34,15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a97db 31.87%,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31,88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a97db 30.67%,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30,67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a97db 28.04%,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28,03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a97db 26.769%, #888 0%, #888 100%, #AAA 0%)" {{{#fff '''2024년 4월 26,769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0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ffffff 읍면별 인구 통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a97db 94.7%, #888 0%, #888 100%, #AAA 0%)" {{{#fff 곡성읍 7,57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a97db 50.575%, #888 0%, #888 100%, #AAA 0%)" {{{#fff 옥과면 4,04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a97db 29.138%, #888 0%, #888 100%, #AAA 0%)" {{{#fff 입면 2,33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a97db 27.575%, #888 0%, #888 100%, #AAA 0%)" {{{#fff 석곡면 2,20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a97db 23.25%, #888 0%, #888 100%, #AAA 0%)" {{{#fff 죽곡면 1,86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a97db 22.513%, #888 0%, #888 100%, #AAA 0%)" {{{#fff 오곡면 1,80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a97db 20.338%, #888 0%, #888 100%, #AAA 0%)" {{{#fff 삼기면 1,62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a97db 20.25%, #888 0%, #888 100%, #AAA 0%)" {{{#fff 겸면 1,62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a97db 17.938%, #888 0%, #888 100%, #AAA 0%)" {{{#fff 오산면 1,43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a97db 16.588%, #888 0%, #888 100%, #AAA 0%)" {{{#fff 목사동면 1,32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a97db 14.1%, #888 0%, #888 100%, #AAA 0%)" {{{#fff 고달면 1,128명}}}}}} || || {{{-2 2023년 9월 기준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o.kr|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8천 명}}} || }}}}}}}}} || == [[곡성군/교통|교통]]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곡성군/교통)] == 경제 == === 산업 === [[섬진강]]을 끼고 있는 수려한 자연환경 덕분에 주로 [[관광업]]이 발달하였으며, 농촌 지역인지라 [[농업]] 위주로 경제가 돌아간다. 2차산업의 경우 단순 종업원 수로 따지면 고무제품 제조, 금속가공, 식료품 제조업 순으로 종사자 수가 많다. 물론 적은 인구 특성상 자체 종사 인원은 얼마 되지 않으며, 고무제품 제조가 높게 나오는 것은 [[금호타이어]] 곡성공장이 옥과면과 이웃한 입면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이 크다.[* [[https://www.gokseong.go.kr/main/?pid=263|#]]] 겸면농공단지, 입면농공단지, 석곡농공단지가 들어서 있고 오산면 운곡리에 운곡특화농공단지가 조성되는 중인데 대부분 광주와 가까운 쪽에 편중되어 있다. 또한 내수면어업인 경우 2019년 대황강을 중심으로 한 내륙판 어촌뉴딜 300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1277175?sid=102|"내륙어촌 재생사업"]]을 유치하여 발달중에 있다. 특산물로는 아래와 같은 작물이 있다. * 잎들깨 : 학교 급식으로도 납품하는 청정지역 곡성깻잎임. * [[멜론]] : 전국 최상위 멜론 브랜드로 당도가 높고 향이 뛰어나며 엄격한 수확기 판단 및 유통관리. * [[토란]] : 전국 제일의 토란 주산지로(면적 점유율 30%) 비닐 멀칭 조숙재배에 의한 수량증대, 차별화된 유통관리로 수도권 토란시장 장악함. * [[딸기]] : 철저한 품질 및 당도 관리로 동남아로도 수출하는 곡성 '맘愛담은 딸기'. * [[매실]] : 굵기가 일정하고 맛이 좋아 엑기스, 장아찌용으로 인기 최고임 * [[사과]] : 천혜의 자연환경에서 재배되어 당도와 맛이 뛰어난 곡성의 대표 과일 * [[곶감]] : 깨끗한 자연에서 건조시켜 빛깔이 좋고 감칠맛이 뛰어난 월하시 명품곶감 === 금융 === ||<-4> '''{{{#ffffff 곡성군에 위치한 금융기관 }}}''' || ||<-4> '''{{{#1d1e23,#dcdde2 제1금융권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 ||<-4> '''{{{#1d1e23,#dcdde2 국가기관 }}}''' || ||<-4> [[우정사업본부|{{{#ffffff '''곡성우체국 (11)'''}}}]] || ||<-4> '''{{{#1d1e23,#dcdde2 특수은행 }}}''' || ||<-4> [[농협은행|{{{#ffffff '''농협은행(중앙회) (2)'''}}}]] || ||<-4> '''{{{#ffffff 제2금융권(상호금융)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 ||<-4> '''{{{#ffffff 농업협동조합 }}}''' || || [[농협|{{{#fcaf16 '''옥과농협 (3)'''}}}]] || [[농협|{{{#fcaf16 '''곡성농협 (4)'''}}}]] || [[농협|{{{#fcaf16 '''석곡농협 (3)'''}}}]] || [[농협|{{{#fcaf16 '''입면농협 (1)'''}}}]] || ||<-4> '''{{{#ffffff 새마을금고 }}}''' || ||<-4> [[새마을금고|{{{#afeeee '''금호타이어새마을금고 (1)'''}}}]] || * 일반인들은 [[새마을금고|금호타이어 새마을금고]] 못 쓰니, [[우체국]]이나 [[농협]] 아니면 답이 없다. == 관광 == [[섬진강]]을 끼고 있어 강 주변에 관광지가 제법 몰려 있다. 대표적인 관광지로는 [[섬진강 기차마을]]이 유명한데, 5월에는 여기서 세계장미축제도 열린다. 곡성군민은 입장료가 무료이며 그 외는 시기에 따라 다르니 입장료나 다른 자세한 안내 사항은 [[http://www.gstrain.co.kr|홈페이지]]를 참조하자. 매주 토요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6시까지 벼룩시장과 비슷한 [[https://smartstore.naver.com/dukbangmarket|뚝방마켓]]을 열고 있다. [[https://shadowneo.net/819|뚝방마켓 방문기]] 조금 더 아래쪽에 있는 압록유원지와 참게탕도 유명한 편이다. 신라 [[구산선문]] 중 하나인 태안사, [[심청전]]의 원본 설화라고 알려진 원홍장 이야기의 배경이 되는 [[관음사(곡성)|관음사]], 도림사 등의 사찰도 유명하다. 영화 [[곡성(영화)|곡성]]의 상당수 장면을 실제로 곡성에서 촬영했다. 자세한 촬영지 정보는 [[곡성(영화)#촬영지|문서]] 참조. == 교육 == [include(틀:전라남도 곡성군의 초등학교)] [include(틀:전라남도 곡성군의 중학교)] [include(틀:전라남도 곡성군의 고등학교)] == [[곡성군/정치|정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곡성군/정치)] == [[곡성군/행정|하위 행정구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곡성군/행정)] == 기타 == 예전에 옥과터미널 내에 있는 구멍가게의 할아버지 내외가 [[인간극장]]에 출연했다. 오래된 구멍가게는 문을 닫고 번듯한 슈퍼마켓이 생겼으나, 얼마 가지 않아 문을 닫고 빈 상가로 남아 있다. 지역명과 동명의 영화 [[곡성(영화)|곡성]]을 이 곳에서 촬영했다. 다만 내용이 내용인지라 곡성군민들은 지역 이미지 하락을 우려하고 있었다. 결국 곡성 제작진과 곡성군의 협의 끝에 제목에 한문(哭聲)을 병기하고, 영화 상영 시 '본 영화 내용은 곡성지역과는 관련이 없는 허구의 내용'이라는 자막을 삽입하기로 합의했다. 이에 대해 [[유근기]] 곡성군수가 지역 언론인 전남일보에 사설을 기고했다. 유근기 곡성군수의 필력과 영화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곡성군에 대한 본인의 애정이 담겨있는 명문이니 읽어보기를 권한다. > 봄날의 곡성은 아침이면 김승옥 작가의 '무진기행'에서 표현한 대로 '피부에 탄력을 주는 정도의 공기의 저온'으로 상쾌하다. 해가 산머리 위로 오르면 따스한 봄볕은 어느새 새벽의 기운을 물리치고 섬진강 바람을 타고 여기저기 온기를 나눈다. 10㎞에 이르는 강변길에는 가지와 이별한 벚꽃 잎이 강바람을 타고 미처 다 날아가 버리기 전에 철쭉이 그 자리를 대신한다. 5월이면 열흘간 열리는 곡성세계장미축제에는 1004종 수천만송이 장미가 내뿜는 향기가 가득하다. > > 곡성은 길의 고장이다. 하늘 닮은 섬진강은 쉴 새 없이 흐르면서도 속도로써 우리를 재촉하지 않는다. 그 옆에는 물길 따라 자전거길, 자동차길, 기찻길, 숲길이 겹을 이루고 있다. 길과 길이 만나는 곳에서는 사람도 서로 만나 소담한 마을이 만들어지고, 마을마다에는 전설처럼 전해지는 우리네 이야기가 있다. 사람이 그리워 어깨를 한껏 낮춘 산들은 토란과 능이버섯을 아낌없이 베풀어 준다. 들녘에는 새벽이면 이슬로 변하는 섬진강을 머금은 채 딸기, 멜론, 블루베리 등이 영글어 간다. 저녁이면 아이부터 어른까지 한 식탁에 앉아 도란도란 정담을 나눈다. 사람 수만큼이나 많은 희망들이 섬진강 윤슬처럼 함께 반짝이는 곡성은 그야말로 자연 속의 가족 마을이다. > > '곡성(谷城)' 50여 년간 부르는 이름이지만 여전히 촌스럽다. 우리네 부모들의 골짜기 같은 주름을 옛날처럼 닮았다. 세련미라고는 찾아볼 수 없는 그 이름이 투박하다. 그 속에서 따뜻함을 느끼는 이라면 태어난 곳과 상관없이 곡성은 누구에게나 마음의 고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 - 《전남일보》, 2016년 4월 22일자, [[http://www.jnilbo.com/read.php3?aid=1461250800495333063|'곡성(哭聲)'과 다른 '곡성(谷城)'이야기]]. 이에 대해 "곡성군수의 말처럼 안 좋은 이미지가 엮인다 생각하지 말고 발상을 전환해 공포체험관을 운영"이라는 식으로 영화 곡성과의 관계점을 이용한 지역 부흥책을 이야기하는 네티즌도 있다[[https://bbs.ruliweb.com/family/211/board/300073/read/29982542|#]] 영화 상영이 종료된 후 유근기 곡성군수는 [[https://www.jnilbo.com/50568679918|'곡성(哭聲)과 다른 곡성(谷城) 이야기, 그 후']]라는 후일담을 기고했다. 곡성 개봉 후 곡성군의 이미지에는 타격이 가지 않는 내용인 것이 알려지고 군수를 비롯해 곡성군에서 역발상으로 노력한 결과, 영화 내에서 보여진 곡성의 아름다운 풍경과 자연경관을 보고 곡성 장미 축제와 지역에 찾아오는 관광객의 수가 급증했다고 한다. [[2017년]] [[5월 4일]]부터 [[5월 5일|5일]]까지 진행된 [[제19대 대통령 선거]]의 사전투표율이 무려 '''40.58%'''로 가장 높은 곳으로 집계되었다. 10명 중 4명 꼴로 투표한 셈. 전국 기초자치단체 중 사전투표율이 40%가 넘은 곳은 이 곳 뿐이다. [[경주 빙씨]] 집성촌이 여기에 있다. 곡성(谷城)이란 이름답게 곡(谷)이 붙은 동네가 많다. 곡성읍, 오곡면, 죽곡면, 석곡면이 있고 목사동면에 대곡리, 오곡면에 침곡리 등 곡 천지다. 2022년 기준 시군 단위 기준으로 전국에서 출산율이 꼴찌인 곳이다. 서울특별시조차 0.59인데 곡성군은 이것보다도 더 낮은 0.55다.[* 시군'구'까지 따지면 서울특별시 관악구가 0.42로 꼴찌다.] == 출신 인물 == * [[강대광]] * [[고광진]] * [[공선옥]] * [[김광수(1957)|김광수]] * [[김기훈(바리톤)]] * [[김대중(교육감)]] : 제 19대 전라남도 교육감 * [[김동문(배드민턴)]] * [[김동성]] : 전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쇼트트랙]] 선수 * [[김문일]] * [[김신록]] * [[김삼호]] : 전 [[광주광역시]] [[광산구청장]] * [[김양배]] * [[김양식]] : 전 전남 정무부지사, 한국농수산대학 총장, 농협중앙회 전남지역본부장 * [[김영종(1953)|김영종]] : 전 [[서울특별시]] [[종로구청장]] * [[김완기(공무원)]] * [[김유임]] * [[김재규(강사)|김재규]]: 김재규경찰학원 원장. 그 김재규와는 동명이인 * [[김재두]] * [[김해경(1963)]] * [[박상환#기업인]] : [[하나투어]] 대표 * [[박태민(축구선수)]] * [[박희율]] * [[서효영(변호사)]] * 서향순 : [[1984 LA 올림픽]] 양궁 금메달리스트. 최초의 한국 여자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 선종구 : 전 [[하이마트]] 대표이사. * [[성길용]] * [[송도호]] * [[신성균]] * [[신숭겸]] : [[고려]]의 개국 공신이자 평산 신씨의 시조. 다만 태어난 곳은 곡성이지만 활동 터전은 광해주(현재의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일대)였다고 한다. * [[신흥식]] * [[안주섭]] * [[양성철]] * 오연호 : [[오마이뉴스]] 대표 * [[오천]] : [[엠비셔스]] 소속 댄서 * [[유근기]] : 전 곡성군수 * [[윤영규]] * [[윤추섭]] * [[이다(인터넷 방송인)]] * [[이상철(1960)|이상철]] * [[이재호(1963)]] * [[이정현(1958년 10월)|이정현]] : [[정치인]], 전 [[새누리당]] 대표, 국회의원. 간혹 지역구 때문에 [[순천시]] 출신으로 오해하는 경우도 있는데, 곡성군 목사동면 출신이다.[* 그래서 이례적으로 소지역주의 탓인지 2014.7.30. 재보궐선거에서 보수 정당 후보로 수십년 만에 유일하게 전라남도에서 '''70.6%'''라는 TK급 지지율로 곡성군민들은 이정현에게 몰표를 보냈었다.] * [[이준열]] * [[장병완]] : 기획예산처장관, 19, 20대 국회의원 * [[장환진]] * [[정래정]] * [[정래혁]] : 군인, 정치인으로 [[대한민국 국방부장관|국방부장관]]과 3선 의원, [[대한민국 국회의장|국회의장]] 등을 역임하였다. * 주현정 : [[2008 베이징 올림픽]],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 양궁 여자 단체전 금메달리스트. * [[정은표]] : [[배우]] * [[정채하]] * [[정홍균]] * [[정환대]] * [[조강래]] * [[조상래(1957)|조상래]] * [[조순(1913)|조순]] * [[조용기(교사)|조용기]] : 사학인이자 [[남부대학교]]의 설립자. [[조용기|동명의 목사]]의 [[고향]]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이다. * [[조태일]] * [[조형래]] * [[조희철(1928)|조희철]] * [[지정남]] * [[최관호]] : 서울/광주/전남지방경찰청장 * [[허남석]] [[분류:곡성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