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사전적인 의미 == 선천적, 후천적 이유로 고음을 내지 못할 때 고음불가라고 한다. == 개콘의 코너 == [[파일:개콘 고음불가.jpg]] [youtube(fVgZzSwvNWU)] [[2006년]] [[1월 29일]] ~ [[2006년]] [[7월 9일]]까지 방영한 [[개그콘서트]]의 전 코너. 오프닝 멘트[* 목소리는 [[유상무]]가 했다.]는 '''"천상의 하모니, 신이 버린 완벽한 목소리. 더 이상의 고음 처리는 없다, 신인 가수 고음불가가 부릅니다."''' === 플롯 === [[이수근]], [[류담]], [[변기수]] 총 3명이 나온다.[* 출연자들 중 류담과 이수근은 1년 전까지 같은 류의 음악 소재 코너인 [[비틀지]]에 출연한 적 있었다.] 그 중 중간에 끼인 [[이수근]]이 개그를 담당하는 메인 인물이고, 처음에는 다른 둘이 멀쩡한 노래[* 주로 [[소몰이창법]]이나 발라드 등이 나온다. 여담으로, 변기수와 류담 둘 다 [[코미디언]] 치고는 [[노래]]를 굉장히 잘 부르는 편이며, [[이수근]] 역시 통념과는 달리 후술하겠지만 강변가요제 출신이라서 노래를 상당히 잘 부른다. 사실 코미디언들 중에서 노래 잘하는 사람들 의외로 굉장히 많다.]를 부르다가 갑자기 고음 파트에서 이수근이 원래 멜로디를 무시한 채 괴상한 음정과 박자로 저음을 낸다. 이런 류의 음악 개그야 개콘 역사상 상당히 많았지만, 고음불가만큼 인기를 끈 음악 개그는 별로 없었다. 거기다가 중앙에 서 있는 이수근만 혼자 [[단신|작은 키]]에 긴 머리 가발, 희한한 복장[* 참고로 이 복장 제작자는 다름 아닌 [[앙드레 김]]이라고 한다. [[무엇이든 물어보살]]에서 밝혀졌다. 또한 [[아는 형님]]에서 밝혀진 바로는 그 옷이 원래 [[박준형(코미디언)|박준형]]의 옷이였다고 한다. ~~자세히 보면 이수근 옷이라기엔 너무 크긴 하다.~~]까지 뭔가 튀는 듯한 모습이고, 게다가 다른 두 명은 정상적인 차림으로 바르게 부를 때 혼자 몸을 흔들며 하기 때문에 강렬한 인상을 주기에도 충분했다.[* 아마 1990년대 [[김경호]]의 모습에서 모티브를 따온 듯 하다. [[https://youtu.be/D8vd0Wa7TqI|#]] 김경호가 폭발적인 '''고음'''으로 유명한 걸 생각하면 묘한 웃음 포인트.] 이후 이수근의 [[이미지]]는 '고음불가'로 굳어졌고, 동시에 [[음치]]라고 사람들이 인식하기도 했지만, 사실 그는 1996년 [[강변가요제]] 출신에 [[노래]]도 몹시 잘 부르는 것으로 드러나[* 또한 2009년 [[1박 2일]] 멤버들과 [[https://www.youtube.com/watch?v=YPj9dzvnTVM|홈플러스 광고]]도 촬영한 적이 있었는데, CM송의 후반 고음 파트도 잘 소화해 냈다. 물론 초반에 고음불가 개그를 했던 건 덤.] 사람들에게 배신감을 안겨줬다. 실제로 이수근이 원래는 망쳐야 할 고음부를 '''아주 멋지게 소화'''한 뒤 현장에서 방청객들한테 사과한 적도 있었다고... 음치개그이기 때문에 언어의 장벽을 무시하고 통용될 수 있다는 커다란 장점이 있다. 그래서 개콘 [[일본]] 출장 당시 반응이 아주 좋았다고 한다. 또 코너가 인기를 끌면서 '고음불가' 멤버들은 인기에 힘입어 4곡이 담긴 [[https://naver.me/Frl0opia|디지털 EP 형식으로 앨범]]을 내고 콘서트도 열기도 했다. [youtube(DWuF81AXLoQ)] [youtube(RQ6rOz1H0ok)] 여러 노래들로 인기를 끌었지만, 특히나 가장 인기 있었던 것은 단연 [[버즈(한국 밴드)|버즈]]의 ''''[[Reds Go Together]]\''''이었다. 당시 [[2006 FIFA 월드컵 독일]]의 공식 응원가인 이 곡은 월드컵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맞물려 엄청난 인기를 끌었다. 이 인기에 더불어 고음불가 팀이 원곡자인 [[버즈(한국 밴드)|버즈]]를 대신해 행사를 다니고, 심지어 그 곡으로 CF까지 찍었다. 이로부터 10년 뒤 [[버즈(한국 밴드)|버즈]]의 멤버 [[민경훈]]과 고음불가의 [[이수근]]이 [[아는 형님]]에서 함께 하게 되었는데, 이수근이 민경훈에게 고음불가 시절을 언급하며 미안하다며 자신이 잘 보필하겠다고 말했을 정도. 또 [[아는 형님]]에서 [[민경훈/아는 형님|민경훈]]과 [[이수근/아는 형님|이수근]]이 함께 '[[Reds Go Together]]'를 부르며 고음불가 무대를 꾸미는 이색적인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본격 원곡자와 함께 하는 [[원작파괴]].-- [navertv(987959)] 당대 큰 인기를 누렸던 코너인 만큼 종영 이후에도 특집 방송에서 종종 방영되곤 하였는데, [[https://youtu.be/CrnsBnK2A-c|2006년 송년 특집]][* 2004년부터 2006년 상반기 코너 중 다시 보고 싶은 코너 특집.], [[https://youtu.be/JaC1DANssOc|400회 특집]][* 네티즌이 선정한 다시 보고 싶은 코너 특집으로 방영되었다. 본래는 1위로 선정된 [[도레미 트리오]]가 방영될 예정이었으나, 모종의 사유로 불발되어 2위를 한 고음불가가 대신 방영된 것이다.], [[https://youtu.be/SPABWPh-vTQ|10주년 특집]], [[https://youtu.be/TLLXecmUZlM|코미디 40주년 특집]] 등에 출연했다. 코미디 40주년 특집에서는 [[윤복희]]의 '[[여러분(윤복희)|여러분]]'과 [[싸이]]의 '[[강남스타일]]'을 불렀다. 다만 40주년에는 변기수 대신 그의 ([[KBS]]) 20기 동기[* 다만 특채인 변기수 본인과 달리 이동윤은 공채다.] [[이동윤(코미디언)|이동윤]]이 투입.[* 당시 변기수는 [[코미디빅리그]]에서 활동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1000회 특집 2부에서도 방영했으며, 류담의 자리는 [[김태원(개그맨)|김태원]]이 대신했다.[* 당시 류담은 배우 일에만 전념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셋이 완전체로 모인 날은 10주년이 마지막이었던 셈. 출연진들 모두가 2003년에 데뷔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류담은 [[KBS]] 18기 공채에 합격, 이수근은 그 해에 KBS 특채로 편입, 변기수는 [[SBS]] 7기 개그맨이었으나 2005년에 특채 20기가 됐다. 여담으로, 원래 코너 자체를 올리지 않으려고 했다. 그러나 아는 형님에서 밝히기를 [[박준형(코미디언)|박준형]]이 너무 재밌는데 이걸 왜 안 보내려고 하냐고 강경하게 주장해서[* 당시 갈갈이엔터테인먼트 사장이었다.] 설 특집 특별 코너로라도 올렸는데, 반응이 너무 좋아서 정규 코너로 편성이 되었다고 한다.[* 또 대표적으로 [[SBS]] [[웃찾사]] [[나몰라패밀리]]의 탄생도 고음불가랑 비슷한데, 나몰라패밀리 코너가 9번이나 까이고 이게 웃기냐고 제작진과 출연진이 의구심을 품을 때 [[컬투]]가 이 코너가 안 웃겨 통편집될 경우 컬투가 웃찾사에서 2년 더 출연하겠다는 조건과 [[김태균(방송인)|김태균]]이 본인이 나몰라패밀리 멤버들과 무대에 오를 테니 한 번만 기회를 달라고 해 첫방에 오르고 대박을 쳤다. 한 마디로 고음불가와 나몰라패밀리 두 코너 다 대선배인 박준형과 컬투의 지원이 없었다면 방송에 못 나오고 영원히 묻혔을 것이다.] === 게스트 === * 343회에서 [[김종서(가수)|김종서]]가 특별출연했다. * 346회에서 [[신효범]]이 특별출연했다. * 347회에서 [[이정(가수)|이정]]이 특별출연했다. * 348회에서 [[별(가수)|별]]이 특별출연했다.[* 참고로 이 날 코너 전반부에서 부른 노래는 고음불가가 자체적으로 발표한 곡인 '제발'.] * 마지막회에서 [[자두(가수)|자두]]가 특별출연했다. * 10주년에서는 기존의 세 멤버가 노래를 부르고 난 뒤에 특별출연으로 [[무한도전]]의 [[유재석]], [[노홍철]], [[정형돈]]이 출연하였다.[* 다들 알겠지만, 유재석은 '''황금 기수'''라 불리는 KBS 공채 7기 출신, 정형돈 또한 KBS 공채 17기 출신으로 [[도레미 트리오]] 등 인기 코너를 많이 배출했다.] 고음불가 담당은 유재석. 이 셋이 노래를 부르고 난 뒤에는 다시 [[소녀시대]]가 나와 일부 가사에서 [[삑사리]]를 내거나 [[애드립]]을 내뱉는 개그를 선보였다.[* [[태연]]은 당시 [[친한친구]] DJ로 불참.] === 패러디 === 한창 인기가 있었을 때, [[봉숭아 학당(개그콘서트)|봉숭아 학당]]에서 [[경비(봉숭아 학당)|경비]] 역의 [[장동민]]이 고음불가를 패러디해 '''[[https://youtu.be/j4vpxY-aIu8|저음불가]]'''라는 이름으로 나타나 고음불가와 반대로 저음 파트에서 찢어지는 고음을 질러대며 시청자들을 포복절도하게 만들어 폭발적인 인기를 끈 적도 있었다. 이수근 특유의 장발과 건들거리는 자세도 똑같이 구현했다.[* 아이러니하게도 해당 화는 장동민이 경비 역으로써는 마지막으로 출연한 화이다.] 실제로 [[2006 FIFA 월드컵 독일]] 기념 공연 중 고음불가와 저음불가가 같이 나온 적이 있다. 고음불가의 주인공 [[이수근]]은 [[세인트 세이야]]의 모바일 게임 CF를 찍으며 모처럼 고음불가 개그를 선보였다. [[https://youtu.be/GBviGgrZMH4|#]] 2009년 9월에는 [[SBS]] [[웃음을 찾는 사람들]]에서는 고음불가를 대놓고 패러디한 '''성대골절'''이 있었다. [[김승혜]]와 [[이종수(개그맨)|이종수]]가 양 옆에서 노래를 부르면 [[성악가]] 복장을 한 구근이 지나친 고음을 낸다는 코너. 아이러니하게도 이 코너를 [[패러디]]한 코너에 출연했던 김승혜는 후에 KBS로 이적한다. 또한 당해 겨울 개콘에서는 [[록 스피릿#s-2|록 스피릿]]이라는 고음불가와 비슷한 플롯의 코너를 선보였지만, 심각한 악평만 받고 단 한 회만에 끝나버렸다. [[첵스초코]]에서도 패러디. 자매품인 첵스 크런치의 광고에서 크런치가 고음불가를 선보였다. [[https://youtu.be/m1NujhvKLt0|#]] 2020년 베스트 코너 50에서 8위로 뽑혔고, 다른 개그맨들이 '''노출불가'''로 리메이크했다. 나온 사람들은 [[박진호(코미디언)|박진호]], [[조진세]], [[김회경]]. 여기선 정중앙에 있는 박진호가 노출하면 양쪽에서 가려주는 식. 다만 가리는 게 앞에서 찍는 카메라 기준이라 뒤에 있던 개그맨들은 못 볼 꼴 다 봤다. 2020년 3월 14일과 2020년 3월 21일 두 번 나왔다. 2006년 4월 3일, 당시 입사 3개월차였던 KBS 32기 아나운서 [[전현무]], [[이지애]], [[오정연]], [[최송현]]이 패러디를 했다.[* 부른 곡은 [[동방신기]]의 [[Hug]].] 오프닝 멘트와 고음불가 담당자는 [[전현무]]. [[https://youtu.be/25sVFNJnryE|#]] === 같이 보기 === * [[슈퍼스타 KBS]] * [[리액션 야구단]] * [[개그콘서트/종영 코너]] [[분류:2006년 종영/개그콘서트 코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