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1 [[대한민국 정부|[[파일:정부상징(1949-2016).svg|width=40]]]] [[대한민국|{{{#043762,#9dd0fb '''대한민국'''}}}]] [[대한민국 교육부|{{{#043762,#9dd0fb '''문교부'''}}}]] [[차관|{{{#043762,#9dd0fb '''차관'''}}}]]}}} || ||<-5> [[이승만 정부|{{{#fff '''이승만 정부'''}}}]] || || 제3대[br][[최규남]] || → || '''제4대[br]고병간''' || → || 제5대[br]허증수 || || {{{#fff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역대 숭실대학교 총장)] [include(틀:역대 연세대학교 총장)] [include(틀:역대 경북대학교 총장)]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764, #003764 20%, #003764 80%, #003764)" '''[[교육부차관|{{{#fff 대한민국 제4대 문교부 차관}}}]][br]{{{#fff {{{+1 고병간}}}[br]高秉幹 | Ko, Byung Ga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고병간.jpg|width=100%]]}}} || || '''창씨명''' ||다카헤이 칸코(高平幹康) || || '''이명''' ||고병관 || || '''호''' ||영서(瀛西) || || '''본관''' ||[[제주 고씨]] || ||<|2> '''출생''' ||[[1899년]] [[12월 24일]] || ||[[평안북도]] [[의주군]] 월화면 마룡동[*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30109|독립유공자 공적조서]]에는 본적이 평안북도 의주군 '췌면 마체동'(膵面 麻體洞)이라고 되어 있는데, [[http://www.cybernk.net/|국가지식포털 북한지역정보넷]]을 보면 의주군에는 췌면도, 마체동도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월화면(月華面)이 있어 월화면의 '월화'(月華)를 췌(膵)로 잘못 읽은 것으로 추정해볼 수 있겠다. 또한 월화면에는 마체동이 없고 다만 마(麻)로 시작하는 동으로 마룡동(麻龍洞)과 마흥동(麻興洞)이 존재한다. 이 중 마룡동의 룡(龍)이 마체동의 체(體)와 유사하다는 점에서 마룡동으로 비정해보았다.][br](현 [[평안북도]] [[피현군]] 용흥리) || ||<|2> '''사망''' ||[[1966년]] [[12월 11일]] (향년 67세)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서울)|신촌동]] [[세브란스병원]] || ||<|2> '''재임기간''' ||제4대 [[교육부차관|문교부 차관]] || ||[[1951년]] [[9월 21일]] ~ [[1952년]] [[11월 13일]] || || '''학력''' ||의주 신영소학교 {{{-2 (졸업)}}}[br]선천 신성중학교 {{{-2 (졸업)}}}[br][[연세대학교 의과대학|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2 (졸업)}}}[br][[교토대학|교토제국대학]] {{{-2 ([[의학]] / [[박사]])}}} || || '''경력''' ||[[세브란스병원]] 산부인과교실 강사[br]함흥제혜병원 외과 과장[br][[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외과 교수[br][[경북대학교 의과대학|대구의과대학]] 학장[br][[대한적십자사]] 경상북도지사 지사장[br][[경북대학교]] 총장[br]대한외과학회 회장[br]메노나이트자선재단 이사장[br]대한결핵협회 회장[br][[연세대학교]] 총장[br]세브란스병원 원장[br][[숭실대학교|숭실대학]] 학장 || || '''가족''' ||배우자 공은일[* 孔銀一.], 슬하 1남 3녀 || || '''묘소'''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문봉동]] || ||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의사이자 교육인, [[독립유공자]]로, [[경북대학교]]와 [[연세대학교]], [[숭실대학교]]의 총장과 [[교육부차관|문교부 차관]] 등 의료분야와 교육분야의 여러 직책을 역임하였다. 2018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1899년]] 12월 24일 [[평안북도]] [[의주군]] 월화면 마룡동(현 피현군 용흥리)에서 아버지 고승환과 어머니 [[이씨]]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이후 [[선천군]] 읍내면 천북동(현 선천군 선천읍)으로 이주해 본적을 두었다. [[1915년]] 의주군 신영소학교를 졸업하고 [[선천군]] 신성중학교에 입학했다. 신성중학교 재학 중이던 [[1919년]], [[3.1 운동]]에 참가하였다가 체포되어 소위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1년 6개월을 선고받았고, 공소·상고까지 했으나 1919년 7월 12일 고등법원 형사부에서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1855&evntId=0034980539&evntdowngbn=Y&indpnId=0000012304&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상고가 기각되어]] 결국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에는 신성중학교에 복학하여 졸업하였다. 이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를 졸업하고 함흥제혜병원의 외과 과장으로 근무하다가 [[교토대학|교토제국대학]]으로 유학하여 의학박사학위를 취득하고 귀국해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외과 교수로 부임하였다. 광복 후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학장과 [[대한적십자사]] 경상북도지사장을 역임하다가 [[1951년]] [[교육부차관|문교부차관]]으로 임명되었으며, [[1952년]] [[경북대학교]] 총장 겸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학장으로 취임하였다. [[연세대학교]]와 [[계명대학교]]의 재단이사를 역임하였고, [[연세대학교]]와 [[숭실대학교]]의 총장을 역임했다. 그 뒤 [[1966년]] 12월 9일 [[중앙청]]에서 개최된 전국대학 총·학장 회의에 참석하던 중 갑자기 졸도해 [[세브란스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았으나, 결국 12월 11일 [[뇌일혈]]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66121200209203030&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6-12-12&officeId=00020&pageNo=3&printNo=13893&publishType=00020|별세했다]]. == 여담 == * 고 박사는 특히 [[1945년]] 전교생이 50명이었던 대구의학전문학교의 교장으로 부임해 정식 단과대학인 대구의과대학으로 승격시키고 [[1947년]] 도립대학으로, [[1952년]] [[경북대학교]] 개교와 더불어 [[경북대학교 의과대학]]으로 이관 개편되어 현재는 대표적인 지방 의과대학으로 발전시킨 원동력이 된 인물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평안북도]] 출신답게 짙은 [[서북 방언|평안도 사투리]]를 썼다. 고 박사 외에도 [[문교부장관]]을 역임한 '''살콰주''' [[홍종철]] 장군도 같은 평안북도 출신으로 짙은 평안도 사투리를 썼다. [[대한민국 육군본부|육군본부]] 헌병감을 역임한 [[김진기]] 예) 준장도 평안북도 출신답게 평안도 사투리가 심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의사]][[분류:문교부 차관]][[분류:의학·약학 교수]][[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 신자]][[분류:제주 고씨]][[분류:의주군 출신 인물]][[분류:1899년 출생]][[분류:1966년 사망]][[분류:연세대학교 재직]][[분류:경북대학교 재직]][[분류:연세대학교 총장]][[분류:경북대학교 총장]][[분류:연세대학교 출신/전신 학교]][[분류:숭실대학교 총장]][[분류:뇌출혈로 죽은 인물]][[분류:건국훈장 애족장]][[분류:실향민]][[분류:이승만 정부/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