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고령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나이가 많음'이라는 뜻의 단어, rd1=노인)] [include(틀:경상북도의 기초자치단체)] [include(틀:고령군의 읍면)] ||<-4> '''{{{#000 [[경상북도|{{{#000,#ffffff 경상북도}}}]]{{{#000000,#ffffff 의}}} [[자치군|{{{#000,#ffffff 자치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고령군 CI.svg|height=65]]||{{{#000000,#ffffff '''{{{+1 고령군}}}'''[br]高靈郡[br]{{{-1 Goryeong County}}}}}}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고령군, 너비=100%, 높이=100%)]}}} || ||<-2> {{{#ffffff '''군청 소재지'''}}} ||<-2> 대가야읍 왕릉로 55 (지산리) || ||<-2> {{{#ffffff '''광역자치단체'''}}} ||<-2> [[경상북도]] || ||<-2> {{{#ffffff '''하위 행정구역'''}}} ||<-2> 1[[읍(행정구역)|읍]] 7[[면(행정구역)|면]] || ||<-2> {{{#ffffff '''면적'''}}} ||<-2> 384.06㎢ || ||<-2> {{{#ffffff '''인구'''}}} ||<-2> 30,190명[* 2023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o.kr/|주민등록인구현황]]] || ||<-2> {{{#ffffff '''인구밀도'''}}} ||<-2> 78.98명/㎢ || ||<-2> {{{#ffffff '''군수'''}}}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남철|{{{#000,#fff 이남철}}}]] ,,{{{#000,#fff (초선)}}},, || ||<-2> {{{#ffffff '''군의회'''}}}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000,#fff 7석[* 고령군 가선거구 (대가야읍, 덕곡면, 운수면): 김기창, 성원환[br]고령군 나선거구 (성산면, 다산면): [[이달호]], 성낙철[br]고령군 다선거구 (개진면, 우곡면, 쌍림면): 김명국, 이철호[br]비례대표: 유희순]}}} || ||<-2> {{{#ffffff '''도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000,#ffffff 노성환}}} ,,{{{#000,#fff (초선)}}},, || ||<-2> [[고령군·성주군·칠곡군|{{{#ffffff '''국회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정희용|{{{#000,#fff 정희용}}}]] ,,{{{#000,#fff (초선)}}},, || ||<-2> {{{#ffffff '''지역번호'''}}} ||<-2> '''054 - 95X''' || ||<-2> {{{#ffffff '''웹사이트'''}}} ||<-2> [[http://www.goryeong.g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height=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gayadori, 크기=20)] | [[https://www.facebook.com/goryeong|[[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gogogoryeon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youtube.com/user/goryeon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blog.naver.com/gokory|[[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상북도]]의 [[군(행정구역)/대한민국|군]]으로 [[가야연맹]] 시절에는 '''[[반파국|대가야]]'''의 중심지였다. 동쪽으로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달서구]]와 접해있고 서쪽으로는 [[경상남도]] [[합천군]], 남쪽으로는 [[경상남도]] [[합천군]], [[창녕군]]과 접하며 북쪽으로 [[성주군]]과 접한다. 고령군(高靈郡)이 [[도자기]]의 원료인 [[고령석|고령토]](高嶺土)로 유명한 지역이긴 한데, 고령토의 이름과는 관계가 없다. 나이가 많다는 고령(高齡)과도 더욱 더 관계가 없다. == 역사 == 일명 [[반파국|대가야]]로 불리는 옛 [[반파국]](伴跛國)의 중심지로서 16대 520년 간을 계승했다. 그러다가 [[신라]] [[진흥왕]] 때 신라에 병합되었고 대가야군(大伽倻郡)이 되었다. 757년([[경덕왕]] 16) 때 전국 지명 한화정책에 따라 현대에 사용하는 이름인 고령군으로 바꿨다. [[9주 5소경]] 중 [[강주]]에 속했는데, 경북 다른 지역이 대부분 [[상주]], [[양주]] 관할인 것과 달리 지금의 경상남도 쪽 행정구역에 붙인 것이다. 강주 지역이 대부분 옛 [[가야]] 소국들이 있었던 땅이기에 그 쪽에 연관시켜 편입시킨 것으로 보인다. 1018년([[고려]] 현종 9)에 영천현(靈川縣)으로 바꾸고 경산부(京山府:현재의 [[성주군]])에 속하였다. 조선 태종 때 고양군의 고와 영천현의 영을 따서 고령현(高靈縣)이라 하였다고 한다. 그런데 이미 [[삼국사기]] 지리지에서 신라 경덕왕이 고령군이라고 이름지었다고 하고 있으므로 고려 때 잠시 달라졌던 옛 이름을 부활시킨 셈이다. 1895년([[고종(대한제국)|고종]] 32)에 [[성주군]]의 9개 면과 [[현풍군]](현 [[대구광역시]] [[달성군]] 남부 지역) 3개 면을 병합하여 고령군이 되었다. [[1906년]] [[성주군]]의 일부와 [[현풍군]]의 일부를 흡수하였다. [[1930년]] 쌍동면과 임천면을 쌍림면으로 통합하였다. 1979년 고령면이 고령읍으로 승격하였다. [[2015년]] [[4월 2일]] 고령읍의 명칭이 '''대가야읍'''으로 변경되었다. 4월 2일인 이유는 대가야국이 AD 42년에 건국된 것을 기념하기 위해서다. [[http://m.goryeong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460|#]] --대가야의 원래 이름을 따지면 반파읍이라 해야 되는 것 아닌가?--[* 반파라는 이름보다 대가야라는 이름이 인지도가 더 높아서 이렇게 변경한 것으로 보인다.] 사실 대가야 멸망 이후 신라에서도 '대가야군'이던 것을 신라 [[경덕왕]]이 [[http://db.history.go.kr/id/sg_034r_0020_0570|고령군으로 바꾼 것이므로]] 새로 만든 이름이 아니라 1,300여년만에 원래 이름으로 되돌린 것이다. === 인구 === || [[파일:고령군 CI.svg|width=50]] '''{{{#000 고령군}}}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9c4a 76.09%,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76,09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9c4a 67.53%,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67,53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9c4a 63.00%,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62,99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9c4a 48.95%,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48,950명}}}}}} || || [[1983년]] [[2월 15일]] '''고령군''' [[고령군/행정#덕곡면|덕곡면]] 성동 → [[성주군]] [[수륜면]] 편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9c4a 41.19%,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41,18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9c4a 35.28%,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35,27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9c4a 36.19%,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36,19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9c4a 37.59%,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37,58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9c4a 34.27%,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34,27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9c4a 34.68%,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34,67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9c4a 34.59%,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34,59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9c4a 31.36%,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31,36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9c4a 30.12%,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10월 30,190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0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ffffff 읍면별 인구 통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9c4a 97.28%, #888 0%, #888 100%, #AAA 0%)" {{{#fff 대가야읍 9,72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9c4a 80.96%, #888 0%, #888 100%, #AAA 0%)" {{{#fff 다산면 8,09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9c4a 32.81%, #888 0%, #888 100%, #AAA 0%)" {{{#fff 쌍림면 3,28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9c4a 25.18%, #888 0%, #888 100%, #AAA 0%)" {{{#fff 성산면 2,51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9c4a 18.89%, #888 0%, #888 100%, #AAA 0%)" {{{#fff 개진면 1,88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9c4a 17.83%, #888 0%, #888 100%, #AAA 0%)" {{{#fff 운수면 1,78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9c4a 15.55%, #888 0%, #888 100%, #AAA 0%)" {{{#fff 우곡면 1,55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9c4a 14.2%, #888 0%, #888 100%, #AAA 0%)" {{{#fff 덕곡면 1,420명}}}}}} || || {{{-2 2023년 5월 기준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o.kr|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 }}}}}}}}} || == [[고령군/교통|교통]]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고령군/교통)] == 관광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중화유원지.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가야수목원2.jpg|width=100%]]}}} || || {{{#000000 '''중화유원지'''}}} || {{{#000000 '''대가야수목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고령 대가야 지산동 고분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가야박물관.jpg|width=100%]]}}} || || '''[[고령 지산동 대가야 고분군|{{{#000000 고령 지산동 대가야 고분군}}}]]''' || '''[[대가야박물관|{{{#000000 대가야박물관}}}]]''' || [[지산동 고분군]], [[대가야박물관]], [[우륵박물관]] 등의 [[반파국|대가야]] 시대에 관한 관광지들이 있으며 매년 4월 초 대가야읍 역사 테마 관광지를 중심으로 대가야 체험 축제가 개최된다. 하지만 2020년에는 코로나-19 사태로 축제가 개최되지 않았다. 축제가 개최되는 날에는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VR 체험 등 [[대가야읍]] 역사 테마 관광지 주변에 있는 커다란 건물 뒤로 행사가 개최된다. 국수 등 여러 가지 음식을 맛볼 수 있다. 음식을 먹는 곳 앞에는 소형 미니 공연장 같은 것이 있는데, 그 곳에서 음악단이 노래를 하거나 악기를 연주하는 등 공연을 하기도 한다. 곳곳에서 노래를 틀어놓고 축제 마지막 날에는 전통 의상을 입고 행진을 한다. 주로 마을의 촌장 이런 사람들이 참가한다. 그뿐만 아니라 미니 공연장 다음으로 미니 공연장 크기에는 버금가지 못 하는 엄청 거대한 하얀 공연장에서 옛날 이야기 뮤지컬을 하기도 하며, 연예인이 온 적도 있다. 아이들한테 가장 인기가 있었던 높은 풍선 미끄럼틀 타기 등 여러모로 참가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부모의 손을 놓고 마음대로 돌아다니는 아이들 때문에 아이를 잃어버리거나 귀중품을 잃어버리는 등 사건사고가 발생한다. 그래서 대가야 체험 축제가 열릴 때면 항상 아이나 다른 사람을 찾거나 귀중품을 찾는다는 방송이 울려퍼지는 공식이 있다. [[전 고령 금관 및 장신구 일괄|가야에서 유일한 금관]]이 발견된 곳이 이 곳이지만, 정식으로 발굴한 게 아니라 [[도굴꾼]]에게 도굴당한 것이 돌고 돌아 현재 진품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리움미술관]]에 있으며, 이 곳 고령군에는 [[레플리카#s-1|모조품]]만 전시되어 있다. 미숭산 자연 휴양림, 대가야수목원도 휴양을 즐길 수 있는 곳이다. == 특산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고령딸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고령수박2.jpg|width=100%]]}}} || || {{{#000000 '''고령 딸기'''}}} || {{{#000000 '''고령 수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고령 성산멜론.gif|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개진감자.jpg|width=100%]]}}} || || {{{#000000 '''고령 성산메론'''}}} || {{{#000000 '''고령 개진감자'''}}} || 특산물로는 [[딸기]], [[수박]], [[멜론]], [[감자]]가 있다. 수박과 감자는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 등록되어 있다. * 특산물 추천 * 우곡 그린수박 : 가야산 지류의 맑은 물과 낙동강변의 천혜의 비옥한 토질에서 재배되며 당도가 높으며 농산물 최초로 『KBS 신화창조의 비밀』에 방영. * 개진감자 : 낙동강변의 비옥한 사질양토에서 품질이 뛰어나며 알이 굵고 분이 많아 전국 최고의 품질로 인정받음. * 고령옥미 : 가야산 맑은 물과 비옥한 토양에서 밥맛 최고의 삼광벼 품종으로 친환경 재배 및 엄격한 포장관리로 청와대 출품 성과 이룸. * 고령딸기 : 고령 딸기는 가야산 맑은 물과 비옥한 땅에서 친환경적으로 재배하고, 꿀벌로 자연수정하며, 40여년의 재배역사와 기술을 자랑하며, 당도가 높고 맛과 향이 뛰어나 1992년도부터 일본, 홍콩, 대만 등지로 수출해 오고 있으며, 2001년 에는 일본에 120만불을 수출, 품질을 인증 받고 있음. 특히 딸기에는 비타민 C가 풍부(귤의 2배)하여 피부에 매우 좋으며, 식이섬유가 많아 혈중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어, 전국 대형농산물 유통에 납품, 소비자의 인지도가 대단히 높음. * 성산메론 : 전국 최고의 무넷트메론 집산지로 맛과 당도 등 품질 면에서 최고를 자랑하고 있으며, 2001년부터 일본으로 수출 품질을 인증받았으며, 특히, 메론에는 베타카로틴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이 성분이 폐암, 심장병, 뇌졸중 등 성인병을 예방해주며, 수분함량이 많아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제격이며, 다양한 품종(파파야, 양구, 홈런 등)을 생산 전국 대형유통 납품 등 각광을 받고 있음. == 금융 == ||<-4> '''{{{#ffffff 고령군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 ||<-4> '''{{{#1d1e23 제1금융권}}}''' || ||<-4> '''{{{#1d1e23 국가기관}}}''' || ||<-4> [[우정사업본부|{{{#ffffff '''고령우체국 (7)'''}}}]] || ||<-4> '''{{{#1d1e23 특수은행}}}''' || ||<-4> [[농협은행|{{{#ffffff '''농협은행(중앙회) (2)'''}}}]] || ||<-4> '''{{{#1d1e23 지방은행}}}''' || ||<-4> [[대구은행|{{{#9acd32 '''대구은행 (1)'''}}}]] || ||<-4> '''{{{#ffffff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 ||<-4> '''{{{#ffffff 농업협동조합}}}''' || || [[농협|{{{#fcaf16 '''고령농협 (3)'''}}}]] || [[농협|{{{#fcaf16 '''동고령농협 (3)'''}}}]] || [[농협|{{{#fcaf16 '''쌍림농협 (1)'''}}}]] || [[농협|{{{#fcaf16 '''고령성주축협 (2)'''}}}]] || ||<-4> [[농협|{{{#fcaf16 '''다산농협 (1)'''}}}]] || ||<-4> '''{{{#ffffff 새마을금고}}}''' || ||<-4> [[새마을금고|{{{#afeeee '''고령새마을금고 (4)'''}}}]] || ||<-4> '''{{{#ffffff 신용협동조합}}}''' || ||<-4> [[신협|{{{#ffa500 '''고령신용협동조합 (2)'''}}}]] || ||<-4> '''{{{#ffffff 산림조합}}}''' || ||<-4> [[산림조합|{{{#9acd32 '''고령군산림조합 (1)'''}}}]] || == 교육 == [include(틀:경상북도 고령군의 초등학교)] [include(틀:경상북도 고령군의 중학교)] [include(틀:경상북도 고령군의 고등학교)] --어떤다큐는 고령군 중학생이 1면 이라소개하여 성주까지 통학한다고 한다만 실제중학인구 는 고령군에 1명은아니고 그보다 만을 것으로 추정된다-- == [[고령군/정치|정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고령군/정치)] == [[고령군/행정|하위 행정구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고령군/행정)] == 여담 == [[파일:고령 한국사.jpg]] * 2020년 지방직 9급 공무원 한국사 시험 문제에 고령이 언급된 적이 있다. 답은 3번이다.[* 호남 동부 [[섬진강]] 유역까지 진출했기 때문이다. 1번은 [[관산성 전투]]에서 전사한 국왕이라는 얘기가 나오니 [[성왕(백제)|백제 성왕]]이고, 2번은 [[울릉도]]([[우산국]], [[울릉군]] 일원)를 정복했다는 얘기니 [[신라]] [[지증왕]]이고, 4번은 [[고구려]] [[광개토대왕]] 이야기이다.] * 2023년 8월 14일에 고령군 덕곡면의 한 민간 목장에서 키우던 암[[사자]]가 탈출하여 1시간 만에 사살당하는 사건이 있었다. 목장주는 본인이 목장을 인계 받을 당시에 애초에 사자가 있었다고 했으며 원래 동물원 등을 통해 기부하려고 했으나 외부종의 서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로 인해 동물원 측에서도 받지 않았다고 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7/0001762406|#]] 몇 안 되는 기록을 통해 옛날에 숫사자도 키우고 있었으나 사망한 것이 확인되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4/0001293115|#]] * 인지도가 썩 높지 않은 지역이다 보니 일부 사람들 중에서는 발음이 비슷한 [[보령시]]([[충청남도]])와 헷갈려 하는 사람들이 많은 편이다. 또한 관광도시로도 유명하고 '보령' 두 글자만 얘기해도 어딘지 바로 알아채는 보령과 달리 고령은 별다른 특징이 없는 평범한 동네다. 게다가 별도의 표현 없이 고령이라고 하면 지역명보다 '나이가 많다'는 뜻부터 가장 먼저 떠올리는 면도 있다. == 출신 인물 == * [[곽용환]] : 前 고령군수 * [[곽태진]] * [[김대현(1965)|김대현]] * [[김면]] * [[김병준(정치인)|김병준]] : 정치인, 現 [[국민대학교]] 명예교수, 前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 직무대행,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 [[교육부장관|교육부총리]] * [[김상덕(1892)|김상덕]] * [[김상봉(경찰)|김상봉]] : 前 경북지방경찰청장 * [[김용대(공무원)|김용대]] : 前 경상북도 행정부지사, [[경북도립대학교]] 총장 * [[김우현(정치인)|김우현]] * [[김종기(정치인)|김종기]] : 정치인 * [[김홍식(1912)]] * [[나진구]] * [[남형우]] * [[노재천]] * [[대성캡틴]] : 자동차 구난 유튜버 * [[박병련]] : 前 [[대구광역시]] 행정부시장 * [[박우근]] * [[박정현(1962)]] * [[배영길]] : 前 [[부산광역시]] 행정부시장 * [[신철휴]] * [[신충식]] : 배우 * [[우륵]] : 우륵의 고향은 고령군이 아니라 다른 지역이라는 설도 있다. * [[윤건영(1952)]] * [[윤종필]] : 前 국회의원, 前 [[국군간호사관학교]] 교장(준장, 의무장교) * [[이경재(법조인)|이경재]] : [[최순실]]의 변호인. * [[이규동]] * [[이규문]] : 前 [[대전광역시경찰청]]장 * [[이남철]] : 現 고령군수 * [[이달호]] * [[이두호]] : 만화가. [[머털도사]]로 유명하다. * [[이맹기]] * [[이상길(1964)|이상길]] : 前 [[대구광역시]] 행정부시장 * [[이인임]] : 고령 출신이라는 설이 있지만 확실하지는 않다. * [[이진환(1939)|이진환]] : 前 고령군수 * [[이종식(1932)]] * [[정경식]] * [[정남택]] * [[정해식]] * [[정현욱(1977)|정현욱]] : 現 [[삼성 라이온즈]] 코치, 前 야구선수 * [[정희택]] : 변호사, 정치인 * [[조연우(배우)|조연우]] : 배우 * [[조용미]] : 시인 * [[조일환(1916)|조일환]] : 前 4대, 5대, 7대, 8대 대한민국 국회의원 * [[조상(학자)|조상]] : 성리학자 * [[조재구]] : 現 [[대구광역시]] [[남구청장(대구)|남구청장]] * [[조홍철]] * [[차한성]] * [[최운지]] * [[최재욱]] * [[현경자]] : [[박철언]]의 배우자 === 고령이 [[본관]]인 유명인 === * [[김면]] * [[김용판]] [[http://ko.wikipedia.org/wiki/%EA%B9%80%EC%9A%A9%ED%8C%90|참고]] * '''[[박문수]]''' - 암행어사 * [[박병석]] * [[박상희]] * [[박성빈]] * '''[[박정희]]''' - 이 때문에 [[고령 박씨]] 종친회가 고령지역에서 엄청난 영향력을 행사한다. * [[박근혜]] * [[신규식]] * '''[[신숙주]]''' - 제 28대, 40대 영의정 * '''[[신채호]]''' - 독립운동가 * [[신충식]] == 관련 문서 == * [[고령군 향우회]] [각주] [[분류:고령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