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양시의 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D9700347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oyang9700-a.jpg|width=100%]]}}} || || 대원고속 소속 차량. || 명성운수 소속 차량.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고양시 BI_White.svg|height=20px]] {{{#ffffff 고양시 직행좌석버스 9700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고양 9700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킨텍스제2전시장)[*A [[대원고속]] 기점. 전산상에는 미정차(가상정류소)로 나오나, 승하차 가능하다. 명성운수가 운행하지 않아서 이렇게 바뀐 걸로 추정.][br]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대화역]])[*B [[명성운수]] 기점] ||<-2> 종점 ||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동(교육개발원입구) || ||<|2> 종점행 || 첫차 || 05:00[*C 대화역 기준 출발 시각. 대원고속 차량은 대화역 출발 5분 전 킨텍스 출발.] ||<|2> 기점행 || 첫차 || 06:10[* 실제로는 06:15~20분 전후로 양재역에서 출발한다.] || || 막차 || 22:45 || 막차 || 00:00[* 양재역 정류장 기준] || ||<-2> 평일배차 || 60~70분 ||<-2> 주말배차 || 토요일 75~90분 / 공휴일 75~95분 || ||<-2> 운수사명 || [[대원고속]] / [[명성운수]] ||<-2> 인가대수 || 6대[* 대원고속 3대, 명성운수 3대. 코로나 관련 감차의 여파로 현재는 양사 2대씩 총 4대가 운행한다.] || ||<-2> 노선 ||<-4> 킨텍스제2전시장 - [[대화역]] - 일산백병원 - 문촌마을 - [[주엽역]] - 강선마을 - 일산동부경찰서 - 일산동구청 - [[마두역]] - 알미공원·안산공원 - (→ [[백석역]] →) - 백석동·요진와이시티 - [[대곡역(고양)|대곡역]] - 고양경찰서·토당청소년수련관 - 행신초등학교 - 행신동 - 서정마을입구 - {{{#aaa 강변북로·올림픽대로}}}[* 기본적으로는 서울 방향은 [[강변북로]]를, 일산 방향은 [[올림픽대로]]를 이용한다. 기사들간에 전화로 정보를 주고 받다 보면 ㄹ자 형태(행주동 주민센터 - 가양대교 or 행주대교 - 올림픽대로 - 마포대교 - 강변북로 - 한남대교를 지나 강남 진입)로 운행하는 해괴한 경우도 있다. 그런데 그렇게 해도 한쪽 길만 고집하는 것보다 빠르다. 하지만 현재는 민원으로 인해 교통통제가 이뤄지지 않는 이상 우회운행을 하지 않는다.] - [[신사역]]·푸른저축은행 - [[논현역]] - [[신논현역]]·씨티은행 - 강남역티월드 - 래미안아파트·파이낸셜뉴스 - 뱅뱅사거리 - [[양재역]]·서초문화예술회관 - 교육개발원입구 || == 개요 == [[대원고속]]과 [[명성운수]]가 [[공동 배차]]하는 직행좌석버스 노선. [[http://map.naver.com/?busId=10603|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2002년 3월 23일 '[[화정터미널|고양(화정)]] - 강남, 양재역 - [[장호원정류소|장호원터미널]]을 운행하는 [[http://image.dcinside.com/viewimagePop.php?id=2fa8c3&no=29bcc427b68277a16fb3dab004c86b6f6b0b0f26ed5ca8b418f57cf1a7ebc10d3789f437ab8e6ab69d2cd08cabeceffafe8479558e2ca7700fe3ccb066&f_no=099ee019b58460f02095e692|시외버스 9900번]]으로 개통되었다. * 2004년 2월 20일에 시내버스(직행좌석버스)로 형간전환하면서 '강남~이천' 구간이 단축되고 [[화정터미널]] 출발이 [[대화역]] 출발로 변경돼 [[일산신도시]]로 연장됨과 함께, [[명성운수]]가 배차에 참여하게 되어 지금에 이른다. 대원고속의 경우 차량수급 문제로 명성운수만 먼저 2월 20일에 운행을 시작했고, 몇 주 뒤 대원고속이 운행을 개시했다. 고양시와 연관이 없었던 [[대원고속]]이 이 노선을 운행하고, 문서명에 경기광주가 앞에 오는 이유는 이 때문이다.[* 이 9700번을 계기로 [[광역급행버스 M7412|M7412번]], [[광역급행버스 M7613|M7613번]], [[경기순환버스 8109|8109번]], [[시외버스 3000|3000번]]이 개통/인수되어 대화영업소가 성장했다.] * 능곡지구와 화정지구를 경유하기 때문에 소요시간이 상당히 긴 것이 문제였으나 2011년 2월 8일부로 노선이 분리되어 능곡·화정지구를 경유하지 않게 되고, 그 구간은 [[경기광주 버스 9600|9600]]이 대체하게 되었다. * 2011년 10월 12일 [[대원고속]] 차량들만 [[대화역]]에서 [[킨텍스]] 제2전시장으로 연장되었다. * 2019년 11월 19일부터 23일까지 [[명성운수]]가 파업에 들어가면서 대원고속 노선만 운행했다. 이때 배차간격은 약 40~50분. * 2020년 2월 말 ~ 3월 초 사이 일자 미상으로 킨텍스제2전시장 정류소가 전산상으로만 미정차(가상정류소)로 변경되었다. 승하차는 여전히 대원고속 차량에 한하여 가능. * 적자 누적으로 인해 2021년 9월 1일부터 [[대원고속]]이 철수하고 [[명성운수]]에서 단독으로 운행하게 되어 2대로 감차되고 킨텍스제2전시장 구간도 미운행되었으나, [[https://m.blog.naver.com/ljg9818/222486090804|#]] , [[https://m.dcinside.com/board/transit/379525|#]] 운행중단된지 2일만인 2021년 9월 3일부터 대원고속이 다시 복귀해 킨텍스 제2전시장 구간도 다시 운행하게된다. == 특징 == * 서울시내 구간에서는 줄을 서서 타는 것이 관례이다. 특히 양재역 → 신사역 구간 중앙차로 정류장에서는 별도 표시가 없더라도''' 승강장 맨 앞쪽에 줄을 서서 탑승해야 하므로''' 이용객 분들은 참고 바란다. 가변차로 정류장(강남역, 신논현역)의 경우 가로형 표지판이나 바닥에 적힌 표시를 보고 타면 된다. * 2006년 [[명성운수]] 파업 당시 수원대와 용인외대 영업소에서 1007번, 1500-2번 등 [[대원고속]] 차량의 예비차를 긁어 모아서 9700번만큼은 평시와 같은 간격으로 정상운행시킨 일도 있다. 폐차 직전의 97~98년식 구도색[* 원래 9700번은 레드떡칠만 다녔다.] 스윙도어 BH116 차량에 9700번 노선 스티커를 정상적인 것처럼 붙여서 운행하였다. 당시 다른 노선은 차량이 모자라서 파행운행을 계속하였는데 9700번만큼은 안내문에 '''9700번은 정상운행합니다'''라고 대놓고 홍보하였다. [[공동 배차]]의 이점을 제대로 활용한 케이스. * 2019년 11월에도 명성운수 총파업이 있었으나, 2006년과 달리 [[광역급행버스 M7412|M7412번]]이 있어서 차량을 추가 배치하지는 않았다. 대원고속에서는 9700 버스 정류소에 __M7412 탑승권유 안내문__을 붙였다. * 서울특별시 교통상황이 항상 유동적이다 보니 일산방향은 [[올림픽대로]]를 타는 기존의 운행방식을 무시하고 [[신사역]]-[[한남대교]]남단-[[올림픽대로]]-여의교-[[노들로]]-[[가양대교]]-[[제2자유로]]-권율대로-행신동으로 오는 경우도 종종있다. 태풍이나 홍수로 한강이 침수되어 강변북로, 올림픽대로가 통제되는 경우에는 소만마을 정류장에서부터 [[고양 버스 1000|1000번]]의 경로를 따라 서울 도심으로 진입한 뒤, 남산터널로 진출하여 강남으로 가는 방식으로 운행한다. 이는 같이 강남으로 운행하는 [[경기광주 버스 9600|9600번]], [[광역급행버스 M7412|M7412]]도 동일하며 반대방향도 역순으로 온다. * [[고양시]] 최초로 강남까지 연결된 시내버스다. 9711, M7412, 9600 등 후속 노선의 출발점이 된 것. [[광역급행버스 M7412|M7412]] 개통 후로는 이쪽의 수요가 더 많아져 빛이 바랜 감도 있다. * M7412로 수요가 빠지면서 차가 좀 줄었다. 최근 평시 배차가 15분에서 20분으로 늘어난 것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대화역-강선마을 및 행신동 수요가 여전히 많고, M버스와 겹치는 구간도 입석이 불가한 M버스의 입석 보조노선으로서의 역할을 해주고 있기 때문에 여전히 고양시민들에게 꼭 필요한 노선이다. 특히 퇴근시간에는 강남역 이북 구간에서 M버스를 타기 어렵기 때문에 이 버스로 승객들이 몰리며 입석승객이 앞문까지 꽉꽉 들어차는 일이 흔하다. 하지만 일산서구 지역에서도 후곡마을(일산로) 라인, 가좌마을, 대화마을 등 대화역-강선마을 정류장을 가기 위해 1회 이상 마을버스나 시내버스의 추가 승차가 필요한 지역이 출발지라면 일산동부경찰서 정류장으로 이동해서 M7412를 타는 쪽이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 우연의 일치인지, [[광역버스(서울)|서울특별시 광역버스]]의 번호 체계에 부합하는 노선 번호이다.[* 게다가 이 노선의 번호가 9700번으로 변경된 시점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대개편 '''5개월 전'''이다!] * 현재 경기도 직행좌석버스 노선 중에서 유일하게 공동배차로 운행 중인 노선이다. 대부분의 노선이 노선입찰제인 [[경기도 공공버스]]로 전환되면서 공동배차가 불가능해졌지만[* 대표적으로 [[수원 버스 4000|수원 4000번]]과 [[성남 버스 4500|성남 4500번]]], 이 노선은 민영제이기 때문에 공동배차가 여전히 가능한 것.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강남역]]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대화역]], [[주엽역]], [[정발산역]][* 일산동구청 정류장 하차 후 도보로 약 150m.], [[마두역]], [[백석역]], [[대곡역(고양)|대곡역]], [[신사역]], [[양재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논현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 [[신논현역]] * [[파일:GJ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대곡역 * [[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17]] [[신분당선]]: 강남역, 양재역 == 둘러보기 == [include(틀:M버스 보조노선)] [include(틀:고양-강남역간 버스)] [[분류:고양시의 시내버스]][[분류:2002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경기도의 직행좌석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