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상남도 고성군 농어촌버스)] [목차] == 노선정보 == === 657번 === ||<-6> [[파일:고성군(경상남도) CI_White.svg|height=20]] {{{#ffffff 고성군 농어촌버스 657번 }}} || ||<-2> 기점 ||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송학리(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2> 종점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두문리(금곡종점) || ||<|2> 기점[br]행 || 첫차 || 07:55 ||<|2> 종점[br]행 || 첫차 || 06:50 || || 막차 || 19:30 || 막차 || 19:00 || ||<-3><:>운행횟수||<-3><:> 6회[*일,공휴일 5회] || ||<-3><:>운수사명||<-3><:> [[고성버스]] || ||<-2> 노선 ||<-4>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고성읍-배둔시외버스터미널-낙동(구만면)-당산-새들녘-'''나선[* 10:25분발 경유(1회운행)]'''-가천-양지-본양-낙안(영오면)-'''하명(개천면)[* 첫차, 막차는 미경유한다.]'''-옥동-금곡종점[* 고성으로 가는 노선중에 마암면을 경유하는 노선도 있다] || == 개요 == ''' 657번 6회[* 6회라고는 하지만 경유지가 천차만별이라서 별로 의미가 없다.] ''' [[고성버스]]에서 운행중인 구만면,영오면방향 농어촌버스노선. == 특징 == * 고성군 권역번호에는 600번대가 구만면이라고 되어있지만 그렇지 않은 것 같은 노선이다. --767번이 600번대 번호를 적용받아야 되는거 아닌가?[* 만약 767번이 600번대 번호를 부여받았더라면 666번 아니면 667번이 되었을 것이다.]-- * 각 시간마다 경유하거나 오는방식이 다른노선에 비해 매우 많으므로 주의해서 이용할 것. * 어이없이 신북을 경유하는 시간대도 있다. --차라리 777(신북)번 회차 1번 늘리고 신북 미경유로......-- * 특이하게 고성군 농어촌버스 ××번대 중에서 유일하게 노선을 1개만 가지고 있는 번대이기도 하다. * 06:50분발 차량은 고성군의 모든노선을 통틀어 왕복운행시간이 170~180분으로 제일 길다. === 시간표 === ||<-4> {{{#ffffff 고성군 농어촌버스 657번 시간표}}} || ||<-2> 고성발 ||<-2> 금곡발 || ||<-4> 경유지 || || 1 || '''06:50''' || 1 || '''07:55''' || ||<-4> '''터미널-배둔(07:10)-구만-개천-금곡(회귀점)-(신흥)-영산-구만-[767번]배둔(09:20)-터미널''' || || 2 || 10:25 || 2 || 11:45 || ||<-4> 터미널-배둔(10:50)-구만-(나선)-개천-(옥천사입구)-(신흥)-[553번]금곡(회귀점)-(영부)-대가-터미널 || || 3 || 13:35 || 3 || 14:50 || ||<-4> 터미널-배둔(14:00)-구만-개천(옥천사입구)-[756번]금곡(회귀점)-개천-(봉치)-(월곡)-(성전)-마암-배둔(14:50)-터미널 || || 4 || 15:50 || 4 || 17:15 || ||<-4> 터미널-배둔(16:15)-구만-개천-[557번]금곡(회귀점)-개천-구만-배둔(17:50)-터미널 || || 5 || 16:50 || 5 || 18:30 || ||<-4> 터미널-배둔(17:10)-산북일주-당항포-배둔(17:50)-구만-개천-금곡(회귀점)-개천-(옥천사입구)-마암-배둔(19:00)-터미널 || || 6 || 19:00 || 6 || 19:30 || ||<-4> 터미널-배둔(19:20)-구만-개천-금곡(회귀점)-터미널 || ||일러두기 ■ '''굵은글시'''는 일요일,공휴일 미운행 ■ '''(읍×)'''는 고성읍내 미경유 ■ 시간표의 '''[□□□번]'''은 고성으로 회귀시에는 □□□번으로 변경하여 운행|| === 연계 철도역 === [[분류:경상남도 고성군 농어촌버스]] 없음[* 중부내륙선이 개통하게되면 [[고성역(경상남도)|고성역]]이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고성터미널]] 인근에 생길 예정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금곡종점 경유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