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광주과학기술원[* [[https://www.gist.ac.kr/kr/main.html|광주과학기술원(GIST)]],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신소재공학부 교수[br]{{{+1 고흥조}}}[br]Ko Heung-cho''' || ||<-2>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고흥조교수.jpg |width=100%]]}}} || ||<|2> '''출생''' ||[[1969년]] ([age(1969-01-01)]세)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현직''' ||[[광주과학기술원|GIST]] 신소재공학부 교수[br]한국고분자과학기술지 편집위원[br]머티리얼즈 편집위원 || || '''학력''' ||[[대기고등학교]] {{{-2 ([[졸업]] / 2회)}}}[br][[서강대학교/학부/자연과학대학|서강대학교 자연과학대학]] {{{-2 (화학 / [[학사]])}}}[br][[서강대학교/대학원|서강대학교 대학원]] {{{-2 (화학 / [[석사]]·[[박사]])}}} || || '''경력'''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고분자하이브리드센터 연수생[br][[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촉진수송막센터 위탁연구원[br][[서강대학교/학부/자연과학대학|서강대학교]] 박사후 연구원[br][[일리노이 대학교/어배너-섐페인 캠퍼스|UUIC]] 박사후 과정[br][[광주과학기술원|GIST]] 신소재공학과 조교수[br][[광주과학기술원|GIST]] 신소재공학과 부교수[br][[광주과학기술원|GIST]] 신소재공학부 교수 || || '''학회''' ||대한산업공학회 회원[br]한국고분자학회 회원[br]대한화학회 회원[br]재료연구회 회원[br]한국고분자과학기술지 편집위원[br]머티리얼즈 편집위원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과학자]]이자 [[교수]]. == 생애 == 1969년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출신으로 [[대기고등학교]](2회) 졸업 후 [[서강대학교]]에서 [[화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 재학 중 [[한국과학기술연구원|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고분자하이브리드센터 연수생, 촉진수송막센터 위탁연구원 생활을 하였다. [[2003년]] 박사 학위 취득 후 [[서강대학교/학부/자연과학대학|서강대학교]] 화학과 [[박사후연구원|박사후 연구원]](2003.04~2004.09)[* 지도교수 : 화학과 이후성], 미국 [[일리노이 대학교/어배너-섐페인 캠퍼스|일리노이대학교 어배너-섐페인(UUIC)]]에서 박사후 과정(2004.10~2009.02)[* 지도교수 : 재료공학과 John A. Rogers]을 마쳤다. [[2009년]]부터 [[광주과학기술원|광주과학기술원(GIST)]] 신소재공학부 교수로 재직중으로 학계에서 활발한 연구활동 중이다.[*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58135|[2016] 지스트(GIST) 고흥조 교수팀, 옷·돌멩이에 붙는 전자소자 개발]]][* [[https://www.sedaily.com/NewsView/1S0VC2X51S|[2018] 지스트(GIST) 고흥조 교수 연구팀, 360도 카메라센서 개발]]][* [[https://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303775|[2019] 지스트(GIST) 고흥조 교수 연구팀, 3차원 형태로 자동변형 가능한 전자소자 개발]]][* [[https://www.newswork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75580|[2020] 지스트(GIST) 고흥조 교수 연구팀, 종이접기 방식을 이용한... '3차원 구조 디스플레이' 개발]]] == 상훈 == * [[2019년]] 우수 기초연구자 10인 * [[2019년]] [[광주과학기술원|GIST]] 공로상 * [[2016년]] [[광주과학기술원|GIST]] 우수기술상 * [[2016년]] [[스포츠서울]] 혁신코리안 & 파워코리아 (2016) * [[2012년]] [[광주과학기술원|GIST]] 우수강의상 == 논문 == * “Enhancement of interfacial adhesion using micro/nanoscale hierarchical cilia for randomly accessible membrane-type electronic devices” Hwang, Y.; Yoo, S.; Lim, N.; Kang, S. M.; Yoo, H.; Kim J.; Hyun, Y.; Jung. G. Y.; Ko, H. C. ACS Nano, 2020, 14, 118-128. * “Automatic transformation of membrane-type electronic devices into complex 3D structures by extrusion shear printing and thermal relaxation on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frameworks”, Jang, H. S.; Yoo S.; Kang, S. H.; Park, J.; Kim, G.-G.; Ko, H. C. Adv. Funct. Mater., 2020, 30, 1907384. * "A bezel-less tetrahedral image sensor formed by solvent-assisted plasticization and transformation of an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framework", Jang, H. S.; Kim, K.; Kim, S. H.; Yoo, J. I.; Yoo, S.; Kim, K.; Jung, C.; Ko, H. C. Adv. Mater., 2018, 30, 1801256. * "Robust and stretchable indium gallium zinc oxide-based electronic textiles formed by cilia-assisted transfer printing”, Yoon, J.; Jeong, Y.; Kim, H.; Yoo, S.; Jung, H. S.; Kim, Y.; Hwang, Y.; Hyun, Y.; Hong, W.; Lee, B. H.; Choa, S.; Ko, H. C., Nat. Commun., 2016, 7, art. no. 11477. * "Sticker-type Alq3-based OLEDs based on printable ultrathin substrates in periodically anchored and suspended configurations", Yun, S. O.; Hwang, Y.; Park, J.; Jeong Y.; Kim, S. H.; Noh, B. I.; Jung, H. S.; Jang H. S.; Hyun Y.; Choa, S.-H.; Ko, H. C., Adv. Mater., 2013, 25, 5626-5631. * "Ultrathin sticker-type ZnO TFTs formed by transfer printing via topological confinement of water-soluble sacrificial polymer in dimple structure" Kim, S. H.; Yoon, J.; Yoon, S. O.; Hwang, Y.; Jang, H. S., Ko, H. C., Adv. Funct. Mater., 2013, 23, 1375-1382. * “A hemispherical electronic eye camera based on compressible silicon optoelectronics”, Ko, H. C.; Stoykovich, M. P.; Song, J.; Malyarchuk, V.; Choi, W. M.; Yu, C.-J.; Geddes III, J.; Xiao, J.; Wang, S.; Huang, Y.; Rogers, J. A. Nature 2008, 454 (no7205), 748-753. * “Multi-colored electrochromism of poly{1,4-bis[2-(3,4-ethylenedioxy)thienyl]benzene} derivative bearing viologen functional groups”, Ko, H. C.; Kim, S.; Lee, H.; Moon, B. Adv. Funct. Mater. 2005, 15 (iss. 6), 905-909. * “Enhancement of electrochromic contrast of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by incorporating a pendant viologen”, Ko, H. C.; Kang, M.; Moon, B.; Lee, H. Adv. Mater. 2004, 16 (iss. 19), 1712-1716. [각주][[분류:대한민국의 교수]][[분류:대한민국의 과학자]][[분류:1969년 출생]][[분류:제주시 출신 인물]][[분류:대기고등학교 출신]][[분류:서강대학교 출신]][[분류: 서강대학교 대학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