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3야전군사령관)] ---- ||<:>{{{#FFFFFF '''역임한 직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국군기무사령관, 명칭=국군보안사령관)] ---- [include(틀:역대 수도방위사령관)] ---- [include(틀:제9보병사단장)]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0000, #ff0000 20%, #ff0000 80%, #ff0000)" '''[[제3야전군사령관|{{{#FFF 대한민국 제10대 제3야전군사령관}}}]][br]{{{#fff {{{+1 고명승}}}[br]高明昇}}}'''}}}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ttachment/국군기무사령부/사령관/고명승.jpg|width=100%]]}}} || || {{{#fff '''본관'''}}} ||[[제주 고씨]][* 장흥백파-의열공파-유계공파 24세 석(錫) 항렬. 족보명은 고기석(高祺錫).] || ||<|2> '''출생''' ||[[1935년]] [[7월 18일]] ([age(1935-07-18)]세) || ||[[전라북도]] [[부안군]] 보안면 상림리 상석교마을[* [[http://www.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915817|#]]] || ||<-2> '''군사 경력''' || || '''임관''' ||[[육군사관학교]] {{{-2 (15기)}}} || ||<|2> '''복무''' ||<#f5f5f5,#191919>[[대한민국 육군]] || ||<(> 1959년 ~ 1990년 || || '''최종 계급''' ||[[대장(계급)|대장]] {{{-2 (대한민국 육군)}}} || || '''최종 보직''' ||[[제3야전군사령관]] || || '''주요 보직''' ||[[대통령경호실]] 작전담당관 {{{-2 (대령)}}}[br][[제9보병사단|제9보병사단장]] {{{-2 (소장)}}}[br][[국군보안사령관]] {{{-2 (중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군인]], [[정치인]]이다. [[임진왜란]] 때 의병장 [[고경명]]의 차남 고인후(高因厚)의 후손이다.[* 엄밀히 말하면 고경명 차남 고인후(高因厚)-고인후 3남 유계(柳溪) 고부즙(高傅楫)-고부즙의 적장손 고세형(高世亨)-고세형 3남 고응익(高應翼)의 후손.[[http://m.mtong.kr/article.php?aid=154087745016256050|#]]] == 생애 == 1935년 7월 18일 [[전라북도]] [[부안군]] 보안면 상림리 상석교마을에서 아버지 고재준(高在俊, 1903. 1. 18 ~ 1967. 6. 7)[* 이명 고재국(高在國).]과 어머니 [[전주 최씨]](1910. 6. 5 ~ 1994. 7. 8) 최만홍(崔萬洪)의 딸 사이의 5남 1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장세동]]과 마찬가지로, [[영남]] 출신들 위주의 [[신군부]]에서 [[호남]] 출신이었던 드문 케이스.[* 장세동은 어렸을 때 일찌감치 서울로 올라가 성장했기에 실질적으로는 고명승이 호남 출신 하나회 대표에 가깝다.] [[전주교육대학교|전주사범학교]]를 졸업하고, [[육군사관학교]]에 15기로 입학했는데 동기인 [[민병돈]], [[이진삼]], [[김상구]] 등과 [[하나회]]에 가입하였다. 1979년 [[12.12 군사반란]] 때 [[청와대]] [[대통령경호실]] 소속으로 반란에 직접 가담했다. 역시 하나회 멤버인 당시 경호실장 직무대리 [[정동호(1935)|정동호]] 준장과 함께 [[대통령경호처/지원부대|경호실 병력들]]을 이끌고 무단으로 출동하여 [[대한민국 육군본부]] [[군사경찰|헌병]] 경호대장 구정길 [[중령]][* 진압군 측 장성인 [[김진기]] 헌병감 직속 부하]예하의 헌병 병력을 강제로 제압하고 최규하 대통령 권한대행이 머물던 [[국무총리]][[공관]]을 접수했다. 이 공로에 힘입어 [[전두환]] 정권 때 15기의 선두주자로서 승승장구했으며 군사 정권에서 요직 중에 요직인 [[수도방위사령관|수도경비사령관]], [[국군기무사령부|국군보안사령부]] [[국군기무사령부/사령관|사령관]]을 모두 역임했다.[* [[수도방위사령관|수경사령관]]과 [[국군기무사령부/사령관|기무사령관]]은 군사 정권에서 실세 자리이기 때문에 두 자리를 모두 역임하는 건 진정한 실세라는 뜻이다.] 5공화국 내내 승승장구한 전두환계 군맥에 속했으나, 같은 전두환계이자 육사 동기 [[민병돈]] 특전사령관과 함께 1987년 [[6월 항쟁]] 때 전두환이 내린 군 유혈 진압 명령을 반대하기도 하였다. 대장 진급 후, 군사 정권의 요직인 [[제3야전군사령관]]에 임명됐다.[* 3군사령관은 야전군사령군 중 수도권을 방위하며 군사정권의 기반이 되는 핵심 요직이다.] 그 외에도 군사정권의 핵심 요직들에 직계 군맥들([[박희도]] 참모총장 유임, [[최세창]] 합참의장 임명, 고명승 3군사령관 임명, 최평욱 기무사령관 임명, [[김진영(군인)|김진영]] 수경사령관 임명)이 쭉 깔렸다. 대통령에서 쫓겨나고도 상왕으로 군림하려는 전두환의 태도에 노태우가 분노했을 것은 당연지사였고 노태우는 취임 후 첫 정기인사에서 박희도를 경질하는 것을 시작으로 천천히 이들을 제거하고 자신의 군맥(9.9 군맥)으로 채워넣는다. 전두환의 직계 고명승은 경질되지 않고 3군사령관으로서 2년 임기를 채웠지만 이후 영전하지 못했고 3군사령관을 끝으로 전역하였다.[* 사실 고명승도 바로 경질되고 육사 동기인 이진삼이 영전할 예정이었으나 이진삼 본인이 [[제4땅굴]] 발견에 미쳐있어서 일부러 1군사령관을 희망했기 때문이다. 결국 이진삼은 목적달성에 성공하고 참모총장 영전하게 된다.] 5공 내내 선두주자였던 그가 전역한 후 6개월 뒤, 5공 내내 한직을 멤돌았으나 6공에서 승승장구한 노태우계 군맥의 직계인 육사 동기 [[이진삼]]이 육군참모총장이 되었다.[* 같은 하나회였지만 노태우계였기 때문에 [[전두환 정부]] 내내 소외되었던 이진삼은 동기인 고명승보다 중장은 1년, 대장은 1년 반이 늦었지만 마지막에 참모총장이 되며 역전한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후보로 전라북도 부안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당(1991년)|민주당]] [[이희천]]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신한국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새정치국민회의]] [[김진배]]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허화평]], [[허삼수]], [[정호용]], [[권정달]] 등 다수의 쿠데타 가담자들이 6공화국에서도 최소 1번 국회의원에 당선된 반면 하나회에서도 몇 안되는 호남출신인 고명승은 신군부와 5공화국에 대한 반감이 컸던 고향의 분노를 이겨내지 못했다. 그러나 고위관료 출신도 아니고 하나회 출신이었던 사람이 40% 안팎의 표를 얻어 1992년, 1996년에 전북에서 보수정당 타이틀을 달고 당선되었던 [[황인성(1926)|황인성]], [[양창식]], [[강현욱]]에도 뒤지지 않을 만큼의 성과를 보인 점이 감안되었는지 오랫동안 한나라당 전북도당 위원장을 지냈다가 이명박 정권 시절 [[정운천]]에게 넘겼다. 12.12 군사반란에 가담했음에도 다른 가담자들과 달리 기소되지 않았다. 색깔론을 떨쳐버리기 위해 군 출신을 영입하려던 DJ측이 지연(호남 출신)을 연고로 그를 여러번 영입하려고 했으나 본인이 고사했다고 한다. 한편 아내가 척수경막증으로 장애를 갖게 되었고 병수발하면서 쓴 "휠체어에 사랑을 싣고"라는 수기가 1990년에 베스트셀러가 되기도 했지만 안타깝게도 얼마 지나지 않아 사별했다. [[파일:Screenshot_20221121_014341_YouTube.jpg]] 2021년 11월 24일 [[전두환]] 장례식에 등장하여 조문을 하였다. == 여담 == * 첫째 남동생 고진석(高鎭錫, 1936. 5. 1 ~ 2018. 07. 05)도 [[육군사관학교]] 16기 출신으로 [[대한민국 육군]] [[제2보병사단]]장, [[제2작전사령부 부사령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참모장]] 등을 지내고 [[소장(계급)|소장]]으로 예편했으며 정규 육군사관학교 출신으로는 최초 형제 장군들이다. 형제 장군으로는 6.25전쟁때 백선엽과 백인엽, 이진삼(육사 15기)과 이진백(갑종 153기), 고명승(육사 15기), 고진석(육사 16기) 등이 있다. == 대중매체에서 == * 1995년 [[SBS]] 드라마 <[[코리아게이트(드라마)|코리아게이트]]>에서는 배우 [[김영석(배우)|김영석]]이 연기했다.[* 김영석은 제5공화국 드라마에서 김진영 대령 역할을 맡았다.] * 1996년 [[MBC]] 드라마 <[[제4공화국(드라마)|제4공화국]]>에서는 배우 차윤회가 연기했다.[* 차윤회는 제5공화국 드라마에서 이건영 중장 역할을 맡았다.] * 2005년 [[MBC]] 드라마 <[[제5공화국(드라마)|제5공화국]]>에서는 배우 [[최은석]]이 연기했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92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전북 부안) || [include(틀:민주자유당)] || 20,529 (42.33%) || 낙선 (2위) || ||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전북 부안) || [include(틀:신한국당)] || 16,539 (39.34%) || 낙선 (2위) || || == 둘러보기 == [include(틀:12.12 군사반란 가담자)] [[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제주 고씨 장흥백파]][[분류:부안군 출신 인물]][[분류:1935년 출생]][[분류:하나회]][[분류:전주교육대학교 출신]][[분류:육군사관학교 출신]][[분류:군인 출신 정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