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국의 역사)] [include(틀:고구려의 대외관계)] [목차] [clearfix] == 개요 == [[고구려]]와 [[옥저]]의 관계이며 고구려가 옥저를 멸망시킨 [[서기]] [[285년]]까지 관계가 있었다. == 역사 == 옥저는 국가 부족 집단이었기에 고구려의 단결력은 따라갈 수 없었고, [[북옥저]], [[남옥저]], [[동옥저]] 등으로 나뉘어 고구려에 차근차근 복속당했다. 옥저는 옥저만의 풍속을 만들어가며, 정체성을 확립했으나, 동옥저는 [[태조대왕]] 56년, 학계에 이견 없이 멸망당했으며, [[북옥저]]는 28년 [[동명성왕]]에게 멸망당했다고 알려져있으나, 244년 [[관구검]]의 침략에 고구려에 귀속되었다는 기사도 있다. 후에 북옥저 지역에 [[모용선비]]의 공격을 받은 [[북부여]] 왕가가 자리잡고, 이 나라를 [[동부여]]라고 부르나 옥저를 이어받진 않았다. 285년 북옥저를 마지막으로 옥저는 멸망했다고 보고 있으나, 지역 향토세력, 지역 토호가 그 고을에서 관리를 맡는게 [[조선]] 전[* 그 조선도 [[이시애의 난]] 이전까지 향토 세력이 자리잡고 있었으며, [[세조(조선)|세조조]] 이후에도, 아니 지금까지도 그 지역 사람은 선출직 공무원 선거에서 더 유리하다.]까지 일반적이었다. 삼국사기를 보면 영양왕 22년(AD 611) 수양제는 고구려를 정벌하려고 좌12군(左十二軍)은 1) 누방, 2) 장잠, 3) 명해, 4) 개마, 5) 건안, 6) 남소, 7) 요동, 8) 현도(玄菟), 9) 부여, 10) 조선, 11) 옥저(沃沮), 12) 낙랑(樂浪) 등의 길(道)로 나아가고, 우십이군(右十二軍)은 1) 점선, 2) 함자, 3) 혼미, 4) 임둔(臨屯), 5) 후성, 6) 제해, 7) 답돈, 8) 숙신, 9) 갈석, 10) 동이, 11) 대방(帶方), 12) 양평 등의 길(道)로 나아가 계속 진군하여 평양에 총 집합하라.“고 하였다. 옥저는 수양제 좌12군의 11번째 진격로에 위치해 있으며, 요동, 현도, 낙랑 등과 함께 수나라에서 고구려 평양을 향해 진격하는 고구려의 영토에 옥저가 포함되어 있었다. == 같이 보기 == * [[여제관계]] * [[신라-고구려 관계]] [[분류:고구려]][[분류:예맥]][[분류:원삼국시대]][[분류:과거의 외교 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분류:나무위키 한국사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