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고든라이언.jpg|width=100%]]}}} || ||<-2> '''{{{#000 {{{+2 고든 라이언 }}} [br] Gordon Ryan }}}''' || || '''본명''' ||'''고든 F. 라이언 3세[br]Gordon F. Ryan lll''' || ||<|2> '''출생''' ||'''[[1995년]] [[7월 8일]] ([age(1995-07-08)]세)''' || ||'''[[뉴저지]] [[먼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거주지''' ||'''[[텍사스]] [[오스틴]]''' || || '''신체''' ||'''188cm / 110kg''' || || '''{{{#aa9872,#8c7a55 [[그래플링|{{{#aa9872,#8c7a55 그래플링}}}]] [br] 전적}}}''' ||'''[[https://www.flograppling.com/people/5950166| 166전 154승 9패 3무]]''' || || '''승''' ||'''129SUB, 23판정''' || || '''패''' ||'''1SUB, 8판정''' || || '''링네임''' ||'''The King''' || || '''Flograppling''' '''랭킹''' ||[[https://www.flograppling.com/rankings/11183335-flograpplings-official-no-gi-rankings/46432-mens-pound-for-pound-no-gi-rankings| '''헤비급 1위''', '''P4P 1위''']] || ||<|10> '''주요 타이틀''' ||'''2015 IBJJF 세계 주짓수 선수권 대회 (No-Gi) -73.5kg {{{#aa9872 금메달}}} ({{{#964b00 브라운벨트}}})''' || ||'''2018 IBJJF 세계 주짓수 선수권 대회 (No-Gi) +97.5kg {{{#aa9872 금메달}}} ({{{#000000 블랙벨트}}})''' || ||'''2018 IBJJF 세계 주짓수 선수권 대회 (No-Gi) 무제한급 {{{#aa9872 금메달}}} ({{{#000000 블랙벨트}}})''' || ||'''2018 IBJJF 팬 아메리칸 주짓수 선수권 대회 (No-Gi) +97.5kg {{{#aa9872 금메달}}} ({{{#000000 블랙벨트}}})''' || ||'''2018 IBJJF 팬 아메리칸 주짓수 선수권 대회 (No-Gi) 무제한급 {{{#aa9872 금메달}}} ({{{#000000 블랙벨트}}})''' || ||'''2017 [[ADCC]] -88kg {{{#aa9872 금메달}}}''' || ||'''2019 [[ADCC]] -99kg {{{#aa9872 금메달}}}''' || ||'''2019 [[ADCC]] 무제한급 {{{#aa9872 금메달}}}''' || ||'''2022 [[ADCC]] +99kg {{{#aa9872 금메달}}}''' || ||'''2022 [[ADCC]] 슈퍼파이트 {{{#aa9872 금메달}}}''' || ||'''SNS''' ||[[https://www.instagram.com/gordonlovesjiujitsu/|[[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 국적의 그래플러이자 [[브라질리언 주짓수]] 블랙벨트이다. == 전적 == * 주요 승: [[크레이그 존스]](3), 루카스 바르보자(2), 카이난 두아르테, [[개리 토논]], '''[[마커스 알메이다]]''', [[보 니칼]], 가브리엘 곤자가, [[팻 다우니]], 제이콥 카우치, 펠리페 페냐, [[닉 로드리게스]](2), '''[[안드레 갈벙]]''', 페트릭 가우디오 * 주요 패: 펠리페 페냐(2), 레안드로 로 == 커리어 == === 2016 === 6개월간의 브라운 벨트를 끝으로, 2016년 2월 게리 토넌으로부터 블랙 벨트를 하사받았다. 2016년 4월 24일 EBI에서 우승하였다. 노 타임 리미트 매치에서 키넌 코넬리우스와 맞붙어 힐훅으로 그를 잡아냈다. === 2017 === 2017년 9월, ADCC에 출전해 딜런 데니스, 호물로 바할, 잰데 리베이로, 키넌 코넬리우스를 꺾고 -88kg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지만 무제한급 결승전에서 펠리페 페나에게 패하면서 무제한급 2위를 차지했다. 그는 EBI 타이틀을 한 번 더 획득하고 카사이 프로에서 유리 시모스를 슈퍼파이트에서 꺾고 2017년을 마무리했다. === 2018 === 2018년 9월 IBJJF Pan No Gi에 출전하여 체급과 무제한급 모두 서브미션으로 우승했습니다. 퀸텟의 2018년 토너먼트인 퀸텟 3에서 팀 알파메일으로 참가하여 [[조쉬 바넷]]과 마르코스 소우자를 상대로 서브미션 승리로 팀 알파메일이 결승에 진출했다. [[크레이그 존스]]와 리베이로를 상대로 서브미션 승을 거두어 토너먼트에서 팀의 최종 승리를 얻었다. 그는 또한 캘리포니아에서 열린 IBJJF World No GI에 출전하여 체급과 무제한급 모두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 2019 === 2019년 고든 라이언은 텍사스 댈러스에서 열린 KASAI 슈퍼 시리즈 슈퍼파이트에 출전해 경기는 이겼지만 힐 훅을 위해 엔트리를 시도하다가 무릎이 여러 번 터지고 LCL이 찢어지는 얽힘이 있었다. 이 부상으로 인해 약 6개월 동안 경쟁에서 벗어날 것으로 예상되었다. 2019년 9월, 심하게 붕대를 감고 부상을 입은 채 ADCC에 출전하게 되었다. 부상에도 불구하고 -99kg급과 무제한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보 니칼]]을 하이브리드 룰[* 하체관절기 금지]에서 트라이앵글 초크로 탭을 받았다. === 2020 === 2020년 10월 2일, ADCC 2019 세계 챔피언인 마테우스 디니즈와 맞붙어 30분의 온리 서브미션 룰 시합에서 힐 훅으로 승리했다. 2020년 말에 뉴저지 지역을 떠나 코치인 존 다나허 및 팀의 멤버들과 함께 푸에르토리코로 이주하여 새로운 체육관을 열기로 결정했다. === 2021 === 2021년 7월, DDS(다나허 데스 스쿼드)가 '''해체'''되고 라이언이 텍사스 오스틴에 자신의 아카데미를 열 것이라고 밝혔다. === 2022 === 2022년 9월, ADCC에서 +99kg급과 안드레 갈벙을 상대로 슈퍼파이트에서 모두 경쟁하였다. 결승전에서 닉 로드리게스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하며 체급을 정리하였다. 또한 11초 만에 아웃사이드 힐 훅으로 탭을 받으면서 ADCC 역사상 최단시간 탭을 기록하였다. 그래플링 역사상 큰 기대를 모았던 경기에서 안드레 갈벙을 상대했고 2017년 이후로 한 번도 패한 적이 없는 안드레 갈벙을 리어 네이키드 초크로 잡아냈다. 또한 ADCC 역사상 최초의 세 개의 다른 체급[* 2017년 -88kg, 2019년 -99kg, 2022년 +99kg]에서 챔피언이 되었다. 2022년 12월 15일, UFC Fight Pass Invitational 3에서 닉 로드리게스와 다시 한번 맞붙었고 이번에는 연장전에서 더 빠른 시간에 백에서 빠져나오면서 승리했다. === 2023 === 2023년 1월, 라이언은 Flosports와 멀티파이트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펠리페 페나의 4차전은 원래 2023년 2월 25일 WNO에서 열릴 예정이었지만 경기 이틀 전 일주일 동안 앓았던 복부 문제로 기권했고 닉 로드리게스로 교체되었다. 2023년 상반기 경기에 출전하지 않은 이유가 페니실린에 내성이 있는 스트렙 인후염의 심각한 증상을 앓아 편도 절제술을 받아야 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2023년 10월 1일 WNO 20: Night of Champions에서 페트릭 가우디오를 상대로 복귀할 것이라고 발표했고 자신의 미스터리 박스에서 예측한 대로 암바를 통한 서브미션으로 경기에서 승리하고 타이틀을 유지했다. 2023년 11월 30일 Tezos WNO 21에서 루카스 바르보자를 상대로 헤비급 타이틀을 방어할 예정이다. == 파이팅 스타일 == 과거 노기 대회에서부터 컬러타이로 목 잡고 셋업으로 앉으면서 버터플라이 가드로 시작해 스윕하는 게임을 좋아했다.여러 변형 게임 양상으로는, 컬러타이 목 잡다가 앉으면서 오금을 잡아당겨서 아시 가라미에서 그냥 힐 훅을 노리는 경우[* 실제 이것으로 ADCC 2022에서 11초만에 서브미션 승리를 거둔 적이 있다.], 똑같이 목 잡다가 앉아서 다리로 훅 던지면서 스윕을 노리는 경우등등이 있다. 버터플라이 가드로 스윕한 후에는 마운트에서 양 팔을 모두 트랩하면서 누르는 게임들을 보여줬다[* 고든이 점점 체급을 올리면서 더욱 강력해지고 있다.]. 트라이앵글이나 암바 같은 강력한 서브미션을 시도하기 위해서인데, 트랩을 시도하다가도 기무라나 암 트라이앵글, 잘만 노린다면 백까지 노려볼 수 있는 게임이다. 서로 스텐딩에서 대치할 때는 오른손 컬러 타이로 목 잡고, 왼 손으로 암 드래그 하다가 3/4 마운트를 노릴 수 있는 니 탭을 주로 사용한다. 물론 기본적인 태클 같은 테이크다운 기술도 잘 사용한다. 하체 관절기에도 도가 텄는데, 상대 행동에 따라서 같이 돌거나 따라가면서 힐 훅으로 승리하는 게임을 많이 보여준다. == 여담 == [[존 존스]]와 스파링을 통해 기술 교류를 한 적이 있다. 자신은 [[스테로이드]]를 쓴다고 공공연하게 밝히고 다니며 격투기선수들도 스테로이드를 사용하여 퍼포먼스를 높여서 관객들에게 즐거운 경기를 보여야 한다는 말을 한적이 있으며 이에 [[마크 헌트]]등 여러 파이터들이 비판을 한적이 있다. 이에 라이언은 마크 헌트를 거지라고 조롱하였으며 스테로이드로 강화된 몸은 쉽게 다치지않고 회복도 빠르다고 받아쳤다 이에 다른 파이터가 약물을 사용해서 강해진 타격에 데미지를 입은 뇌는 회복되지 않는다고 하니 입을 다물었다. [[인스타그램]]을 보면 [[보디빌딩]] 관련 글들이 꽤 있다. [[분류:미국의 주짓수 선수]][[분류:1995년 출생]][[분류:미들섹스 카운티(뉴저지)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