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세계의 섬들)] [include(틀:전라남도의 섬)] ||<-2> '''{{{#black {{{+2 고금도}}}[br]古今島[br]Gogeumdo}}}'''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고금도.png|width=100%]]}}} || [목차] == 개요 == 고금도(古今島)는 [[전라남도]] [[완도군]] 고금면에 속한 섬으로 면적 43.23km2, 해안선 길이 80.3km이며 [[완도]] 동북쪽에 위치해 있다. 섬의 동쪽으로는 [[조약도]][* 약산면의 본섬 이름, 면의 이름과 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본섬의 이름이 다르다.]와 연도교로 연결 되어 있고, 더 동쪽에는 [[평일도]][* 금일읍의 본섬 이름, 읍의 이름과 읍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본섬의 이름이 다르다.], [[생일도]], [[금당도]]가 위치해 있다. 북쪽으로는 [[강진군]] 마량면과 고금대교로 연륙되어 있다. 남쪽으로 접해있는 [[신지도]]와는 [[장보고대교]][* 장보고대교가 건설되기 이전에는 [[완도군]]에 속하지만 [[완도]]와는 연륙되어 있지 않아 차량으로 이동 할 경우 [[강진군]]과 [[해남군]]을 거쳐 이동해야 하며 2시간 정도 걸렸다.]로 연결되어 있으며, 차량으로 이동 할 경우 [[신지도]]를 거쳐 15분 정도면 완도 읍내까지 갈 수 있다. == 지명의 유래 == 예로부터 섬 내에 군자(君子)가 많이 살았다 하여 고금도(古今島)라 불렀다고 한다. == 묘당도 이충무공 유적 == [[파일:묘당도 충무사.jpg]] 고금도는 이순신 장군이 정유재란 당시 조선 수군 통제영을 새로 설치한 곳이고, [[노량해전]]에서 전사한 충무공을 유해를 임시로 안치했던 곳이기도 하다. 원래는 한산도에 있었으나 칠천량해전때 파괴되었다. 이러한 인연으로 고금도에는 이충무공의 사당과 충무공을 임시로 안치했던 가묘지가 남아 있으며, 이 유적들은 [[대한민국의 사적|사적]] 제114호 완도 묘당도 이충무공 유적(莞島 廟堂島 李忠武公 遺蹟)으로 지정되어 있다. 묘당도라는 이름처럼 본래 사당이 있던 곳은 별개의 섬이었지만, 지금은 간척되어 고금도와 완전히 연결되어서 별개의 섬임을 알아볼 수는 없다. == 교통 == 2007년 개통된 고금대교를 통해 육지인 [[강진군]] 마량면과 연결[* 사람들이 고금도에 살게 된지 623년 만에 육지와 연결되었다고 한다.] 되었고, 고금대교를 통해 육지로 나갈 수 있게 되었다. 버스로는 [[유스퀘어|광주]]에서 시외버스가 고금도까지 운행되면서 시외교통도 섬치고는 편리하다. 동쪽의 [[조약도]]와는 1999년 개통된 약산대교로 연도되어 있어서 광주에서 시외버스가 하루에 4번은 약산당목항까지 연장운행한다. 남쪽의 [[신지도]]와는 [[장보고대교]]로 연결되어 있다. 특히 2017년 11월 28일 [[장보고대교]]가 개통되면서 고금도와 [[신지도]]가 연결되고, 신지도를 거쳐 [[완도]] 본섬으로도 오갈 수 있게 되면서 [[완도군]]의 중심지인 완도읍으로의 접근성이 개선되었다. 한때 [[서울남부터미널|서울남부]]에서 출발해 [[빛가람시외버스정류소|나주혁신도시]], [[영암여객자동차터미널|영암]], [[강진버스여객터미널|강진]], 마량을 경유해 고금도까지 오는 [[시외버스]] 노선이 왕복 일 1회 운행하였으나 수요 부족으로 [[영암여객자동차터미널|영암]]으로 단축되어 고금도까지는 운행을 하지 않게 되었다. 따라서 현재는 고금도에서 [[서울특별시|서울]]로 가려면 무조건 [[유스퀘어|광주]], [[강진버스여객터미널|강진]]에서 환승을 해야 한다.[* 이후 단축된 서울남부 - 영암 노선도 [[코로나 19]] 여파로 완전히 폐지되었으며, [[시외버스 서울호남-강진|서울 ↔️ 강진]] 노선이 그 뒤를 잇고 있으나 이 노선 또한 고금도로 들어오진 않는다.] == 교육 == [[완도군]] 내에서는 완도읍, 노화읍 다음으로 인구[* 면소재지이지만 같은 지자체의 금일읍보다 인구가 많다.] 가 많아 5,000명이나 되기 때문에 학령 인구가 제법 있다. 고등학교 1개교를 비롯하여 중학교 1개교, 초등학교 1개교가 있다. 취소선: 폐교된 학교 초등학교 : [[고금 초등학교]], --고금남초등학교--, --고금초등학교덕동분교-- 중학교 : 고금중학교 고등학교 : 고금고등학교 == 유배지 == 조선 시대 때 여느 섬들처럼 이곳도 유배지로 이용되었다. 이곳에 유배된 유명인으로는 [[홍봉한]]의 동생이자 [[혜경궁 홍씨]]의 숙부인 [[홍인한]]과 [[동학농민운동]]을 촉발 시켰던 탐관오리 [[조병갑]], 추사 [[김정희]]의 아버지 '김노경' 등이 있다. == 여담 == [youtube(Ui3spVjIrRE&t=358s)] [[https://www.youtube.com/watch?v=Ui3spVjIrRE&t=358s|해당 유튜브 동영상]] [[Loud G]]의 [[피킷리스트]]에서 이곳을 다녀갔다. == 출신 유명인 == [[박광태]] : 9·10대 광주광역시 시장, 14·15·16대 국회의원 [[김영록]] : [[전라남도지사]], 前 [[농림축산식품부장관]], 18·19대 국회의원 [[분류:다도해의 섬]] [[분류:전라남도의 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