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양시의 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고양97.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고양시 CI_White.svg|height=20]] 고양시 일반형버스 97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고양 97 노선도.sv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포내리(김포대학차고지) ||<-2> 종점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신동([[행신역]]) || ||<|2> 종점행 || 첫차 || 05:40 ||<|2> 기점행 || 첫차 || 04:50[br](주말/공휴일 06:30) || || 막차 || 00:10 || 막차 || 00:10 || ||<-2> 평일배차 || 40~65분 ||<-2> 휴일배차 || 50~115분 || ||<-2> 운수사명 || [[고양교통]] ||<-2> 인가대수 || 19대[* 평일 4대, 주말 3대 운행] || ||<-2> 노선 ||<-4> 김포대학차고지 - [[김포대학교]] - 군하리.한우마을 - 오리정 - 마송 - 도사리 - 수참.하성입구 - 누산사거리 - 한강로사거리 - [[일산대교|{{{#aaa 일산대교}}}]] - [[KINTEX|킨텍스]].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대화역]] - [[주엽역]] - 일산동구청 - 강촌마을1단지 - 마두1동행정복지센터 - 백석1동행정복지센터 - [[백석역]].[[고양종합터미널]] - 백석동.요진와이시티 - [[대곡역(고양)|대곡역]] - 샘터마을2단지.[[신능중학교]] - 무원마을.단독주택단지 → [[행신역]] → 용현초교.행신중학교 → 무원마을2.3단지 이후 역순 || == 개요 == [[고양교통]]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일반형버스]] 노선이다. 총 운행거리는 약 79km이다. [[http://www.gbis.go.kr/gbis2014/schBus.action?searchText=97&routeId=218000006|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2009년 3월 25일 [[김포대학교]] ~ [[대화역]]을 잇는 노선으로 개통되었다. * 2009년 6월 5일 [[대화역]]에서 [[행신역]]으로 연장되었다. * 2019년 1월 21일부터 김포 방면으로 '일산병원'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한다. == 특징 == * 교통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전 구간 완주 시 약 1시간 30분~1시간 40분이 소요된다. * '''[[일산대교]]를 건너는 최초의 노선들 중 유일하게 생존한 노선이다.''' 과거 [[명성운수]] [[고양 버스 15|15번]], [[신성운수|신성교통]] [[고양 버스 550|550번]], [[강화운수]] [[김포 버스 80|80번]], [[김포 버스 300|300번]], [[김포운수]] [[김포 버스 605|605번]]이 운행했었으나 모두 폐선되었다. * 같이 김포 ~ 일산을 잇는 동사의 [[고양 버스 96|96번]]과는 달리 [[일산대교]]를 건너 [[김포시]] 일대를 운행한다. 따라서 고촌과 김포시내는 경유하지 않는다. 정 가고 싶다면 처음부터 88, 96번을 타거나, 대화역에서 김포시내로 가는 33-1번을 타거나, 검은다리나 장기사거리에서 타 노선으로 환승해야 한다. * 동사 96번과 마찬가지로 첫, 막차 모두 기/종점에서 영업을 개시하고 종료하는 노선이니 막차를 탈 때 주의해야 한다.[* 막차는 편도 운행이라 반대편 기/종점에 닿으면 바로 운행을 끝낸다.][* [[행신역]] 쪽은 식사동차고지에서 [[공차회송]]해 운행한다.] * 동사 [[고양 버스 96|96번]]과 더불어 김포 동지역에서 통진읍, 월곶면 방향으로 가장 이른 시간대에 진입하는 노선이다. 그리고 96번 만큼은 아니지만 비교적 늦은 시간대까지 통진읍, 월곶면에서 한강신도시 방향으로 운행하는 노선이다. * 덕양구에서 일산과 김포로 건너갈 때 가장 이른 시간에 다니는 버스이며[* 오전 5시 시간대에 일산으로 넘어가는 노선이 이 노선밖에 없다. 행신역에서 나오는 첫차를 타면 고양경찰서에서 좌석이 거의 꽉 찰 정도가 된다.] 덕양구의 교통 음영지역을 훑어주는 노선이다. 행신역과 샘터마을 2, 3단지 근방에서 72번을 마냥 기다리기에는 무리가 있는데 이 노선이 덕양구, 특히 행신2동 쪽 주민에게는 빛과 소금인 셈이다. * 출퇴근 시간에 백석동 ↔ 행신동 구간의 혼잡을 확실히 완화해준다.[* 일산병원, 테크노타운, 백마마을 등으로 가는 노선이기도 하다. [[고양 버스 1200|1200번]]의 경우 광역버스이고 [[고양 버스 72|72번]]은 전만큼 차가 오지 않는 문제가 있는데 그런 부분에서 이 노선이 확실히 도움이 된다.] 그런데다가 샘터마을2,3단지와 행신역의 경우는 일산으로 나가는 몇 없는 버스이기 때문에 일산동구청, 주엽역 등으로 나갈때 백마마을로 돌아감에도 불구하고 타는 사람이 있는 상황이다.[* [[파주 버스 80|80번]]이 행신역이나 디지털미디어시티역으로 연장되지 않는게 아쉬울 따름이다.] * 김포에 거주하는 야근 직장인들에게는 은근히 반가운 노선인데, 이는 킨텍스 기준으로 막차가 새벽 0시 30~40분쯤 지나가기 때문이다. 하지만 2023년 1월에 더 늦게까지 지나가는 [[김포 버스 2000|일반시내 2000번]]이 생겼다! * 김포에서 출근할 때는 [[한강신도시]] 구간을 지나면서 점점 자리가 없어지고, 일산대교 가기 직전 검은다리에서는 승차할 공간 조차도 있을까 말까 할 정도로 출퇴근시간에 특히 수요가 집중된다. 물론 퇴근 시간에는 일산 구간에서 비슷한 일이 일어난다.(...) 다만 현재는 경쟁 노선인 2000번이 더 자주 다니고 있고, 이 노선의 배차간격이 과거에 비해 매우 길어지면서 승차할 공간이 없을 정도는 보기 어려워졌다. * 출근시간에 장기본동행정복지센터 정류장에서는 암묵적으로 줄을 서서 탄다. 위에 상술했듯 자리가 얼마 남지 않아 입석이 시작되는 구간이기 때문이다. * 이 노선은 [[마두역]]을 경유하지 않는다. 혹시나 마두역에 간다고 하면, 일산동구청이나 백석동 정류장에서 널리고 널린 시내버스들로 환승하자. * '''[[시계외요금|거리비례제]]''' 적용노선이므로 현금으로 승차시 목적지를 말해야 한다. == 시간표 == ===# 주말.공휴일 #=== ||<-3> 고양시 일반형버스 97번 주말.공휴일 운행시간표[br]2023년 6월 기준 || || 횟수 || 김포대 || 행신역 || || 1 || 05:40 || 06:30 || || 2 || 07:20 || 07:20 || || 3 || 08:50 || 08:50 || || 4 || 09:55 || 10:30 || || 5 || 11:00 || 11:30 || || 6 || 12:40 || 12:40 || || 7 || 13:45 || 14:30 || || 8 || 14:35 || 15:30 || || 9 || 16:40 || 16:40 || || 10 || 17:35 || 18:25 || || 11 || 18:35 || 19:25 || || 12 || 20:30 || 20:10 || || 13 || 21:25 || 22:10 || || 14 || 22:30 || 22:50 || || 15 || 24:10 || 24:10 || * 도로상황이나 운행업체의 상황에 따라 시간이 변동될 수 있음. * 김포대학발 24:10 차량은 용현초교, 무원2.3단지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음. (행신역에서 운행 종료) === 대체노선 === * 원래 배차간격이 좋은 편이 아니었지만, 코로나19로 인한 감차 등의 여러 요인으로 인해 배차가 더 길어졌다. 대체노선을 꼭 확인할 것. * '''장기사거리.수정마을 ~ 고양경찰서: [[김포 버스 2000|2000번]]'''[* 김포 방향으로 전원마을(장기사거리)을 정차하지 않고, 마두동/백석동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 중앙로만 일부 정류장을 제외하고 모두 경유하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그러나 이 노선도 97번보다는 낫지만 그래도 배차간격이 좋은 편은 아니니 유의할 것.][* 시간이 맞으면 김포본동이나 걸포동으로 이동하여 [[김포 버스 33-1|33-1번]]을 이용해도 된다.] * 김포대학교 ~ 장기마을입구, 검은다리: [[김포 버스 88|88번]], [[고양 버스 96|96번]], [[김포 버스 3000|3000번]][* 장기사거리, 수정마을까지 겹치고, 직행좌석버스라 중간중간 무정차 정류장이 있으니 주의.] - 통진까지는 90번, 누산리부터 2번, 101번, 102번, 한강로사거리부터 60-3번, 81번을 이용해도 된다. * 대화역 ~ 일산동구청: 3호선을 포함하여 이 구간을 지나가는 대체노선들이 많으므로 생략한다. * 일산동구청 ~ 백석역, 고양종합터미널: [[서울 버스 773|773번]][* 백송마을~고양종합터미널], [[고양 버스 010|010번]][* 백석역을 거친 후 백송마을 방향으로 돌아서 올라간다. 88번과 같이 백마마을을 커버한다.], 039번[* 일산동구청~마두1동행정복지센터 구간] * 백석동, 요진와이시티 ~ 고양경찰서: [[고양 버스 66|66번]], [[서울 버스 700|700번]], 1000번, 1100번, 1200번, 7727번, 9700번 * 고양경찰서 ~ 행신역: [[고양 버스 11|11번]][* 고양시교통정보센터에서 부터 이용 가능하다.], [[고양 버스 850|850번]], [[김포 버스 2000|2000번]], [[고양 버스 030|030번]] === 사건사고 === * 2016년 8월 23일 일산 뉴코아아울렛사거리에서 97번 버스와 마을버스가 충돌하는 사고가 있었다. [[http://www.kyeongin.com/main/view.php?key=20160823010007280|#]] 추돌 후 97번 버스가 인도까지 덮쳤지만 보행자가 없어서 7명이 경상을 입은 것으로 그쳤다. 해당 차량은 수리하지 않고 대차되어 [[고양 버스 88|88A번]]으로 이동했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대화역]], [[주엽역]], [[정발산역]][* 일산동구청 정류장 하차 후 도보로 약 150m], [[백석역]], [[대곡역(고양)|대곡역]] * [[파일:GJ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대곡역, [[행신역]] * [[파일:Seohae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서해선]]: 대곡역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60]] 일반 철도역: 행신역 [[파일:KTX BI.svg|width=35]] == 둘러보기 == [include(틀:고양-김포시간 버스)] [[분류:고양시의 시내버스]][[분류:김포시 경유 관외 노선]][[분류:2009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