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군함의 함종별 분류)] ||
[[파일:attachment/a0012148_4a781b726df38.jpg|width=100%]] || || [[대한민국 해군]]의 [[참수리급 고속정]] || [목차] [clearfix] == 개요 == 고속정([[高]][[速]][[艇]], Fast attack craft) 또는 고속함(高速艦, Patrol boat; Patrol ship)은 연안의 순회 및 정찰 등의 임무에 쓰이는 소형의 빠른 [[군함]]을 말한다. 두문자어로 FAC라 쓰인다. 순찰정 또는 초계정이라고도 하며, [[일본식 한자어]]로 순시선이라고도 한다. == 특징 == === 크기, 배수량 === 대부분의 고속정은 초계함보다 작기 때문에 '함'이 아니라 '정'이라고 부른다. 드물게 초계함과 맞먹을 정도로 크기가 크다면 고속함이라고 부른다. 한국 해군 같은 경우는 군용 함선을 배수량 500톤을 기준으로 작으면 ~정, 크면 ~함을 붙인다. 그래서 [[참수리급]]은 고속정, [[윤영하급]]은 고속함으로 부르고 있다. [[대한민국 해양경찰청|해양경찰]]의 중소형 경비함과 체급이 겹치지만, 차이점은 해경에서는 경비정과 경비함의 구분이 약 200톤이며 그 이상은 5,000톤급 [[삼봉급]]까지 모두 경비함이라고 부른다. === 역할 === 크기가 작아서 많은 보급품과 연료를 적재할 수 없기 때문에 국토에서 멀리 출항하지 못한다. * 연안(Inshore)에서 경비용, 밀수 단속, 밀입국 단속, 불법 어선 단속 등 [[해양경찰]]에 가까운 역할을 일반적으로 수행한다. 이 역할을 강조하고자 연안고속정, 고속순찰정, 경비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바다 위의 [[게릴라]]: 약소국에서는 고속정에 값비싼 미사일을 몇발만 장비시키고, 이 고속정을 대량생산하여 주변 바다에 도배한다. 이렇게 되면 정찰이 어려운 해양전투의 특성 때문에 강대국도 상당한 출혈을 감수해야 한다. 이 출혈이 약소국을 군대로 공격하여 얻는 이득보다 커지게 만들어 강대국이 군사 개입 대신 외교 개입을 선택하게 만든다. * 범죄와 테러, 해적: 테러리스트들이 애용하는 선박 체급이다. === 가장 민첩한 함선 === 오토바이와 자동차의 관계처럼, 고속정은 대형 함선보다 민첩하다. 수천 톤짜리 [[구축함]], 10만 톤짜리 [[항공모함]]도 최고속도는 28~30노트 정도 찍는데 보통 고속정들도 30~40노트 정도 찍으며 심지어 50노트가 넘어가는 고속정들도 존재한다. 최대속도에 이르면 [[물수제비]]처럼 수면에서 뛰어오르며 날아다니기도 한다.[* 수면에서 뛰어오른다는 건 곧 심하게 흔들린다는 뜻이니 멀미에 약한 수병이라면 아주 고역을 겪는다. ] 그리고 대형 함선에겐 불가능한 빠른 방향전환으로 구식 어뢰나 무유도 로켓 정도는 쉽게 피한다. === 무장 === 고속정에도 상당한 고화력 무장을 장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안경비용 고속정에는 중기관총, 소구경 기관포, [[M134 미니건|미니건]], [[유탄발사기|유탄기관총]] 정도를 기본 무장으로 장비한다. 이러한 고속정을 [[건보트]]라고 부른다. 그리고 건보트에서 더 나아가 대형 함선과 전투를 상정할 경우 [[어뢰]]와 대함[[미사일]]을 몇발 장비한다. 이러한 고속정을 [[어뢰정]], [[미사일 고속정]]이라고 부른다. 2006년 이스라엘의 레바논 침공 당시 [[헤즈볼라]]가 항만 입출항 관리용 레이더를 이용해 이스라엘의 사르-5급 코르베트함 INS 하닛에 대함 미사일을 먹인 적이 있다. 중국제 C-802에 기반한 이란제 대함미사일이었는데, 당시 이스라엘 공군이 제공권을 장악한 상태여서 대공방어시스템을 꺼놨다가 일격을 맞은 것. 대함[[미사일]]이 실용화된 후, [[제1차 세계 대전]] 전에 어뢰정 열풍이 분 것처럼 한때 미사일 고속정 열풍이 분 적이 있었다. 1,000톤도 안 되는 고속정이 주먹은 대형인 [[구축함]]이나 [[순양함]]과 같은 수준이고, 실제로 전적도 만만찮게 올렸다. 최초의 대함 미사일 전적인 [[이스라엘]]의 에일라트 침몰, 이를 완전히 설욕한 [[중동전쟁#s-4|4차 중동전]] 당시의 라타키아 해전 등. 이 때문에 [[연안해군]] 성향이 강한 국가들은 미사일 고속정에 많이 의존했다. 구[[소련]]이나 [[독일]], [[노르웨이]]나 중동 국가 등. 그러나 마스트 높이가 낮아서 레이더 탐지거리가 짧고[* 사정거리 200km짜리 대함 미사일을 탑재했더라도 고속정의 레이더에만 의존한다면 그 미사일은 그냥 20km짜리 단거리 미사일일 뿐이다.], 크기가 작아서 기타 전자장비도 후달리고, 결정적으로 대공방어능력이 전무에 가깝기 때문에 90년대 이후로 열풍이 확 사그라졌다. [[걸프전]] 당시 [[영국]]의 [[링스]]가 [[시스쿠아]] 미사일로 [[이라크]]의 고속정들을 일방적으로 사냥해버린 게 결정적이었다. 공격력은 강하지만 방어력이 약하다는 이런 특성 때문에 '대포를 단 종이전차'나 'Eggshells armed with hammers[* 순양전함도 이렇게 불렸다.]'라고 불리기도 한다. 그런데 [[이란]] 등 기타 약소국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기도 한다. 근해에서의 힛앤런 용도로 쓰려는 모양이다. 애초에 이란 같은 경우는 대형함을 보유하는 것이 별 의미가 없는 게 압도적인 [[미합중국 해군|미해군]]의 전력 앞에서는 대형함이나 고속정이나 둘 다 탐지되는 순간 격침되는 것은 다를 바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나마 해안가에 [[은폐]]시켜서 기습 공격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값싼 고속정을 다수 보유하는 것이 유리한 것. 이는 냉전 시기에 강력한 [[소련]] 해군을 상대해야했던 [[핀란드]]나 [[노르웨이]] 해군이 고속정을 다수 보유했던 것과 같은 맥락이다. === 높은 경제성 === 이때문에 남미, 아프리카 등 해군력이 중시되지 않고 해상 위협이 별로 없는 고만고만한 나라에서 각광받는다. 예외적으로 내륙국이지만 거대 호수([[카스피해]] 등)를 두고 있는 중앙아시아 국가 일부도 고속정을 사용한다. === 작은 체급의 한계 === 작은 덩치는 어디까지나 보조함에 위치에 머무를 수밖에 없고, 제해권, 제공권을 빼앗기면 학살 당할 수밖에 없다. 어디까지나 기습, 방어 임무에 사용할 수밖에 없고, 제한된 임무 방식은 적은 유지비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비효율적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 특히, 현대에 와서 다목적을 가진 적당한 크기의 함선이 작전 반경이나 시간, 승무원 피로도나 복지 등에 더 유리하고, 아무리 많은 고속정이 있어도 할 수 없는 임무들(장거리 초계 등)이 있기 때문에 강대국일수록 고속정을 덜 생산한다. == 종류 == === [[건보트]] === [[파일:external/8a0660d342ff1cc2b7c5a7dd71b6acfb3bb1672f2b0c0719dc83bb11e74fa862.jpg]] 대함 미사일도 어뢰도 장비하지 않은 고속정을 건보트라 부른다. 한문이나 한글로 포함(砲艦)이라 부르는데 대한민국의 [[참수리급]]이 대표적인 건보트라고 할 수 있다. 건보트는 고속정 중에서 최하위 단계의 전투력을 보유한다. 물론 대부분의 어뢰정은 구식이 많기에 참수리급의 경우에는 어뢰정보다는 좋을 수도 있다. 어쨌든 개념상으로 건보트는 최하위 단계다. [[배틀필드 4]] 등 FPS 수준의 스케일이 아주 크진 못한 매체에서 등장하는 고속정이 대개 이런 물건이다. (앞에 기관총이나 다는...)참고로 배틀필드의 고속정은 그중에도 매우 작은 [[CB90급 고속정|CB-90]]급, 20톤(…)급 고속정이다. === 어뢰정 === * 문서 참조: [[어뢰정]] === 미사일 고속정, 고속함 === * 문서 참조: [[미사일 고속정]] == 각국 고속정, 고속함 일람 == * [[대한민국 해군]] * [[윤영하급 고속함]] * [[참수리급 고속정]] * [[PKMR]] * [[항만경비정]] * [[육군경비정]]([[대한민국 육군|육군]] 소속) * [[대한민국 해양경찰청]] * [[P-정]] * [[독일 해군]] * [[게파트급 미사일 고속정]] * [[러시아 해군]] * [[코마급]] * [[오사급]] * [[타란툴급]] * [[랩터급 경비정]] * [[미합중국 해군|미국 해군]] * [[사이클론급]] * [[페가수스급 고속정|페가수스급]] * [[스피어헤드급|JHSV]][* 배수량이 1500톤을 넘어가는 배라 고속'정'이라고 부르기는 힘들다. 고속함에는 속한다.] * [[애쉬빌급]] * Mark V 특수 작전 고속정 * Mark VI 경비정 * [[PBR]] * [[스웨덴 해군]] * [[후긴급 고속정]] * [[CB-90]] * [[북한 해군]] * 소흥급 * [[소주급]] * [[해삼급]] * [[이탈리아 해군]] * [[스파르비에로급 미사일정]] * [[이스라엘]] * [[사르급 고속정]] * [[해상자위대]] * [[하야부사급 미사일 고속정]] * [[1호형 미사일정]] *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 [[022형 미사일 고속정]](후베이급) * [[대만 해군|중화민국 해군]] * [[광화 6호급 미사일 고속정]] * [[프랑스 해군]] * --[[DV-15]]--[* [[배틀필드 4]]의 영향으로 고속정으로 알려졌지만 실제론 순찰정] * [[핀란드]] * [[하미나급]] == 가공의 고속정 == * [[커맨드 앤 컨커 레드얼럿3]]의 [[고속정(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고속정]], [[스팅레이]] == 관련 문서 == * [[육군경비정]] * [[초계함]] * [[청년학파]] * [[호위함]] * [[해군력]] [[분류:군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