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타지키스탄의 행정구역]][[분류:자치주]][[분류:중국-타지키스탄 관계]] [include(틀:타지키스탄의 행정구역)] || {{{#white {{{+3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 (타지키스탄)}}}}}} || || [include(틀:지도, 장소= Gorno-Badakhshan Autonomous Province, Tajikistan)] || [목차] == 개요 == * [[타지크어]]: Вилояти Мухтори Кӯҳистони Бадахшон * [[러시아어]]: Горно-Бадахшанская автономная область * [[영어]]: Gorno-Badakhshan Autonomous Region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는 [[타지키스탄]]에 위치한 [[자치주]]이다. 주도는 [[호루그]]이다. 면적은 64,200 ㎢이다. 2019년 기준으로 총 인구 수는 약 226,900 명이다. 타지키스탄 총 면적의 약 45%를 차지하는 넓은 행정구역이지만, 산악지대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기때문에 타지키스탄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밖에 안되며, 낙후지역이기도 하다. == 역사 ==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는 [[소련]]시절에 생겼다. 소련 해체 이후에는 [[타지키스탄]]에 속하게 되었다. 타지키스탄 내에서는 소수민족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다. == 지리 ==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는 타지키스탄 동부에 위치해 있고 남쪽은 [[아프가니스탄]]의 [[바다흐샨]] 주와 접해 있다. 동쪽은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타슈쿠르간 타지크 자치현|타슈쿠르간]] 타지크 자치주와 접해 있다. 바다흐샨 주와 접해 있어서 문화적으로는 아프간과 가깝다. == 주민 == 2010년 타지키스탄 인구조사에 의하면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의 인구는 [[타지크인]]이 94.4%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키르기스인]]이 5.3%, 나머지 민족은 0.3%에 불과했다. 하지만 [[슈그니족]], [[와키인]] 같이 통계상으로는 타지크인으로 분류되는 [[파미르인|파미르계 민족]]들이 다수를 점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파미르 고원 동부 지역에는 키르기스인이 많이 거주한다.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는 [[타지크어]]와 [[러시아어]]가 널리 쓰이고 있고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의 공용어이다. 소수민족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어서 와키어, 사리콜리어, [[키르기스어]], [[슈그니어]] 등의 소수민족어가 많이 쓰이고 있다. == 기타 == 타지키스탄에 속하는 영토지만 타지키스탄과는 달리 민족적, 문화적으로 완전히 다른 민족들도 적지 않고, 지역적으로도 높은 산들과 산맥, 험한 고원으로 이루어져있다보니 타지키스탄 안에서도 이질적인 분위기의 지역이다. 그래서 이곳은 [[지역갈등]]도 있고, 소수민족들은 타지크인(페르시아계)들과의 갈등도 있었으며, [[타지키스탄 내전]]때는 [[분리주의|분리독립]], 인종 갈등, 같은 페르시아계 타지크인이더라도 지역감정과 이념대립으로 인한 내전 및 대규모 박해와 학살도 있었다.[* 이 전쟁 시기에 주로 파미르인과 가름인 등이 희생되었다. 파미르인은 파미르어파를 쓰는 민족에 해당되었고, 페르시아계 지파였던 타지크인과는 달리 민족이 달랐기에 분리독립주의 성향의 반란을 일으키기도 했고, 가름인은 서부 가름이라는 도시에 사는 타지크인이었지만 고르노바다흐샨 및 그 인근과 접한 지역에도 거주했었는데, 이곳 사람들은 이슬람 원리주의가 강했고, 이를 저지하던 사회주의 및 세속주의 성향의 타지키스탄 인민 전선의 쿨롭 출신 민병대가 가름인들을 대상으로 학살을 저질렀다. 쿨롭파 인민 전선의 민병대의 주요 사령관이 [[에모말리 라흐몬|에모말리 라흐모노프]]였다.] 참고로 남동쪽에 [[중국 인민해방군]]의 해외 기지가 설치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