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지행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KBO 퓨처스리그|[[파일:KBO 퓨처스리그 엠블럼.svg|height=30]]]][br] '''{{{#fff 2005 KBO 퓨처스 남부리그 타격왕}}}''' || ---- ||<-5>
'''{{{#fff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32번}}}''' || || [[신경현]][br](1999~2001) || {{{+1 →}}} || '''{{{#ffffff 고지행[br](2003~2003.4.24.)}}}''' || {{{+1 →}}} || [[임재철]][br](2003.4.25.~2003) || ||<-5> '''{{{#ffffff [[삼성 라이온즈|{{{#ffffff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6번}}}''' || || [[김승권]][br](2003~2003.4.24.) || {{{+1 →}}} || '''{{{#fff 고지행[br](2003.4.25.~2004)}}}''' || {{{+1 →}}} || [[김재걸]][br](2005~2009) || ||<-5> '''{{{#fff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1번}}}''' || || [[조규수]][br](2003~2004) || {{{+1 →}}} || '''{{{#ffffff 고지행[br](2005)}}}''' || {{{+1 →}}} || [[조성민]][br](2006~2007)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dimg.donga.com/6901264.1.jpg|width=100%]]}}} || ||<-2> '''{{{+2 고지행}}}[br] 高智行''' || || '''일본명''' ||高山 智行 (다카야마 도모유키) || ||<|2> '''출생''' ||[[1978년]] [[5월 3일]] ([age(1978-05-03)]세) || ||[[오사카부]] [[센난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마노시마고 || || '''포지션''' ||[[2루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1998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시애틀 매리너스|SEA]])[br]1999년 드래프트 8라운드 ([[한신 타이거스|한신]]) || || '''소속팀''' ||그레이스 하버 걸스[* 미국 독립리그 팀] (1997) [br] [[시애틀 매리너스]] 산하 마이너 (1998~1999) [br] [[한신 타이거스]] (2000~2001) [br] [[한화 이글스]] (2003) [br] [[삼성 라이온즈]] (2003~2004) [br] [[한화 이글스]] (2005)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 야구선수. [[재일교포]] 3세로 [[한신 타이거스]], [[한화 이글스]], [[삼성 라이온즈]]에서 활동했다. 일본 이름은 다카야마 도모유키(高山 智行). == 선수 경력 == === 미국 독립 리그, 마이너리그, [[한신 타이거스]] === 고교 졸업 후 드래프트에서 지명받지 못했고, 미국으로 출국해 독립리그에서 1년을 뛰었고, 이후 2년간 [[시애틀 매리너스]] 산하 싱글 A팀에서 뛰는 등 독립리그와 마이너리그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는 특이한 이력이 있다. 1999년 말 일본으로 돌아와 신인 지명에 참석, 드래프트 8순위로 [[한신 타이거스]]에 지명, 입단했다. 그러나 2년간 1군에 올라오지 못하고 2001년 말 방출되었다. 2002년에는 NPB 12구단 합동 트라이아웃과 미국 야구계에 입단 테스트를 받기도 했지만 모두 통과하지 못하며 1년간 야구를 쉬기도 했다. 그런 고지행에게 손을 내민 건 [[한화 이글스]]. === [[한화 이글스]] 1기 === 2002년 가을 한화 2군에 합류해 훈련하면서 한국 야구와 인연을 맺었고, 이후 입단 테스트에 합격해 2003년 시즌을 앞두고 [[한화 이글스]]와 연봉 5,000만원에 계약했다. 빠른 발[* 50미터를 무려 6초대에 돌파할 정도였다고 한다.]에 타격 재능이 뛰어났기 때문에 안그래도 내야진이 약했던 한화는 고지행을 2003 시즌 주전 유격수로 점찍었고, 선수 본인도 스프링캠프와 시범경기에서 좋은 모습을 보이며 순조롭게 출발하는 듯 싶었으나, 문제는 수비에서의 집중력이 부족했고, 한국말을 거의 하지 못했기 때문에 선수들과의 융화에 실패한 것이었다. 결국 기대와는 다르게 정규시즌 개막 후 부진한 데다 한국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시즌이 개막한 지 얼마 되지 않은 2003년 4월, 한국에서 더이상 뛰지 않겠다고 일방적으로 통보한 뒤 일본으로 돌아갔다. 이에 한화는 고지행을 임의탈퇴 공시하겠다고 밝히며 더이상 한국에서 뛸 수 없을 걸로 보였으나, [[삼성 라이온즈]]가 2루수 보강을 위해[* 이 시절 삼성은 [[정경배]]를 SK로 보낸 뒤 마땅한 2루수 자원이 없었고 하다못해 [[마해영]]을 2루수로 전환시킨다는 말이 나왔을 정도로 2루 자리가 빈약했다. 주전 2루수는 [[박정환(1977)|박정환]]이 주로 나왔고 가끔 [[김재걸]]이 백업으로 나왔으나 둘 다 타격이 약한 수비형 내야수였다.] 그런 고지행을 잡겠다고 나서며 2대2 트레이드(고지행+[[지승민]]↔김승권+[[임재철]])를 통해 삼성으로 이적했다. 하지만 한국에서 야구하지 않겠다고 일본으로 출국해 버린 고지행을 다시 데려와야 했는데, 삼성은 당시 2군 감독을 맡던 재일교포 [[신용균]]을 일본으로 급파하면서까지 고지행을 설득했고, 한국으로 다시 데려온다. === [[삼성 라이온즈]] === 우여곡절 끝에 삼성에 둥지를 틀게 된 고지행은 곧바로 수비형 2루수였던 [[박정환(1977)|박정환]]을 벤치로 밀어버리고 주전 2루수로 기용되며 나름대로 괜찮게 활약했다. 거기에 한화 시절과는 다르게 스스로 특타 훈련에 참가하고 수비 훈련도 열심히 받는 등 팀에 금방 적응하는 모습도 보였다. 1번 [[박한이]]와 함께 테이블 세터를 이루며 당시 공포의 [[클린업 트리오]]였던 [[이마양]]의 밥상을 제대로 차려주는 등 좋은 활약을 하였고, [[김응용]] 감독이 특히 편애하였다.[* 김 감독은 [[발비노 갈베스]]를 비롯해 일본물 먹은 선수를 아주 좋아했었다. 사실 지금도 일본리그가 훨씬 수준이 높은데, 당시는 한일간 야구 격차가 훨씬 큰 수준이니 상위리그 경험이 있는 선수인지라 일본파를 감독 막론하고 좋아했다.][* 다만 시즌 초 한화에서 팀 이탈 파문을 일으킨 전적이 있어서인지 경기 중 실책 하나만 저질러도 바로 칼같이 교체해 버리고 카메라에 잡힐 정도로 호통치기도 했다.] 그해 준플레이오프에서도 2차전 도중 심판 판정에 불복하고 일본어로 욕설까지 해가며 강력하게 항의하는 모습을 보이는 등 침묵에 빠진 타선에서 그나마 사람 구실을 했으나, 정작 삼성은 당시 신생팀이나 다름없었던 [[SK 와이번스]]에게 1승도 못거두고 2연패로 스윕당하며 가을야구를 일찍 마쳤다. 이후 2004 시즌에도 주전 2루수 자리를 지키는가 했지만, 시즌을 앞두고 삼성이 FA로 2루수 골든글러브 출신 [[박종호(1973)|박종호]]를 영입하는 바람에 주전 자리를 빼앗기고 말았다. 설상가상으로 2004 시즌 초 심야에 숙소를 이탈, [[노장진]]과 술을 마시고 들어오다가 김응용 감독에게 발각되는 바람에 단단히 찍혀 2군에만 있었고, 2004 시즌 후 삼성에서 방출되었다. === [[한화 이글스]] 2기 === 삼성에서 방출된 뒤 2005년 시즌을 앞두고 한화에 다시 복귀했다. 하지만 또 한화에서 문제를 일으키며 2005 시즌 후 1년만에 방출된 뒤 한국을 떠났다. === 이후 === 일본으로 돌아간 후 간사이 지방 사회인 야구팀에서 선수 겸 코치로 활동하다가, 현재는 도쿄에서 유소년 야구 지도를 하고 있다고 한다. == 여담 == * [[박석민]]의 별명 중 하나인 "박속닌"을 붙여준 장본인. 박석민의 이름 '석민' 발음이 잘 안 돼 '속닌'으로 부른 것이 그 유래. * 삼성 시절 터프한 외모 등으로 인해 여성팬들에게 [[http://m.blog.naver.com/nwowolf/220096070556|인기가 많았었다고 한다.]] * 삼성으로 트레이드된 뒤 이전 소속팀 한화만 만나면 날아다닌다는 말이 어울릴 정도로 맹활약했다. 오죽하면 당시 한화 감독이던 [[유승안]]이 삼성과 경기할 때는 홈런왕 [[이승엽]]보다 고지행이 더 무섭다고 했을 정도. * 수비에서 집중력이 떨어진다는 평가가 있었을 정도로 평소에는 선수단 내에서 깐죽거리고 똘끼있는 모습을 보이긴 했지만, 경기 중에는 의외로 진지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선발 라인업에서 제외되거나 자신의 타석이 아닐 때에도 덕아웃 밖으로 나와 비장한 표정으로 그라운드와 상대 팀 선수들을 응시하기도 했고,[* 당시 야구를 보던 삼성 팬들은 고지행에게서 사무라이의 포스가 났다고 한다.] 상술했듯이 심판 판정에 불복할 때는 다른 삼성 선수들과 다르게 강하게 항의하는 모습도 보였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15> {{{#ffffff 역대 기록}}}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타수}}} || {{{#ffffff 타율}}}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타점}}} || {{{#ffffff 득점}}} || {{{#ffffff 도루}}} || {{{#ffffff 4사구}}} || {{{#ffffff 장타율}}} || {{{#ffffff 출루율}}} || || 2003 || [[한화 이글스]] || 4 || 11 || .091 || 1 || 0 || 0 || 0 || 0 || 0 || 0 || 1 || .091 || .167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타수}}} || {{{#ffffff 타율}}}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타점}}} || {{{#ffffff 득점}}} || {{{#ffffff 도루}}} || {{{#ffffff 4사구}}} || {{{#ffffff 장타율}}} || {{{#ffffff 출루율}}} || || 2003 ||<|2> [[삼성 라이온즈]] || 88 || 242 || .289 || 70 || 9 || 0 || 4 || 27 || 38 || 9 || 21 || .376 || .343 || || 2004 || 2 || 2 || .000 || 0 || 0 || 0 || 0 || 0 || 0 || 0 || 0 || .000 || .000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타수}}} || {{{#ffffff 타율}}}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타점}}} || {{{#ffffff 득점}}} || {{{#ffffff 도루}}} || {{{#ffffff 4사구}}} || {{{#ffffff 장타율}}} || {{{#ffffff 출루율}}} || || 2005 || [[한화 이글스]] || 25 || 65 || .231 || 15 || 0 || 0 || 2 || 8 || 5 || 0 || 2 || .323 || .254 || ||<-2> '''[[KBO 리그|{{{#black KBO}}}]] 통산'''[br](4시즌) || 119 || 320 || .269 || 86 || 9 || 0 || 6 || 35 || 43 || 9 || 24 || .353 || .318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NPB)]]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1978년 출생]][[분류:2000년 데뷔]][[분류:2005년 은퇴]][[분류:내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재일교포]][[분류:한신 타이거스/은퇴, 이적]][[분류:빙그레-한화 이글스/은퇴, 이적]][[분류:삼성 라이온즈/은퇴, 이적]][[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센난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