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제철공장에서 철광석으로부터 선철(銑鐵)을 만들어 내는 [[爐|노]], 高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용광로)] == 일본의 이름 五郎 == || [[히라가나]] || ごろう || || [[외래어 표기법/일본어|국립국어원 표준 표기법]] || 고로 || || 통용 표기 || 고로, 고로우 || || 최영애-김용옥 일본어 표기법 || 고로오 || || 로마자 표기 || Gorō || 과거 일본에서 5남에게 많이 붙여주던 이름. 五郎、吾郎、悟郎의 표기가 주로 쓰인다. 산업사회인 현대엔 아들은 커녕 자식도 5명씩이나 낳는 집은 드물기 때문에 5남이란 뜻의 五郎는 사실상 멸종했고, 현재 고로들은 대부분 吾郎、悟郎를 많이 쓴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낡은 이름이란 인식이라 현실에서 이 이름을 가진 사람은 대부분 중장년층이다. === 실존인물 === * [[가수]] [[노구치 고로]] * [[성우]] [[나야 고로]] * 수학자 [[시무라 고로]][* [[페르마의 대정리]]의 증명에 결정적인 힌트를 주었다.] * [[일본]]의 [[애니메이션]] 감독 [[타니구치 고로]] * [[미야자키 하야오]]의 아들이자 [[애니메이션]] 감독 [[미야자키 고로]] * [[신선조]] 3번대 조장 [[후지타 고로]] * 일본의 AV제작회사 TMA의 주력 남성배우 [[나루사와 켄이치]]의 [[이명]] * [[정치인]] [[미우라 고로]] * 일본의 연예인 [[이나가키 고로]] === 가상인물 === * [[KOF 시리즈]] - [[다이몬 고로]] * [[YAT 안심! 우주여행]] - [[호시와타리 고로]] * [[가면라이더 시리즈]] - [[고로(가면라이더 블랙 RX)]], [[유라 고로]]([[가면라이더 류우키]]) * [[고독한 미식가]] - '''[[이노가시라 고로]]'''[* 일반적으로 '고로'하면 떠오르는 인물이다.] * [[달링 인 더 프랑키스]] - [[고로(달링 인 더 프랑키스)]] * [[마비노기]] - [[고블린 형제|고로]] * [[메이저]] - [[시게노 고로|혼다/시게노 고로]] * [[명탐정 코난]] - 고로[* [[모리 코고로]]의 아내인 [[키사키 에리]]가 키우는 고양이이다. 한국판에서는 맹이라고 부른다.코고로의 고로와 유명한의 명에서 따온듯하다. 원래는 얼룩 고양이였으나 러시안 블루로 바뀐듯하다.], [[오오타키 고로]] * [[모탈 컴뱃]] - [[고로(모탈 컴뱃)]] * [[바쿠만]] - [[미우라 고로(바쿠만)]] * [[반쪽 달이 떠오르는 하늘]] - [[나츠메 고로]] * [[세계정복 ~모략의 즈베즈다~]] - [[시카바네 고로]] * [[열혈최강 고자우라]] - [[이시다 고로]] * [[용과 같이 시리즈]] - [[마지마 고로]][* 다만 이쪽은 吾朗이다.] * [[울트라 Q]] - [[거대원숭이 고로]] * [[은혼]] - 고로: [[하타 황태자]]의 박퀴벌레[* 일본어 표기가 고키부리가 아니고 곳키부리. 투니버스 더빙판에서는 바퀴벌레나 박퀴벌레나 발음상 거의 차이가 없어 ''''빠퀴벌레''''로 번역했다.] 여왕. [[지구]]를 말아먹을 뻔 했지만 [[사다하루]]가 퇴치했다. * [[이나즈맨]] - 와타리 고로 * [[원신]] - [[고로(원신)]] * [[천사의 꼬리]] - [[무츠미 고로]] * [[청의 엑소시스트]] - [[고로(청의 엑소시스트)]] * [[초력전대 오레인저]] - [[호시노 고로(초력전대 오레인저)]] * [[【최애의 아이】]] - [[아마미야 고로]] * [[페르소나 5]] - [[아케치 고로]] *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 금/은|금/은]], [[포켓몬스터 하트골드/소울실버|하트골드/소울실버]]) - [[반바지 꼬마#s-3.1|반바지 꼬마 오성]]의 일본판 이름 * [[플라네테스]] - [[호시노 고로]] * [[훌륭한 국가를 만드는 방법]] - [[고로(훌륭한 국가를 만드는 방법)|고로]] == [[고려대학교 로스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гурав/gouraw == [[몽골어]]로 숫자 [[3]]. == [[육수(입시)]]를 뜻하는 일본어 단어, 五浪 == [[재수(입시)|재수]]를 로닌(浪人), [[삼수]]를 니로(二浪), [[사수(입시)|사수]]를 산로(三浪), [[오수(입시)|오수]]를 [[욘로]](四浪)라고 하듯이 [[육수(입시)|육수]]는 고로(五浪)라고 부른다. == [[故]]로 == 그러므로(therefore)의 한문식 표현. 대부분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Cogito, ergo sum)를 통해 이 표현을 접하게 된다. == [[삼국유사면]]의 옛 명칭 == [[분류:동명이인]][[분류:이름/일본]][[분류:몽골어 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