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일본 덴노)]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0%, #bd0029 20%, #bd0029 80%, #AF001F); color: #dca600" '''남조 제2대 천황'''}}}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0%, #bd0029 20%, #bd0029 80%, #AF001F); color: #dca600" '''일본 제97대 천황[br]{{{+1 고무라카미 덴노}}}[br]後村上天皇'''}}}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후촌상천황.jpg|width=100%]]}}} || ||<|2> '''출생''' ||[[1328년]] [[10월 4일]] || ||[[야마시로|야마시로국]] [[교토부|교토]] 교토 어소[br](現 [[교토부]] [[교토시]]) || ||<|2> '''사망''' ||[[1368년]] [[3월 29일]] (향년 40세) || ||[[남북조시대(일본)|남조]] [[오사카부|셋츠국]] [[스미요시구|스미요시]] 행궁[br](現 [[오사카부]] [[오사카시]] [[스미요시구]]) || || '''능묘''' ||히노오릉([ruby(檜尾陵, ruby=회미릉)]) || ||<|4> '''재위기간''' ||'''{{{#dca600 제97대 천황}}}''' || ||[[1339년]] [[9월 18일]] ~ [[1368년]] [[3월 29일]] || ||'''{{{#dca600 남조 제2대 천황}}}''' || ||[[1339년]] [[9월 18일]] ~ [[1368년]] [[3월 29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황통''' ||[[가메야마 덴노|'''다이카구지통([ruby(大覺寺統, ruby=대각사통)])''']] || || '''휘''' ||노리요시([ruby(義良, ruby=의량)]) → 노리나가([ruby(憲良, ruby=헌량)]) || || '''부모''' ||부황 [[고다이고 덴노]][br]모후 신타케이몬인 || || '''형제자매''' ||17남 15녀 중 3남 || || '''배우자''' ||키타바타케씨, 후지와라 쇼시 || || '''자녀''' ||7남 2녀 || || '''종교''' ||[[불교]] || || '''별호''' ||요시노미카도([ruby(吉野帝, ruby=길야제)])[br]아노도노([ruby(賀名生殿, ruby=하명생전)])[br]스미요시도노([ruby(住吉殿, ruby=주길전)]) || || '''원호''' ||고무라카미인([ruby(後村上院, ruby=후촌상원)]) || || '''시호''' ||'''고무라카미 덴노([ruby(後村上天皇, ruby=후촌상천황)])''' || || '''연호''' ||엔겐([ruby(延元, ruby=연원)], [[1339년]] ~ [[1340년]])[br]고코쿠([ruby(興國, ruby=흥국)], [[1340년]] ~ [[1346년]])[br]쇼헤이([ruby(正平, ruby=정평)], [[1346년]] ~ [[1368년]])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제97대 [[천황]]이자, [[남북조시대(일본)|난보쿠초 시대]] 남조의 제2대 천황. '''다이카쿠지 황통'''인 [[고다이고 덴노]]의 아들로, 아노 랜시의 소생이었다. == 생애 == 1333년, 고다이고 덴노가 개혁 정치('''[[겐무 신정]]''')를 실시하게 되자 [[키타바타케 아키이에]]와 함께 무츠국으로 이동하여 동북 지역의 경영을 맡았다. 하지만 약 2년 후 쇼군 [[아시카가 다카우지]]의 반란으로 [[겐무 신정]]이 무너지자, 동북 지역의 보호에 힘썼지만 전황이 악화되면서 고다이고 덴노의 행재소가 있었던 요시노로 도피했다. 1338년, 동생 무네요시 친왕, 무네나가 친왕, 키타바타케 치카후사, 유키 무네히로와 함께 이세국 오미나토로 이동했다가 다시 무츠국으로 향했지만 폭풍우로 인하여 요시노로 다시 돌아왔다. 이듬해(1339) 고다이고 덴노의 양위를 받고 남조의 제2대 천황으로 즉위했다. 1348년, 아시카가 다카우지의 군대에 의해 요시노의 행궁이 불에 타자 야마토국 아노로 거처를 옮겼다. 1350년에서 1353년 사이에 북조의 아시카가 다카우지와 그의 동생 아시카가 다다요시 사이에 내분이 일어났는데('''간노의 요란''') 이는 곧 남조까지 포함하는 전국적인 항쟁으로 번졌다. 아시카가 다카우지는 아시카가 다다요시를 치기 위하여 1351년 남조와 일시적으로 강화를 맺었다. 고무라카미 덴노 측에서는 북조가 소유한 3종의 신기를 다시 되돌려주고, 정권을 반납하는 것을 조건으로 걸었다. 이로 인하여 북조의 연호인 '간노'가 폐지되고, 북조 제3대 덴노였던 [[스코 덴노]]와 나오히토 황태자가 폐위되었다. 이 조건으로 인하여 남북조도 일시적으로 통일되었다. 이듬해(1352) 2월 전세를 가다듬어 교토로 진군한 다음, 북조의 [[고곤 덴노|고곤 상황]]과 [[고묘 덴노|고묘 상황]], [[스코 덴노|스코 상황]]과 나오히토 황태자를 납치하여 아노로 끌고 갔다. 그 와중에 아시카가 다카우지의 반격으로 다시 아노로 후퇴했다. 북조는 교토를 탈환한 다음 연호를 다시 부활시켰지만, 남북조는 통일 4개월 만에 다시 분열되었다. 이후 고무라카미 덴노는 요시노와 곤고지 등의 각지를 전전하다가 1368년에 붕어했다. [[분류:천황]][[분류:1328년 출생]][[분류:1368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