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일제강점기 교육기관)] 高等普通學校 [목차] == 개요 == [[일제강점기]]에 존재했던 [[중등교육기관]]. [[보통학교]]([[심상소학교]])에서 초등교육을 마친 만 12세 이상의[* 당시에 학력 제한과 함께 이와 같은 연령제한이 있어서 월반을 통해 그보다 빨리 보통학교를 마친 경우에는 만 12세에 도달할 때까지 기다려야 했다.] 남학생이 시험을 쳐서 입학할 수 있었다. 현재의 [[남자중학교]]와 [[남자고등학교]]에 해당되며 약칭으로 '''고보'''라고 불렀다. 당시에는 [[남녀공학]]이 없었기 때문에[* 사실 1970년대까지만 해도 대한민국의 중고등학교 중 남녀공학 자체가 별로 없었다.] 현재의 [[여자중학교]]와 [[여자고등학교]]에 해당되는 여학생들이 다니는 '여자고등보통학교'가 따로 있었고 약칭으로 '여고보' 또는 '여고'라고 불렀다.[* 고녀(고등여학교)는 [[구제중학교]]에 대응되는 여자중등교육기관으로, 1938년 3월 [[고등보통학교]]가 중학교로 명칭이 통일될 때, 여자고등보통학교 역시 고등여학교로 일괄 개칭되었다.] 1911년 4년제로 출발하여 1922년 개정 조선교육령(제2차 조선교육령)에서 [[구제중학교|중학교]]와 같은 5년제라 되었으며, 1938년 개정 조선교육령(제3차 조선교육령)에서 명칭이 중학교로 일원화되어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경기중학교, [[대구고등보통학교]]-경북중학교, [[평양고등보통학교]]-평양제이중학교, 함흥고등보통학교-함남중학교, [[광주고등보통학교]]-광주서중학교 등으로 각각 개칭되었다. 이 당시 [[여자고등보통학교]] 역시 [[구제고등여학교|고등여학교]]와 명칭이 통합되어 [[경기여고|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경기고등여학교, [[이화여고|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이화고등여학교 등으로 개칭되었다. [[태평양전쟁]] 말기 전시 수학연한 임시단축 조치에 따라 방학을 없애고 4년으로 단축되었다가 해방 후 5년제로 복귀, 1946년 [[미군정]]에 의거 6년제 중학교로 개편되었다가 1951년 [[대한민국]] 정부에서 전기 과정(3년)과 후기 과정(3년)이 분리되어 오늘날의 중학교와 고등학교로 개편되어 현재에 이른다. == 역사 == [[보통학교]]와 마찬가지로 [[조선인]]과 [[일본인]]의 제도적인 [[차별]][* 명목상 [[내선일체]]을 표방했기 때문에 '조선인', '일본인'이라 표현하지 않고 '국어를 상용하는 자'와 '국어를 상용하지 않는 자'로 구분했다. 물론 여기서 국어는 [[일본어]]를 가리킨다.]이 존재했다. 일본인은 6년제 [[소학교]]를 마치고 5년제 [[구제중학교]]에 진학한 반면, 조선인은 4년제 [[보통학교]]를 졸업하고 4년제 고등보통학교에 진학했기 때문에[* 실제로 조선에서 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면 수학연한을 모두 인정받아야 중학교 3학년으로 편입할 수 있었고, 일반적으로 일본어 실력도 모자라고 했기 때문에 보통은 일본의 [[소학교]] 졸업수준만 인정받아서 [[구제대학]]이나 [[구제전문학교]]에 진학하기 위해서는 사범학교에 들어가거나 [[구제중학교]]에 신입생으로 입학해야 했다.] 실제로 고등보통학교 1, 2학년 때 내지의 소학교 5, 6학년에 해당하는 내용을 가르쳤을 정도였다.[* 다만 이 부분은 일본제국에서도 초등교육기관인 [[소학교]]의 수학연한을 4년에서 6년으로 연장한 것이 1900년대 들어선 후였고 그마저도 예산상 문제 등으로 인한 어려움과 반발을 눌러가면서 강행한 것임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대한제국을 합병하면서 조선의 기존 교육기관들을 관할하게 되었으나 그때까지 본토에서도 소학교 의무교육 6년으로 개편을 달성하지 못한 일제가 조선에서 보통학교 4년, 고등보통학교 4년 학제를 취한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선택이었다고 할 수 있다. 조선보다 먼저 합병된 대만 역시 동일했으며, 조선에서도 1911년에 4년제가 된 관립학교 외의 여러 사립 [[중등교육기관]]들은 1911년 이후까지 재정 여건이 안 되어 4년제도 안 되는 2~3년제 학교가 부지기수였으며, [[중앙학교]]의 경우는 대한제국 시절부터 3년제로 있다가 1915년 11월 총독부의 고등보통학교령에 따라 4년제로 이행하였다.] [[3.1 운동]] 이후 내지연장주의가 채택되고 [[사이토 마코토]] 총독 체제가 들어서자 [[1922년]] 제2차 조선교육령에서 [[보통학교]]의 수업연한이 기존 4년에서 [[심상소학교]]와 같은 6년으로 늘어나고, 고등보통학교도 4년에서 [[구제중학교]]와 동일한 5년으로 연장되며 수학연한의 차등이라는 제도적 차별은 사라졌다. 실제로 1924년 설립된 [[경성제국대학]] [[대학예과|예과]] 신입생 선발에서는 이전의 보통학교 4년, 개편된 고등보통학교 5년을 마친 조선인들이 [[심상소학교]] 6년과 구제중학교 5년을 졸업한 일본인과 동일한 입시 자격을 부여받고 경쟁하여 입학했다. 그러나 1922년 조선교육령 개정 이전에 4년제 보통학교를 졸업했던 사람들은 소학교 대비 상대적으로 모자란 수학연한 2년 때문에 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해야 구제중학교 3학년을 마친 것으로 인정받을 뿐이어서, 일본의 [[구제대학]]([[대학예과]] 또는 [[전문부]])나 [[구제전문학교]]로 진학하기 위해서는 내지의 중학교 4학년에 편입하거나 [[연희전문]], [[보성전문]] 등 조선의 전문학교 3년 과정을 마쳐야 했다. 내지의 [[제국대학]]에 입학하려면 중학교를 거쳐 [[구제고등학교|고등학교]]를 [[졸업]]하거나, 경성제국대학 [[대학예과|예과]]를 수료한 후 별도의 입학사정을 거쳐야 했다. [[1938년]]에 공포된 제3차 조선교육령에서는 고등보통학교/여자고등보통학교를 [[구제중학교]]/[[구제고등여학교]]로 명칭을 통일하면서 일본인 학교와의 차이점이 사라진다. 해방 후인 1946년 미군정청에서 미국식 학제에 맞추어 6년제 중학교로 개편하였고, 1951년 9월 현재와 같은 3년제 [[중학교]]와 3년제 [[고등학교]]로 분리되었다. == 목록 == || '''인가연도''' || '''고등보통학교''' || '''여자고등보통학교''' || || 1911 ||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관립경성고등보통학교]], [[평양고등보통학교|관립평양고등보통학교]], 사립함흥고등보통학교 || [[경기여자고등학교|관립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숙명여자고등학교|사립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 || || 1912 || || [[진명여자고등학교|사립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 || || 1913 || [[양정고등학교(서울)|사립양정고등보통학교]] || || || 1914 || || 관립평양여자고등보통학교 || || 1915 || || || || 1916 || [[경북고등학교|관립대구고등보통학교]], [[배재고등학교|사립배재고등보통학교]], [[동래고등학교|사립동래고등보통학교]] || || || 1917 || [[보성고등학교(서울)|사립보성고등보통학교]], [[송도고등학교|사립송도고등보통학교]] || || || 1918 || 관립함흥고등보통학교[* 기존 사립함흥고등보통학교를 관립 이관], [[휘문고등학교|사립휘문고등보통학교]], [[광성고등학교(서울)|사립광성고등보통학교]] || [[이화여자고등학교|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 [[호수돈여자고등학교|호수돈여자고등보통학교]] || || 1919 || [[전주고등학교|관립전주고등보통학교]] || || || 1920 || [[고창고등학교|사립오산고등보통학교(고창)]][* 1922년 사립고창고등보통학교로 개칭], [[광주고등보통학교|사립광주고등보통학교]] || || || 1921 || [[경성제2고등보통학교|관립경성제2고등보통학교]][* 기존 관립경성고등보통학교는 관립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로 개칭], 관립신의주고등보통학교, [[중앙고등보통학교|사립중앙고등보통학교]] || [[정의여자고등학교|사립정의여자고등보통학교]] || || 1922 || [[광주고등보통학교|관립광주고등보통학교]][* * 기존 사립광주고등보통학교를 관립 이관], [[동래고등학교|관립동래고등보통학교]][* 기존 사립동래고등보통학교를 관립 이관], [[https://ko.wikipedia.org/wiki/%EA%B2%BD%EC%84%B1%EA%B3%A0%EB%93%B1%EB%B3%B4%ED%86%B5%ED%95%99%EA%B5%90_(%EA%B2%BD%EC%84%B1%EA%B5%B0)|관립경성(鏡城)고등보통학교]], 관립해주고등보통학교, [[공주고등보통학교|관립공주고등보통학교]] || || || 1923 || || || || 1924 || [[청주고등학교|관립청주고등보통학교]], [[춘천고등학교|관립춘천고등보통학교]] || || || 1925 || [[진주고등학교|관립진주고등보통학교]] 및 全관립고보를 공립 이관 || 全관립여고보를 공립 이관 및 [[배화여자고등학교|사립배화여자고등보통학교]], [[동래여자고등학교|사립일신여자고등보통학교(부산)]], 사립루씨여자고등보통학교 || || 1926 || [[오산고등학교(서울)|사립오산고등보통학교(서울)]] || [[경북여자고등학교|대구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 [[동덕여자고등학교|사립동덕여자고등보통학교]] || || 1927 || || [[광주여자고등보통학교|광주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 [[경남여자고등학교|부산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 || || 1928 || || [[공주여자고등학교|공주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 || || 1929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98%81%EC%83%9D%EC%97%AC%EC%9E%90%EA%B3%A0%EB%93%B1%EB%B3%B4%ED%86%B5%ED%95%99%EA%B5%90&ridx=4&tot=4600|사립영생여자고등보통학교]] || || 1930 || || || || 1931 || [[김천고등학교|사립김천고등보통학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7453|사립영생고등보통학교]] || || || 1932 || || 해주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 || || 1933 || || || || 1934 || || || || 1935 || || 함흥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 나남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 || || 1936 || 안주공립고등보통학교 || 신의주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 || || 1937 || || [[대전여자고등학교|대전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 || 1938년 제3차 조선교육령 공포, 시행으로 기존의 고등보통학교/여자고등보통학교는 각각 [[심상중학교]] 및 [[고등여학교]]로 일괄 개칭된다. 이후 설립된 구제중학교의 목록은 해당 문서를 참조. == 기타 == [[일제강점기]]의 [[구제고등학교|고등학교]]는 지금처럼 [[중등교육기관]]이 아니라 [[고등교육기관]]으로 [[대학예과]]에 해당되는 [[학교]]였다. 즉, 고등학교를 마치면 대학 본과로 진학하는 것. 식민지 조선에는 고등학교가 존재하지 않았고, 대신 [[경성제국대학]]에 예과 과정을 설치했다. 차이점이 있다면 고등학교를 마치면 대학 본과로 가기 위해 따로 선발 과정을 거치지만, 대학 예과에서는 자동으로 본과로 진입했다. [[구제고등학교]] 참조. 고등보통학교의 교원은 교유(敎諭)라고 불렀다. == 관련 항목 == *[[보통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구제중학교]] *[[구제고등학교]] *[[구제고등여학교]] [[분류:일본의 구제교육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