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일반 마법]][[분류:유희왕/러시 듀얼/일반 마법]]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일반 마법 카드. == 설명 ==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1254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고대의 룰, 일어판명칭=(いにしえ)のルール, 영어판명칭=Ancient Rules, 효과1=패에서 레벨 5 이상의 일반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네오스의 공격]]에서 등장한 일반 마법. 고레벨 [[일반 몬스터]]를 패에서 특수 소환하는 효과를 가졌다. [[블랙 매지션]], [[푸른 눈의 백룡]] 등의 레벨 5 이상의 [[일반 몬스터]] 1장을 패에서 그냥 떡하고 소환할 수 있는 카드. 다만, [[듀얼(유희왕)|듀얼]] 몬스터는 오로지 필드 / 묘지에서만 일반 몬스터 취급이라서 소환할 수 없다. 패에서 썩기 쉬운 상급이나 최상급 [[일반 몬스터]]를 특수 소환시켜주므로, 일반 몬스터 이용의 폭을 넓혀주는 카드. 상급 일반 몬스터를 서치하는 [[소환사의 스킬]]이나 묘지의 일반 몬스터를 샐비지하는 [[어둠의 양산공장]]과 같이 사용하여 발동을 서포트할 수도 있다. 동시에 소환권도 쓰지 않으니 특수 소환한 몬스터를 릴리스하여 [[위대한 마수 가젯트]]를 [[어드밴스 소환]]하거나 각종 엑스트라 덱 몬스터의 소재로 활용하는 등의 콤보도 가능하다. 다만 상급 일반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것이라면 [[펜듈럼 소환]]으로도 충분히 가능한 경우가 많으며, 최상급 몬스터는 전용 특수 소환 수단을 가진 경우도 많다. 주로 전용 서포트 카드가 없는 [[가가기고#고기가 가가기고|고기가 가가기고]] 등의 몬스터를 채용했을 경우에 같이 사용하는 것이 좋겠다. 애초에 쓸만한 최상급 일반몬스터라면 그 시점에서 불러낼 수단들이 많아서 고대의 룰을 쓸 이유는 없다. 대표적으로 [[블랙 매지션]]이나 [[푸른 눈의 백룡]]은 패도 아니고 아예 '''덱에서''' 불러낼 수단도 차고 넘친다. 또한 [[소환사의 스킬]]의 경우 다양한 일반 몬스터 서포트의 트리거가 될 뿐, 직접 뭘 하는 경우는 전무하기 때문에 별다른 시너지가 없다. 패의 카드 2장을 써서 푸른 눈의 백룡을 불러냈다고 해도 이미 귀중한 패를 2장이나 써버린 거라는걸 감안하면 이 콤보는 그닥 효율적이지는 못하다. 모티브는 OCG 초창기의 [[마스터 듀얼|공식 룰]]로 보인다. 초창기에는 효과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공식 룰상 고레벨 몬스터라도 릴리스 없이 통상 소환할 수가 있었다. 두루마리에 그려져 있는 용의 형상은 [[갤럭틱 오버로드]]에서 나온 [[일렉테일 드래곤]]과 흡사하게 생겼다.[* 따로 밝혀진 게 없어서 [[푸른 눈의 백룡]] 아니냐라는 추측이 있었는데 해당 카드에는 대놓고 고대의 룰이라는 텍스트가 있기 때문이다.] 고대의 룰이란 이름은, '''제물을 바치지 않고 상급 몬스터를 소환할 수 있던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주니어 룰]] 시절'''을 뜻하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효과도 그것을 재현한 것으로 보이기에 더더욱. 그런데 일렉테일 드래곤의 플레이버 텍스트를 보면 사실은 그냥 '''동물 보호'''가 그 내용일지도 모른다(…) 혹은 룰이 하나가 아니라 몇 개가 될 수도 있기도 하다. [[극장판 유희왕 시공을 초월한 우정]]에서 [[어둠의 유우기]]가 [[패러독스(유희왕)|패러독스]]와의 듀얼 중 사용. 첫 턴에 패에서 레벨 7인 [[블랙 매지션]]을 특수 소환했다. [[유희왕 ARC-V]] 특별 단편 만화에서는 [[아카바 레이지]]가 [[사카키 유우야]]와의 듀얼에서 사용했으며, 효과로 [[탈와르 데몬]]을 특수 소환했다.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06-11-1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TON-JP037 | '''[[네오스의 공격|STRIKE OF NEO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2-01-0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TP20-JP009 | [[토너먼트 팩|トーナメントパック2011 Vol.4]]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2-05-1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E01-JP097 | [[프레셔스 팩|DUELIST EDITION Volume 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7-02-2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TON-EN037 | '''[[네오스의 공격|STRIKE OF NEO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L)] || ||<(> 2008-09-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CP07-EN019 | CHAMPION PACK GAME SEVE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1-12-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L13-EN016 | DUELIST LEAGUE 1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3-12-0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YSYR-EN034 | [[스타터 덱|STARTER DECK YUGI RELOADED]]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6-10-0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DK2-ENK27 | LEGENDARY DECKS II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8-03-0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CKC-EN039 | LEGENDARY COLLECTION KAIBA MEGA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08-01-22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TON-KR037 | '''[[네오스의 공격]]'''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2-07-0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TP13-KR009 | [[토너먼트 팩|토너먼트 팩 Vol.1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3-10-0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AE02-KR021 | [[어드밴스드 이벤트 팩|어드밴스드 이벤트 팩 Vol.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4-03-18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PC02-KR022 | [[프레셔스 팩|프레셔스 팩 Vol.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유희왕 러시 듀얼]] === [[파일:古のルール(GRD0).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고대의 룰, 일어판명칭=(いにしえ)のルール, 영어판명칭=Ancient Rules (미발매), 조건=없음, 발동효과=패의 일반 몬스터(레벨 5 이상) 1장을 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레벨 5 / 6의 몬스터를 꺼내면 그냥 어드밴스 소환과 소비되는 카드 양이 다를 게 없으니 이 카드를 쓰는 의미가 덜하다. 따라서 웬만하면 레벨 7 이상을 꺼내 어드밴스 소환에 드는 것보다 적은 소비로 전개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 될 텐데, 레벨 7의 일반 몬스터를 불러내는 용도라면 묘지에도 대응하는 [[시크릿오더]]가 이미 존재하고, 레벨 8 이상의 일반 몬스터는 턱없이 적다는 것이 문제. 사실상 [[시크릿오더]]의 하위 호환이 되는 셈이지만, 해당 카드의 성능이 워낙 강한 것이지 이 카드가 약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패러렐 오더 덱들은 이 카드와 시크릿오더를 모두 투입하는 식으로 덱을 구축하고 있다. 더군다나 시크릿오더는 그 성능 때문에 현재 제한 카드이다. [[유희왕 고 러시!!(코믹스)|유희왕 고 러시!! 코믹스]]에서는 [[유디아스 벨갸]]가 [[냥데스타]]와의 듀얼 중 사용. 선공 첫 턴에 바로 발동하여 [[갤럭티카 오블리비언]]을 특수 소환했다. ||수록 시리즈 || ||<(> 2022-04-2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GRD0-JP010 | '''[[고 러시 덱|ゴーラッシュデッキ ボーナスカード]]'''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2-08-23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RD/GRD0-KR010 | '''[[고 러시 덱|고 러시 덱 보너스 카드]]'''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