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 출발 고속버스)] || [[파일:20220212_093029.jpg|width=100%]] || [[파일:서울경부-공주_1638.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fff 고속버스 서울경부 - 공주}}} || ||<-2> 기점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서울고속버스터미널]]) ||<-2> 종점 || [[충청남도]] [[공주시]] 신관동 ([[공주종합버스터미널]]) || ||<|2> 공주행 || 첫차 || 06:05 ||<|2> 서울행 || 첫차 || 06:00 || || 막차 || 23:35 || 막차 || 22:00 || ||<-2> 운수사명 || [[금호고속]] ||<-2> 배차간격 || 20~40분 || ||<-2> 상세 노선 ||<-4> [[서울고속버스터미널]] - [[경부고속도로|{{{#999 경부고속도로}}}]] - [[논산천안고속도로|{{{#999 논산천안고속도로}}}]] - ( [[북공주JC|{{{#999 북공주JC}}}]] - [[당진대전고속도로|{{{#999 당진대전고속도로(연결도로)}}}]] - [[공주IC|{{{#999 공주IC}}}]] ) or ( [[정안IC|{{{#999 정안IC}}}]] - [[23번 국도|{{{#999 23번 국도}}}]] ) - [[32번 국도|{{{#999 32번 국도}}}]] - [[공주종합버스터미널]] || == 역사 == 1970년 6월 17일 운행했던 [[고속버스 서울호남-광주|서울 ↔ 광주]] 노선의 공주 경유를 시초로 보고 있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0061900239108006&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0-06-19&officeId=00023&pageNo=8&printNo=15132&publishType=00010][* 참고로 광주-공주 노선은 2015년에서야 다시 개통되었다. [[시외버스 광주-세종|물론 공주 경유 세종행으로.]]] 1976년 1월17일 서울-광주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6011700239107003&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6-01-17&officeId=00023&pageNo=7&printNo=16855&publishType=00010] 2002년에 논산천안고속도로, 2009년 당진대전고속도로(현 서산영덕고속도로) 개통으로 현재 운행경로로 변경되었다.[* 그 전까지는 천안나들목에서 국도로 다녔으며 아직 [[23번 국도]]의 개량이 이뤄지지 않았던 시기였다.][* 천안나들목 진출입하던 시절에 만든 노선이라 호남선이 아닌 경부선 발착인것이다.] == 개요 == [[서울특별시]]와 [[충청남도]] [[공주시]]를 잇는 [[고속버스]] 노선. [[금호고속]]에서 단독으로 운영하고 있다. == 특징 == * 노선의 방향을 볼 때 호남선으로 보는 것이 적당하나, [[서울고속버스터미널]](경부선 터미널)로 간다. 서울경부발 고속/시외버스 노선들 중 유일하게 [[정안알밤휴게소]]를 지나가고 정안알밤휴게소를 지나는 노선들 중 유일하게 서울경부로 들어간다. 반대의 예로는 서울호남~[[고속버스 서울호남-유성|유성]], [[시외버스 서울호남-괴산|괴산(증평)]], [[고속버스 서울호남-충주|충주]] 노선이 있다. * 운행 거리가 200km 이상이어야만 [[프리미엄 버스]]를 투입할 수 있다는 제한이 폐지되면서, 이 노선에도 [[프리미엄 버스]]가 추가됐다. * 일반 철도로의 접근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KTX [[공주역]]을 이안숲 근처에 지었으면 [[세종특별자치시]]와 [[공주시]] 두 도시가 모두 KTX를 이용할 수 있었을 텐데, 뭔 이상한 곳에 지어놔서 [[공주역]]에서 공주 시내까지 승용차 기준으로 최단 25분 정도가 걸리나 시내버스를 이용한다면 위에 적힌 것보다 약 10~15분을 추가해야 한다. 거기에 [[공주교통|시내버스]]가 방금 가 버리는 불상사까지 발생하면, 1시간 가량은 잡아야 한다. 더 자세한 내용은 [[공주역]] 문서로. 이 때문인지 매진까지는 아니더라도, 주말은 당연하고 평일에도 수요가 많이 있는 편이다. 덕분에 [[금호고속]]에서도 단거리 노선들 중에서 꽤 신경쓰고 있는 노선이다. * 주말에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발 차량은 매진이 일상이다. 빠르게는 오후 2~3시쯤부터 매진이 되기 시작하며, 심하면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경부]]에서 승차 홈을 공용하는 [[동양고속]]의 [[시외버스 서울경부-아산온양|아산]] 차량을 전후하여 임시차가 배차되고 심하면 23:35 막차 이후에도 임시차가 배차되기도 한다. * [[정안알밤휴게소]]가 [[공주시]] 정안면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주종합버스터미널|공주]]의 유일한 고속버스 노선인 이 노선은 정차하지 않으므로, 휴게소 환승은 불가능하다.[* 참고로 정안 환승을 적용해도 [[공주종합버스터미널|공주]]발은 10~15분이면 바로 갈 수 있기에 비효율적이다. 물론 중간 휴식을 하지 않고 잠시 정차만 하는 형태로 할 수는 있겠지만 전체적인 소요시간이 늘어나는 건 마찬가지다. 또한 고속도로 개통(휴게소 영업 개시) 이후로 인가 변경도 없었다.][* [[고속버스 서울경부-구미|서울-구미 노선]]도 비슷하게 공주 노선처럼 [[선산휴게소]]를 경유하지 않는다.] * 이 노선은 중간에 2개 루트가 존재한다. 하나는 [[공주IC|공주 나들목]]을 출입하여 [[정안알밤휴게소]]를 지나는 루트, 하나는 [[정안IC|정안 나들목]]으로 출입하는 루트. 고속도로 교통 상황에 따른 승무사원의 재량으로 선택적으로 갈 수 있다. 참고로 과거엔 십중팔구 [[정안IC|정안 나들목]]으로 출입했었고, 논산천안선이 아예 막힐 경우엔 [[남풍세IC|남풍세]]/[[남천안IC|남천안 나들목]]까지 올라가 운행하는 경우도 있으며 심한 경우엔 [[1번 국도]] 루트를 타기도 한다. * 2019년 3월 요금 인상 전까지는 일반고속 8,000원, 우등고속 9,000원, 심야우등 9,900원이라는 말도 안 되는 요금을 자랑했다.[* 체감이 안 될 수도 있는데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발 기준 [[정안알밤휴게소]]보다 더 멀리 가면서도 우등고속 요금이 더 낮다는 것이다. 당시 [[정안알밤휴게소]]행은 일반고속 7,000원, 우등고속 10,200원이었다.] 물론 요금이 오르면서 다 옛날 이야기. 심지어 9,000원에서 10,800원으로 올렸다가, 2019년 6월 1일부터 11,900원으로 또 올렸다. 인상 전에는 심야우등도 10,000원이 안 넘었는데, 이제는 평시에도 10,000원을 넘긴다. 거기다가 2021년 6월 28일부로 요금을 정상화하면서 [[고속버스 서울경부-세종|서울 ↔ 세종]] 고속버스 노선과 요금이 비슷해졌다. * 2020년 12월 1일부로 [[공주종합버스터미널|공주]] →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 방면의 상행 막차가 22:00로 조정될 예정이다. 따라서 심야우등은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 → [[공주종합버스터미널|공주]] 방면의 하행 2회만 남을 예정이다. 2021년 [[공주종합버스터미널|공주]]발 막차가 20:30으로 칼질되어 심야 운행이 중지된 상태다.(서울발 심야우등 23:35는 현재도 운행 중) * [[박수현(정치인)|박수현]]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을 때 이 노선을 타고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로 올라가면서 민심을 듣는 것으로 유명했다. 그래서 이를 본뜬 책 제목 이름이 "[[박수현(정치인)|박수현]]의 [[고속버스]] 의원실"이다. * 코로나로 인하여 대다수의 고속버스/시외버스의 감차나 휴차, 심하면 편성 자체(예: 우등/일반 → 우등만 운행)가 바뀌어버리는 반면, 이 노선은 감차만 되고 우등/일반/프리미엄 모두 운행 중이다. * 코로나19의 여파로 감편되었는데, [[공주대학교]]가 전면 대면수업을 하는 바람에 대부분의 편성에서 절반 이상을 채우고 운행한다. 다만 금호고속이 경영난으로 많은 차량을 매각 혹은 대차했기 때문에 우등고속은 협정차량이 매우 자주 들어온다. * 2022년 9월 부로 서울발 막차는 23시 35분으로 변경되었고 심야우등도 22시 15분과 23시 35분으로 바뀌었다. 토요일에는 그 사이로 임시편성이 자주 배차되니 예매에 참고할 것. === 운임표 === || || 일반 || 우등 || 프리미엄 ||심야우등 || || 성인 || 9,300원 || 13,700원 || 17,800원 || 15,000원 || || 아동 || 4,700원 || 6,900원 || 8,900원 || 7,500원|| 프리미엄 버스는 7%의 할인이 적용된다. 할인시 성인기준 16,600원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 [[고속터미널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 [[고속터미널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 : [[고속터미널역]] [[분류:고속버스 서울경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