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000 {{{+2 固城 李氏}}} {{{-1 (鐵城 李氏)}}} [br]{{{+2 고성 이씨}}} {{{-1 (철성 이씨)}}}}}}''' || || '''{{{#ece5b6 관향}}}''' ||[[경상남도]] [[고성군(경상남도)|고성군]] || || '''{{{#ece5b6 원시조}}}''' ||[[노자|이이]] (李耳) || || '''{{{#ece5b6 비조}}}''' ||이반 (李槃) || || '''{{{#ece5b6 시조}}}''' ||[[이황(고려)|이황]] (李璜) || ||<|2> '''{{{#ece5b6 집성촌}}}''' ||[[경기도]] [[의정부시]]·[[파주시]]·[[화성시]][br][[충청남도]] [[논산시]][br][[전라남도]] [[나주시]][br][[경상북도]] [[안동시]]·[[성주군]]·[[청도군]][br][[경상남도]] [[사천시]]·[[진주시]]·[[고성군(경상남도)|고성군]]·[[의령군]][br][[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 ||[[평안북도]] [[삭주군]] || || '''{{{#ece5b6 인구}}}''' ||104,768명[* 고성 이씨(88,587명)+철성 이씨(16,181명)]^^(2015년)^^ || || '''{{{#ece5b6 홈페이지}}}''' ||[[http://www.gosunglee.com/|대종회]] || [목차] == 개요 == 경상남도 고성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 시조는 이황(李璜)이다. == 역사 == 『고성 이씨 명현 열전(名賢列傳)』에 따르면, [[중국]] [[전한]] [[문제(전한)|문제]] 때 중서사인(中書舍人)이었던 이반(李槃)이라는 사람이 있었다.고성 이씨의 구전(口傳)에 따르면 이반은 춘추전국시대 인물인 '''[[노자]](老子)'''의 후손이라고 한다. 전설에 따르면 노자는 어머니 뱃속에서 70년을 있다가 나이 70에 오얏나무 밑에서 태어났고, 태어나면서부터 세상 만물의 이치를 모두 깨우치고 있었다고 하며, 오얏나무 밑에서 태어나 성을 이(李)씨로 정했다고 한다. 노자의 본명은 이이(李耳)이다. [[기원전 109년]]에 [[무제(전한)|한 무제]]가 [[왕검성 전투|조선을 침략]]할 때, 이반의 후손[* 시기상 대략 손자, 증손, 또는 멀리 가야 현손이었을 것이다.]이 도호원수(都護元帥)가 되어 우리나라에 왔다가 전쟁이 끝난 후에도 눌러 살게 되었다. [[이황(고려)|이황]](李璜)은 그의 24세손이라고 하나, 너무 오래전의 일이라 고증할 수가 없다고 한다.[*원문 遺乘云, 漢文帝時, 李槃中書舍人. 漢武討朝鮮時, 槃後孫, 以都護元帥, 出來仍居焉. 槃後二十四世孫璜, 而玄遠不可考.] 1세대 차이를 평균적으로 30년으로 잡으면, 전한 문제 때 사람이라는 이반과 고성 이씨 시조인 이황의 연대차가 약 720년이 나와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두 시기의 차이가 무려 1,200년(40세대) 안팎이다. 이반이라는 사람이 정말로 이황의 직계 조상이라면, 사십이(42)를 이십사(24)로 잘못 적었을 가능성을 생각해볼 수 있겠다. 이황은 [[고려]] [[덕종(고려)|덕종]] 때 밀직부사(密直副使)였다고 하며, [[조선]] 중기 성리학자인 퇴계 이황과는 동명이인이다. 덕종 2년(1033) 1월에 [[거란]]군 일부를 사로잡은 일로 1등급 진급하였으며, [[문종(고려)|문종]] 17년(1063) 4월에는 호부상서(戶部尙書)가 되었다. 이후 철령군(鐵嶺君)에 봉해졌다고는 하나, 밀직부사였던 일과 철령군에 봉해진 일은 정사에서 찾아볼 수 없다. 심지어 일부 문헌에서는 이황이 생원시(生員試)에 합격했으나 벼슬길에 나가지 않았다\[[[http://yoksa.aks.ac.kr/jsp/aa/ImageView.jsp?aa10up=kh2_je_a_vsu_D2B%5E173_000&aa10no=&aa15no=&aa20no=&pageno=&imgnum=JE_A_D2B%5E173_001_000231&imgsize=%3Cbr/%3E|登第隱不仕]]]고 하기까지 하지만, 그가 관직에 이미 있었으며 끝내 호부상서까지 이른 것은 명백한 사실로 보인다. 아니면 동명이인이거나. >좌우위(左右衛) 맹교위(猛校尉) 오행(吳幸), 이황(李璜), 신선립(申先立) 등이 거란(契丹)의 군사 7인을 사로잡아, 관직을 1급씩 하사하였다. >左右衛猛校尉吳幸·'''李璜'''·申先立等, 抄掠丹兵七人, 賜職一級. >고려사 권5 세가 권 제5, 덕종 2년(1033) 1월 28일 을미 >이황(李璜)을 호부상서로, 박희중(朴希仲)을 섭(攝)공부상서로 임명하였다. >以'''李璜'''爲戶部尙書, 朴希仲攝工部尙書. >고려사 권8 세가 권 제8, 문종 17년(1063) 4월 30일 신축 여하튼 이황이 철령군(鐵嶺君)에 봉해진 일을 계기로 후손들이 관향(貫鄕)으로 삼았다고 한다. '철령'은 고성(固城)의 별호이다. == 문화재 == * 안동 임청각(臨淸閣): 보물 182호. 석주 [[이상룡]]의 생가이다. 사대부 반가로서는 가장 크게 지을 수 있는 99칸짜리 집으로 유명하며, 현존하는 민가로는 가장 크다. 임청각은 1519년 이명(李洺)이 지어 500년 가까이 고성 이씨 종가로 보존되어 온 고택이지만, 일제강점기에는 일제가 이 집의 맥을 끊기 위해 집 안을 지나도록 철로를 부설하면서 일부 철거를 당하기도 했다. 2002년 후손들이 국가에 헌납했다. * 안동 소호헌(蘇湖軒): 조선 중기의 별당 건축이다. 본래 안동 법흥동 임청각의 이명이 다섯째 아들 이고를 분가시킬 때 지어준 것으로, 이고의 외동딸과 혼인한 중종 때의 학자 서해에게로 물려내려졌다. == 분파 == * 안정공파(安靖公派): [[이암#s-2|이암]](李嵒)의 2남 이숭(李崇)을 파조로 한다. * 둔재공파(鈍齋公派): [[이원(조선)|이원]](李原)의 장남 이대(李臺)를 파조로 한다. * 호군공파(護軍公派): 이원(李原)의 2남 이곡(李谷)을 파조로 한다. * 좌윤공파(左尹公派): 이원(李原)의 3남 이질(李垤)을 파조로 한다. * 동추공파(同樞公派): 이원(李原)의 4남 이비(李埤)를 파조로 한다. * 병사공파(兵使公派): 이원(李原)의 5남 이장(李塲)을 파조로 한다. * 참판공파(參判公派): 이원(李原)의 6남 이증(李增)을 파조로 한다. * '''철성 이씨''': 20세기 중반에 간행된 31장 분량의 [[http://gok.kr/?jokbo_id=33dccd14-fad5-4aff-b715-9ff5d0e92dc3|철성 이씨 가례파보(鐵城李氏嘉禮派譜)]]에는 [[http://www.yesjokbo.org/ebook/303/1/index.asp?jon_no=303&gun=1&page=701&jasin_code=20181212115710584#/701|이증의 곤손(昆孫) 이륵(李玏)]]과 그 후손들이 기록되어 있다. 한편 2000년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고성 이씨는 26,286가구 84,383명, 철성 이씨는 1,513가구 4,871명으로, 인구 비율은 약 17:1로 나타났다.[* 대종회에서는 고성 이씨에서 분파된 철성 이씨는 따로 존재하지 않고 고성 이씨가 옛날에 철성 이씨였다고 주장.] * 사암공파(思菴公派): 이원(李原)의 7남 이지(李墀)를 파조로 한다. * 도촌공파(桃村公派): 이암의 동생 이교(李嶠)를 파조로 한다.[* 계보 불명인 도촌공파 후손도 적지 않다. 도촌공파의 밑에 지파(支派)가 9파나 있다. 그리고 동명이인이 많아서 족보에서 특정인을 찾기 힘듦.] * 은암공파(隱菴公派): 이엄충의 5세손 이백(李伯)을 파조로 한다. == 항렬자 == 대동항렬자가 없고 각 파마다 따로 항렬자를 사용하며, 대략 27세 정도까지는 항렬자를 쓰지 않거나 다른 파의 항렬자를 쓰는 일이 잦았다. 그나마 28세부터 32세까지는 항렬자를 쓴 경우가 많지만, 약 33세부터는 거의 대부분이 항렬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항렬자의 위치(이름의 앞부분인지 뒷부분인지)가 파마다 다르다는 사실이 이를 보여준다. 2001년 간행된 『고성 이씨 세보』 43~44쪽에 항렬자가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이 책에는 둔재공파를 제외하면 항렬자의 위치가 거꾸로 뒤집혀 있다. 예컨대 은암공파 31세의 실제 항렬자는 '◯영(永)'인데, 세보에는 '영(永)◯'이라고 잘못 나와 있다. === 안정공파, 병사공파, 사암공파 === * 『고성 이씨 사암공파보』 (1999) 114쪽에 실려 있다. * 『고성 이씨 세보』에 따르면 안정공파와 병사공파의 항렬자는 사암공파와 일치하므로, 하나의 문단으로 묶었다. || 세 || 24 || 25 || 26 || 27 || 28 || || 항렬자 || ''불명'' || ◯수(壽) || 선(善)◯ || ◯연(淵) || 종(種)◯ || || 세 || 29 || 30 || 31 || 32 || 33 || || 항렬자 || ◯렬(烈) || 기(基)◯ || ◯흠(欽) || 영(永)◯ || ◯식(植) || || 세 || 34 || 35 || 36 || 37 || 38 || || 항렬자 || 병(炳)◯ || ◯규(圭) || 진(鎭)◯ || ◯준(準) || 동(東)◯ || || 세 || 39 || 40 || 41 || 42 || 43 || || 항렬자 || ◯찬(燦) || 재(在)◯ || ◯용(鏞) || 낙(洛)◯ || ◯영(榮) || || 세 || 44 || 45 || 46 || 47 || 48 || || 항렬자 || 현(炫)◯ || ◯균(均) || 철(鐵)◯ || ◯우(雨) || 정(楨)◯ || === 둔재공파 === || 세 || 24 || 25 || 26 || 27 || 28 || || 항렬자 ||<-5> ''불명'' || || 세 || 29 || 30 || 31 || 32 || 33 || || 항렬자 ||<-2> ''불명'' || 종(鍾)◯[br]석(錫)◯ || ◯수(洙)[br]◯호(浩) || 근(根)◯[br]상(相)◯[br]동(棟)◯ || || 세 || 34 || 35 || 36 || 37 || 38 || || 항렬자 || ◯현(炫)[br]◯섭(燮) || 기(基)◯[br]증(增)◯ || ◯호(鎬)[br]◯현(鉉) || 순(淳)◯[br]홍(洪)◯ || ◯모(模)[br]◯권(權)[br]◯병(柄) || || 세 || 39 || 40 || 41 || 42 || 43 || || 항렬자 || 환(煥)◯[br]병(炳)◯ || ◯배(培)[br]◯재(在) || 녹(錄)◯[br]용(鎔)◯[br]진(鎭) || ◯택(澤)[br]◯원(源) || 식(植)◯[br]영(榮)◯[br]환(桓)◯ || || 세 || 44 || 45 || 46 || 47 || 48 || || 항렬자 || ◯훈(勳)[br]◯희(熙) || 곤(坤)◯[br]준(埈)◯ ||<-3> ''미정'' || === 호군공파 === || 세 || 24 || 25 || 26 || 27 || 28 || || 항렬자 || 혁(爀)◯[br]시(時)◯ || 재(栽)◯[br]언(彦)◯ || 현(鉉)◯ || ◯원(原) || 동(東)◯ || || 세 || 29 || 30 || 31 || 32 || 33 || || 항렬자 || ◯렬(烈) || 기(基)◯ || ◯호(鎬)[br]◯흠(欽) || 영(永)◯[br]영(泳)◯ || ◯근(根)[br]◯환(桓) || || 세 || 34 || 35 || 36 || 37 || 38 || || 항렬자 || 경(炅)◯[br]형(炯)◯ || ◯규(圭)[br]◯균(均) || 종(鍾)◯[br]강(鋼)◯ || ◯구(求)[br]◯수(洙) || 주(柱)◯[br]영(榮)◯ || || 세 || 39 || 40 || 41 || 42 || 43 || || 항렬자 || ◯휴(烋)[br]◯희(熙) || 경(坰)◯[br]재(在)◯ ||<-3> ''미정'' || === 좌윤공파 === || 세 || 24 || 25 || 26 || 27 || 28 || || 항렬자 ||<-5> ''불명'' || || 세 || 29 || 30 || 31 || 32 || 33 || || 항렬자 ||<-2> ''불명'' || 병(柄)◯[br]형(衡)◯ || ◯재(在)[br]◯중(重) || 호(鎬)◯[br]진(鎭)◯ || || 세 || 34 || 35 || 36 || 37 || 38 || || 항렬자 || ◯해(海)[br]◯하(河) || 상(相)◯[br]영(榮)◯ || ◯돈(燉)[br]◯환(煥) || 은(垠)◯[br]규(奎)◯ || ◯수(銖)[br]◯흠(欽) || || 세 || 39 || 40 || 41 || 42 || 43 || || 항렬자 || 한(漢)◯[br]영(泳)◯ || ◯병(秉)[br]◯식(植) ||<-3> ''미정'' || === 동추공파 === || 세 || 24 || 25 || 26 || 27 || 28 || || 항렬자 ||<-5> ''불명'' || || 세 || 29 || 30 || 31 || 32 || 33 || || 항렬자 ||<-2> ''불명'' || ◯식(植) || 희(熙)◯[br]병(炳)◯ || ◯기(基)[br]◯재(在)[br]◯곤(坤) || || 세 || 34 || 35 || 36 || 37 || 38 || || 항렬자 || 진(鎭)◯[br]은(銀)◯[br]용(鏞)◯ || ◯영(永)[br]◯구(求)[br]◯홍(洪) || 근(根)◯[br]영(榮)◯[br]정(楨)◯ || ◯환(煥)[br]◯형(炯)[br]◯섭(燮) || 규(圭)◯[br]원(垣)◯[br]준(埈)◯ || || 세 || 39 || 40 || 41 || 42 || 43 || || 항렬자 || ◯호(鎬)[br]◯탁(鐸)[br]◯용(鎔) || 태(泰)◯[br]원(源)◯[br]문(汶)◯ || ◯표(杓)[br]◯왕(枉)[br]◯수(秀) || 용(容)◯[br]연(然)◯[br]현(炫)◯ || ◯균(均)[br]◯배(培)[br]◯교(敎) || || 세 || 44 || 45 || 46 || 47 || 48 || || 항렬자 || 선(銑)◯[br]현(鉉)◯[br]종(鍾)◯ || ◯수(洙)[br]◯한(漢)[br]◯철(澈) ||<-3> ''미정'' || === 참판공파 === * 32세 격(垎), 37세 완(埦), 38세 결(釨)은 [[한자/인명용 한자표|대법원 지정 인명용 한자]]가 아니어서 인명에 사용할 수 없으므로 취소선을 쳤다. || 세 || 24 || 25 || 26 || 27 || 28 || || 항렬자 || 주(周)◯[br]◯묵(默) || ◯선(善) || 정(庭)◯ || ◯기(基) || 종(鍾)◯ || || 세 || 29 || 30 || 31 || 32 || 33 || || 항렬자 || 승(承)◯ || ◯희(羲)[br]동(東)◯ || 형(衡)◯[br]병(炳)◯[br]열(烈)◯[br]홍(烘)◯[br]영(煐)◯[br]광(炚)◯ || ◯재(載)[br]◯중(重)[br]◯규(圭)[br]◯배(培)[br]◯균(均)[br]--◯격(垎)-- || 호(鎬)◯[br]진(鎭)◯[br]석(錫)◯[br]용(鎔)◯[br]박(鉑)◯[br]주(鉒)◯ || || 세 || 34 || 35 || 36 || 37 || 38 || || 항렬자 || ◯해(海)[br]◯하(河)[br]◯옥(沃)[br]◯유(洧)[br]◯홍(洪)[br]◯숙(淑) || 상(相)◯[br]영(榮)◯[br]계(桂)◯[br]정(楨)◯[br]백(栢)◯[br]창(椙)◯ || ◯현(炫)[br]◯환(煥)[br]◯황(煌)[br]◯희(熙)[br]◯정(炡)[br]◯훈(熏) || 은(垠)◯[br]준(埈)◯[br]지(址)◯[br]--완(埦)◯--[br]보(堡)◯[br]제(堤)◯ || ◯수(銖)[br]◯흠(欽)[br]◯공(釭)[br]◯륜(錀)[br]--◯결(釨)--[br]◯련(鍊) || || 세 || 39 || 40 || 41 || 42 || 43 || || 항렬자 || 순(淳)◯[br]태(泰)◯[br]명(洺)◯[br]호(浩)◯[br]연(演)◯[br]유(洧)◯ || ◯모(模)[br]◯식(植)[br]◯두(杜)[br]◯군(桾)[br]◯표(標)[br]◯강(杠) ||<-3> ''미정'' || === 도촌공파 === || 세 || 24 || 25 || 26 || 27 || 28 || || 항렬자 || 선(宣)◯[br]◯춘(春) || ◯증(曾)[br]득(得)◯ || 하(夏)◯[br]◯도(道) || ◯인(寅)[br]행(行)◯ || 종(種)◯ || || 세 || 29 || 30 || 31 || 32 || 33 || || 항렬자 || ◯렬(烈) || 기(基)◯ || ◯호(鎬)[br]◯흠(欽) || 한(漢)◯[br]순(淳)◯ || ◯정(楨)[br]◯모(模)[br]◯식(植) || || 세 || 34 || 35 || 36 || 37 || 38 || || 항렬자 || 현(炫)◯[br]희(熙)◯[br]병(炳)◯ || ◯곤(坤)[br]◯재(在)[br]◯규(圭) || 은(銀)◯[br]용(鎔)◯[br]진(鎭)◯ || ◯구(求)[br]◯영(永)[br]◯홍(洪) || 정(楨)◯[br]근(根)◯[br]영(榮)◯ || || 세 || 39 || 40 || 41 || 42 || 43 || || 항렬자 || ◯환(煥)[br]◯형(炯)[br]◯섭(燮) || 주(周)◯[br]원(垣)◯[br]준(埈)◯ || ◯석(錫)[br]◯탁(鐸)[br]◯용(鎔) || 태(泰)◯[br]원(源)◯[br]문(汶)◯ || ◯수(秀)[br]◯주(柱)[br]◯표(杓) || || 세 || 44 || 45 || 46 || 47 || 48 || || 항렬자 || 용(容)◯[br]연(然)◯[br]희(熹)◯ || ◯교(敎)[br]◯배(培)[br]◯균(均) ||<-4> ''미정'' || === 은암공파 === * 2020년 3월 9일, 파종회에서 음양오행과 작명법의 길흉을 따져 36세부터 '''60세'''[* 인터넷족보를 기준으로 은암공파 34세 이상은 없고, 33세의 생년이 분포하는 범위가 1989년부터 2019년까지이다. 따라서 60세의 항렬자를 쓰는 인물은 서기 29세기가 되어야 나타날 것이다. 다만 은암공파에서 항렬자를 사용한 것은 32세까지이고, 33세는 아직까지 항렬자를 사용한 인물이 존재하지 않는다.]까지의 항렬자를 새로 제정하고 [[http://www.gosunglee.com/g5/bbs/board.php?bo_table=311_6&wr_id=168|게시판]]에 공개하였다. || 세 || 24 || 25 || 26 || 27 || 28 || || 항렬자 || ◯록(祿) || 현(賢)◯ || 운(雲)◯ || ◯모(模) || 태(泰)◯ || || 세 || 29 || 30 || 31 || 32 || 33 || || 항렬자 || ◯기(基) || 종(鍾)◯ || ◯영(永) || 상(相)◯ || ◯휴(烋) || || 세 || 34 || 35 || 36 || 37 || 38 || || 항렬자 || 재(在)◯ || ◯현(鉉) || 하(河)◯ || ◯율(栗) || 형(炯)◯ || || 세 || 39 || 40 || 41 || 42 || 43 || || 항렬자 || ◯규(圭) || 은(銀)◯ || ◯수(洙) || 서(棲)◯ || ◯엽(燁) || || 세 || 44 || 45 || 46 || 47 || 48 || || 항렬자 || 준(埈)◯ || ◯호(鎬) || 홍(泓)◯ || ◯환(桓) || 경(炅)◯ || == 왕실과의 관계 == === 고려왕실 === * [[근비 이씨]]: 도촌공파 11세. 이림(李琳)의 셋째 딸. 음력 12월 12일생. === 조선왕실 === * 혜순궁주(惠順宮主) 이씨(李氏): 도촌공파 13세. 이림의 손자인 이운로(李云老, 1383~1417)의 딸. [[태종(조선)|태종]]이 왕위에서 물러난 뒤 들인 후궁으로, 족보에 보이지 않는다. * 이구(李嶇): 사암공파 14세. 이지(李墀)의 4남인 이맥(李陌)의 차남. [[성종(조선)|성종]]의 서자 [[운천군|운천군 이인]](雲川君 李𪬦, 1490~1524)의 장녀 이계영(李桂英, 1505~?)과 혼인하여 1남 6녀를 두었다. == 인물 == ##@>나무위키에 '''별도로 문서가 존재하지 않는''' 인물은 원칙적으로 이 문서에 기재하지 않습니다. 또한 인물의 목록은 '''신분이나 직위에 관계없이''' 동일 항렬별로 묶은 다음 생년순 또는 본명의 가나다순을 따라 나열하시기 바라며, 다만 근대 이전의 인물은 하나의 문단이나 그룹으로 묶을 수 있습니다. '''특정 인물 또는 설명을 강조 표기하지 않습니다'''. || 이름 || 생몰년도 || 파 || 비고 || ||<-4> '''근대 이전''' || || [[이암(고려)|이암]](李嵒) || 1297 ~ 1364 || || 9세, 고려의 문신 || || [[이림(고려)|이림]](李琳) || ? ~ 1391 || 도촌공파 || 10세, 고려의 문신 || || [[이근(조선)|이근]](李懃) || ? ~ 1398 || 도촌공파 || 11세, 조선의 문신 || || [[이원(조선)|이원]](李原) || 1368 ~ 1430 || || 11세, 조선의 문신 || || [[이맥]](李陌) || 1455 ~ 1528 || || 13세, 조선의 문신 || || [[이응태 묘 출토 편지|이응태]](李應台) || 1566 ~ 1586 || 참판공파 || 17세 || || [[이괄]](李适) || 1587 ~ 1624 || 사암공파 || 17세, 조선의 무신, [[이괄의 난]] || ||<-4> '''28세''' || || [[이종주(1935)|이종주]](李鍾宙) || 1938 ~ || 참판공파 || 정치인 || || [[이수정(1940)|이수정]](李秀正) || 1940 ~ || 참판공파 || 고위공무원 || || [[이종명(1959)|이종명]](李鍾明) || 1959 ~ || 참판공파 || 정치인 || ||<-4> '''29세''' || || [[이묵]](李默) || 1962 ~ || 참판공파 || 공무원 || ||<-4> '''30세''' || || [[이상룡]](李相龍) || 1858 ~ 1932 || 참판공파 || 독립운동가 || || [[이기백(군인)|이기백]](李基百) || 1931 ~ 2019 || 사암공파 || 군인 || || [[이진희(1932)|이진희]](李振羲) || 1932 ~ || 참판공파 || 정치인 || || [[이영창]](李永昶) || 1932 ~ 2008 || 참판공파 || 정치인 || || [[이기준]](李基俊) || 1938 ~ || 도촌공파 || 교육인, 고위공무원 || || [[이상희(1938)|이상희]](李祥羲) || 1938 ~ 2023 || 참판공파 || 정치인, 고위공무원 || || [[이동흡]](李東洽) || 1951 ~ || 참판공파 || 법조인 || || [[이효수]](李孝秀) || 1951 ~ || 참판공파 || 경제학자 || || [[이군현]](李君賢) || 1952 ~ || 도촌공파 || 정치인 || || [[이해동]](李海東) || 1954 ~ || 참판공파 || 정치인 || || [[이현동(공무원)|이현동]](李炫東) || 1956 ~ || 참판공파 || 고위공무원 || || [[이훈기]](李勳基) || 1965 ~ || 호군공파 || 언론인, 정치인 || ||<-4> '''31세''' || || [[이진호(1925)|이진호]](李進鎬) || 1925 ~ 2003 || 도촌공파 || 정치인 || || [[이호영(1958)|이호영]](李浩永) || 1956 ~ || 은암공파 || 고위공무원 || ||<-4> '''32세''' || || [[이영진(정치인)|이영진]](李寧鎭) || 1908 ~ 1980 || 사암공파 || 정치인 || || [[이한동]](李漢東) || 1934 ~ 2021 || 도촌공파 || 정치인, 고위공무원 || || [[이인용(1957)|이인용]](李仁用) || 1957 ~ || 참판공파 || 아나운서, 경제인 || ||<-4> '''33세''' || || [[이서진]](李瑞鎭) || 1971 ~ || 참판공파 || 배우 || || [[이필모]](李必模) || 1974 ~ || 도촌공파 || 배우 || || [[XEN|이진우]](李鎭佑) || 1998 ~ || 참판공파 || 아이돌 || ||<-4> '''34세''' || || [[이석제]](李錫濟) || 1925 ~ 2011 || 사암공파 || 군인, 정치인, 고위공무원 || == 주요 집성촌 == * [[경기도]] [[의정부시]] [[신곡동]] * 경기도 [[파주시]] [[파주읍]] 봉서리 *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 하저리(下楮里) *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증거리(增巨里) *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신충리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 운봉리 * [[경상북도]] [[안동시]] [[정상동(안동)|정상동]] * 경상북도 [[성주군]] 금수면 광산리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유등리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청도)|금전면]] 김전리·동곡리·방지리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하평리 * [[경상남도]] [[사천시]] 사남면 사촌리 * 경상남도 [[진주시]] [[이반성면]] 가산리 * 경상남도 [[고성군(경상남도)|고성군]] 동해면(東海面) 외곡리(外谷里) * 경상남도 [[의령군]] [[정곡면]] 오방리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 위미리(爲美里)[* 1624년 [[이괄의 난]]으로 인해 이괄의 맏형인 진사(進士) 이적(李適)이 연좌제로 화를 입게 되자, 그의 둘째 아들 이만세(李萬世)가 제주도로 피해 들어갔다.] * [[평안북도]] [[삭주군]] 외남면(外南面) 송남리(松南里) [[분류:고성 이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