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高淸明}}} (?~1019) [목차] == 개요 == [[거란]]([[요나라]])의 장군. 거란이 멸망시킨 [[발해]]의 유민으로서, [[여요전쟁]]에 참전해 거란군 안의 발해인 부대인 발해군을 지휘하다가 [[귀주 대첩]]에서 전사했다. == 생애 == 출신이나 [[여요전쟁]] 이전의 생애에 대해서는 기록이 없어 알 수 없다. 다만 [[고구려]]의 국성인 고씨인 것을 보면, 말갈계가 아닌 고구려계 발해 유민으로 추정된다. 생년은 미상이나 926년 발해가 멸망한 이후 거란의 피지배민족으로서 태어났거나, [[정안국]] 등 발해부흥국 소속이었다가 거란에 멸망하면서 흡수되었을 것이다. >“이 달에 소배압(蕭排押) 등이 다하(茶河)와 타하(陀河)에서 고려와 전투하였는데, 요의 군대가 불리하였다. 천운군(天雲軍)과 우피실군(右皮室軍)에서 물에 빠져 죽은 자가 많았으며, 요련장상온(遙輦帳詳穩) 아과달(阿果達), 객성사(客省使) 작고(酌古), 발해상온(渤海詳穩) 고청명(高淸明), 천운군상온(天雲軍詳穩) 해리(海里) 등이 모두 죽었다.” > >{{{#!wiki style="text-align:right" '''『요사』'''}}} 제3차 [[여요전쟁]] 당시에는 구 [[발해]]인들을 모아서 만든 발해군 부대를 지휘하는 발해상온(渤海詳穩) 지위에 있었고, 1018년 12월(음력) 고려군과의 전투에서 패해 전사하였다. 이때 그들과 싸운 고려군에도 [[대도수]] 등 발해를 멸망시킨 요나라를 원망하는 많은 발해 유민들이 포함되었던 것을 생각하면 만감이 교차하는 부분이다. 고청명이 전사한 후, 이듬해 패퇴한 요나라는 고려와의 전쟁에서 공을 세운 발해인 장교에게 [[포상]]을 내리고 전사한 장교의 가족에게는 [[보상]]을 하였다. 아마도 고청명의 가족들도 이 때 거란에서 국가 유공자로 보상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분류:1019년 사망]][[분류:요나라의 인물]][[분류:발해의 유민]][[분류:전쟁 사망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