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광주광역시의 남자중학교]][[분류:북구(광주광역시)의 중학교]][[분류:고려학원]][[분류:1986년 개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서울특별시에 있던 동명의 중학교, rd1=고려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학교)]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광주광역시 북구의 중학교)] [include(틀:고려학원)] ||<-2> '''{{{#white {{{+1 고려중학교}}}[br]高麗中學校[br]Korea Middle School}}}''' || ||<-2> [include(틀:지도, 장소=광주광역시 고려중학교, 너비=100%, 높이=100%)] || || {{{#white '''설립인가'''}}} || [[1986년]] [[1월 21일]] || || {{{#white '''개교'''}}} || [[1986년]] [[3월 8일]] || || {{{#white '''유형'''}}} || 일반계 [[중학교]] || || {{{#white '''성별'''}}} || [[남학교]] || || {{{#white '''형태'''}}} || [[사립]] || || {{{#white '''학교법인'''}}} || 고려학원 || || {{{#white '''교장'''}}} || 조규인 || || {{{#white '''교감'''}}} || 김OO || || {{{#white '''교훈'''}}} || 正直(정직)한 사람,[br]成實(성실)한 사람,[br]必要(필요)한 사람. || || {{{#white '''교화'''}}} || 철쭉 || || {{{#white '''교목'''}}} || 향나무 || || {{{#white '''교색'''}}} || {{{#green,#7fff7f '''녹색'''}}} || || {{{#white '''학생 수'''}}} || 446명[*기준 2023학년도] || || {{{#white '''교직원 수'''}}} || 35명[*기준 2023학년도] || || {{{#white '''관할 교육청'''}}} || 광주광역시동부교육지원청 || || {{{#white '''주소'''}}} || [[광주광역시]] [[북구(광주)|북구]] 설죽로 369 (삼각동 666) || || {{{#white '''홈페이지'''}}} || [[http://korea.gen.ms.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고려중학교는 [[광주광역시]] [[북구(광주)|북구]] 삼각동에 위치한 사립 [[남자중학교]]이다. 학교가 일명 매곡동 뒷 '''[[산]]'''으로 불리는 고지대에 위치하고 있다. 같은 학교법인인 고려학원 산하의 [[고려고등학교]]와 이웃해 있으며, 강당, 도서실, 운동장을 같이 사용한다. == 학교 연혁 == 1985. 05. 06. 학교 법인 고려학원 설립인가 및 초대 이사장 고창주 선생님 취임 1986. 01. 21. 고려중학교 24학급 설립인가 1986. 02. 01. 초대 교장 고제현 선생님 취임 1986. 03. 08. 고려중학교 제 1회 입학식 1989. 03. 01. 제2대 교장 이형연 선생님 취임 1997. 09. 01. 제3대 교장 정웅림 선생님 취임 2000. 09. 01. 제4대 교장 박종익 선생님 취임 2009. 03. 01. 제5대 교장 고효주 선생님 취임 2015. 03. 01. 제6대 교장 박인석 선생님 취임 2016. 03. 01. 제7대 교장 박영손 선생님 취임 2018. 02. 09. 고려중학교 제30회 졸업식(193명, 총 11,313명) 2018. 03. 02. 고려중학교 제33회 입학식(151명) 2022. 03. 03. 제2대 이사장 송희순 선생님 취임 == 교훈 및 상징 == === 교화 === || {{{#ffffff 고려중학교 교화}}} || || [[철쭉]] || || [[파일:고려중학교 철쭉 사진.png|width=500]] || 설죽로에서 산 중턱에 있는 학교까지 올라가는 학교 소유의 도로변 화단에 많이 심어져 있다. === 교목 === || {{{#ffffff 고려중학교 교목}}} || || [[향나무]] || === 교훈 === || {{{#ffffff 고려중학교 교훈}}} || || 正直(정직)한 사람, 成實(성실)한 사람, 必要(필요)한 사람 || === 교가 === || {{{#ffffff 고려중학교 교가[br]주기운 작사, 김정수 작곡}}} || || 1절. 아침 - 해 찬란하다 무등의 이마 [br] 우 - 러러 바라보며 발돋 - 움 하 - 며 [br] 남아의 높은 기상 학이 - 되 - 어라 [br] 아 - - 나라 - 의 깃발이 나부끼는 곳 [br] 2절. 노을 빛 은은하다 당산봉 기슭 [br] 낮과 밤을 이 - 어 - 서 꺼지 - 지 않 - 는 [br] 배움의 바다 멀리 등대 - 되 - 어라 [br] 아 - - 겨레 - 의 소망이 출렁이는 곳 [br] 후렴. 스스로를 이룩할 총총한 눈빛 [br] 내일을 갈고 닦는 고려중학교 [br] 길이 길이 빛나거라 우리의 모교 || [[http://korea.ms.kr/data_files/doc/gyoga.mp3|교가 듣기]] || || [[파일:고려중학교 교가.gif|align=center]] || == 학교 시설 == || {{{#ffffff 고려중학교 모습}}} || || [[파일: 본관.jpg|width=500]] || || [[파일: 별관.jpg|width=500]] [* 현재는 본관과 별관 사이에 비를 가릴 수 있는 지붕형식의 시설이 만들어졌다.] || === 본관 === ||<-13> {{{#ffffff 본관 층별 시설[* 비율 구조도의 교실간의 크기 비율은 실제와 다를 수 있다. 참고용으로만 사용하길 바란다.]}}} || ||<-13> '''옥상''' || ||<-3> || 옥상 ||<-2> 온수실[br](보일러실) || 중앙계단 ||<-2> 옥상 ||<-4> || || 남측[br]계단 ||<-8> 옥[br]상 ||<-3> 옥상 다용도실[* 이곳은 교실에 들어가지 않은 여분의 책걸상 보관용으로 쓰이고 있다.] || 북측[br]계단 || ||<-13> '''4층''' || ||<-3> || 화장실 ||<-2> 급수실 || 중앙계단 ||<-2> 1학년 [br] 교무실 ||<-4> || ||<|2> 남측계단 ||<-11> 복도 ||<|2> 북측계단 || || 자유교실 || 1학년 6반 || 1학년 5반 ||<-2> 자유교실 || 진로교실 ||<-2> 1학년 4반 || 1학년 3반 || 1학년 2반 || 1학년 1반 || ||<-13> '''3층''' || ||<-3> || 화장실 ||<-2> 급수실 || 중앙계단 ||<-2> 2학년 [br] 교무실 ||<-4> || ||<|2> 남측계단 ||<-11> 복도 ||<|2> 북측계단 || || 2학년 7반 || 2학년 6반 || 2학년 5반 ||<-2> 자유교실 || Wee Class ||<-2> 2학년 4반 || 2학년 3반 || 2학년 2반 || 2학년 1반 || ||<-13> '''2층''' || ||<-3> || 화장실 ||<-2> 급수실 || 중앙계단 ||<-2> 3학년 [br] 교무실 ||<-4> || ||<|2> 남측계단 ||<-11> 복도 ||<|2> 북측계단 || || 3학년 8반 || 3학년 7반 || 3학년 6반 ||<-2> 3학년 5반 || 자유교실 ||<-2> 3학년 4반 || 3학년 3반 || 3학년 2반 || 3학년 1반 || ||<-13> '''1층''' || ||<-3><|2> ||<-3><|2> 교사 화장실 및 급수실 ||<|2> 중앙계단 || [*휴 남교사 휴게실이다. 구조도의 미관상 주석으로 표기한다.] || [*교 교복 나눔 장터이다. 구조도의 미관상 주석으로 표기한다.] ||<-4><|2> || ||<-2> 복도[* 바로 아래에 있는 복도와는 사이에 벽이 쳐져있다. 복도가 끝나는 지점에 건물 밖으로 나가는 출입구가 있다.] || ||<|2> 남측계단[br]&현관 ||<-2> 복도 ||<-2><|2> 교무실[* 각 반의 담임으로 배정받지 않은 교사들과 교감이 머무는 교무실이다. 교무실 내에 여교사 휴게실이 있다. 보건실쪽에 있다.] ||<-2><|2> 현관 ||<-5> 복도 ||<|2> 북측계단[br]&현관[br]&창고[* 1층 북측계단 바로 밑부분에 폐지를 쌓아두는 창고가 있다. 바로 위의 복도쪽으로 입구가 나 있다.] || || 방송실 || 보건실 ||<-2> 정보실 || 교장실 || 복지실 || 원어민실 || === 별관 === ||<-2> {{{#ffffff 별관 층별 시설}}} || || '''4층''' || 시청각실, 방송실 || || '''3층''' || 음악 1실, 음악 2실, 기술가정실, 가사 준비실, 화장실 || || '''2층''' || 과학 1실, 과학 2실, 과학 3실, 과학 준비실, 화장실|| || '''1층''' || 미술 1실, 미술 2실, 미술 준비실, 컴퓨터실, 화장실 || === 효봉관 === ||<-2> {{{#ffffff 고려중학교 효봉관 층별 시설}}} || || '''3층''' || 관람석, 방송실 || || '''2층''' || 강당, 조명실, 화장실 || || '''1층''' || 도서실, 체육교실, 고등학교 음악실, 화장실 || 가파른 언덕 중턱 오른편에 위치한 고려중학교와 고려고등학교의 공용 강당이며, 운동장과 맞닿아 있다. 사립 고려학원의 설립자이자 초대 이사장인 고창주 선생님의 호인 '''효봉'''을 따서 이름이 지어졌다고 한다. ==== 강당 ==== 고려고등학교와 같이 사용한다. 입학식, 졸업식 등의 행사들을 이곳에서 진행한다. 사실상 이용할 일이 입학식, 졸업식을 빼고 거의 없다. ==== 도서실 ==== ||<-3> {{{#ffffff 고려중학교 도서관 구조도}}} || ||중학교 도서실 || 회의실 ||고등학교 도서실 || 구조도와 같이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도서실이 분리되어있다. 당연히 책들의 수준도 다르다. 학교가 산 중턱에 위치한 반면, 효봉관 건물 자체가 산 밑에 위치하다보니 쉬는시간에 도서대여를 위해 다녀오기가 어렵다. 따라서 하교 시나 점심시간에 가야 하고, 그러다보니 이용률이 떨어진다. === 급식실 === 고려중학교와 고려고등학교 사이에 있다. 기존 주차장 부지를 활용하여 신축했으며, 약 2개 학년 수용이 가능할 만큼 규모가 크다. 참고로 본래 고려중학교 급식실은 고려고등학교 기숙사 앞에 위치한 고등학교 급식실과 같이 사용했었다. 중학교에서 도보로 2~3분 거리라 상당한 불편이 있었는데, 개선된 셈이다. == 출신 인물 == [[고영태]] [[나경채]] - 정치인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 {{{#ffffff 고려고 정류장에서 이용 가능한 버스}}} || ||[[광주 버스 매월26|매월26]]|| ||[[광주 버스 송정29|송정29]]|| ||[[광주 버스 일곡38|일곡38]]|| ||[[광주 버스 첨단23|첨단23]]|| ||[[광주 버스 첨단30|첨단30]]|| ||[[광주 버스 419|419]]|| ||[[광주 버스 금남57|금남57]]|| ||[[광주 버스 진월07|진월07]]|| ||[[광주 버스 용전86|용전86]][* 이 버스는 삼각->일곡 방면으로 이용 가능하다. 용전86의 노선을 보면, 고려중 바로 앞 3거리에서 일곡->삼각방면으로 진행하다 좌회전하게 된다. 이때, 일곡->용봉(신안교)방면의 정류장에서 승객을 태우고 좌회전을 하기엔 너무 위험하다.]|| ||[[광주 버스 북구788|북구788]]|| || {{{#ffffff 고려중 버스정류장[* 고려중 버스정류장이 이동하여 고려고 정류장과 고려중 정류장은 서로 붙어있다.]에서 이용 가능한 버스}}} || ||[[광주 버스 북구777|777]]|| === 도시철도 === 2029년 개통 예정인 [[광주 도시철도 2호선]]의 [[삼각역]]이다. 아직 공사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착오 없길 바란다. || {{{#ffffff [[광주 도시철도 2호선]]}}} || ||[[삼각역]]|| == 기타 == - 앞에서 소개했듯이 산 위에 학교가 있는터에 중학생들은 언덕 길보다 더 가파른 계단을 통해 올라가는 경우가 대다수라 고려중 학생들은 가파른 등교길에 시달리고 있다. 위의 학교 건물까지 합치면 아파트 약 12층이란 엄청난 높이다. 입학 후에는 적응이 안 되어 너무나도 힘들다고 하지만 어느정도 내공이 쌓이면 익숙해진다고 한다. 게다가 막 입학한 1학년은 4층을 사용하기 때문에 언덕+4층 --계단지옥--이라는 점이 꽤 힘들다고 한다. - 평일 중 6교시는 1번, 7교시는 4번이다. - 2022년에는 코로나19로 전학년이 수련회, 수학여행을 가지 못했다.[* 특히 07년생의 경우 졸업하기 전까지 한 번도 수련회, 수학여행을 가지 못했다.] - 눈이 30cm가 쌓여도 학교를 간다. - 수업 중 총소리가 들리거나 뭔가 폭발하는 진동이 느껴지는 경우가 많은데, 인근에 있는 [[제31보병사단]]이 원인이다. 특히 이곳 신병교육대에서 사격훈련과 수류탄 훈련하는 소리가 전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 어쩌다 한 번씩 수업시간에 헬기소리가 들리고 창문을 통해 헬기를 볼 수 있다 - 남녀공학화를 원하는 학생들이 수두룩하다. - 2015년을 마지막으로 학교축제가 사라졌다. 학생들의 참여가 너무 저조하고 전체적인 수준이 떨어진다는게 그 이유. 매해 다시 열자는 의견이 나오긴 하나, 축제 대신 스포츠데이를 운영, 그에 따라 해당 예산이 10분의 1로 삭감된지라 학생회의를 넘어서 학생회-학교 간의 간담회에서까지 이야기가 나와도 사실상 의미없는 말이 되고 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