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고구려)] [include(틀:고구려)] [목차] == 개요 == 연대 순으로 정리한 [[고구려]]사 연표. 논란이 있는 경우는 가장 합리적인 것이나 통설을 취하되 이설을 주석 처리한다. 월일까지 기록이 남아있는 경우는 월일까지 기록한다. == 건국 이전 == * 기원전 3세기경: 압록강 중류 일대에 [[적석총]] 무덤 양식으로 대표되는 인구 집단이 형성되었다.[* 북한 학계에서는 일부 문헌 기록을 바탕으로 기원전 277년에 고구려가 건립되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다만 해당 주장은 다른 문헌들과 교차 검증이 되지 않으므로 실제 역사적 사실과는 거리가 멀 가능성이 높다. 자세한 사항은 [[고구려/역사#s-2.1]] 문서 참조.] * 기원전 107년: [[전한]]에 의해 [[현도군]]이 설치되었으며, 치소는 고구려현(高句麗縣)이었다.[*B [[한서]]] * 기원전 75년: 원고구려 세력에 해당하는 이맥(夷貊)의 침범으로 인해 현도군이 축출되었다.[*C [[정사 삼국지|삼국지]]] * 기원전 58년 [[4월]]: [[추모성왕]]이 [[북부여]]에서 출생하였다. == 건국 이후 == === 졸본성 시기 === * 기원전 37년: 고구려 건국, [[추모성왕]] 즉위. [[말갈]] 복속 * 기원전 36년 [[6월]]: [[송양]]이 나라를 바치며 항복. 그곳을 다물도로 개칭하고, 송양을 그곳의 군주로 봉함.[* [[고구려어]]로 옛 땅을 회복한 것을 '[[다물]]'이라 하기 때문에 그곳의 명칭으로 삼은 것이다.] * 기원전 35년 [[3월]]: [[황룡]](黃龍)이 골령(鶻嶺)에 나타났다. * 기원전 35년 [[7월]]: 상서로운 구름이 골령 남쪽에 나타났는데 그 빛깔이 푸르고 붉었다. * 기원전 34년 [[4월]]: [[구름]]과 [[안개]]가 사방에서 일어나 7일 동안이나 사람들이 색깔을 분별하지 못했다. * 기원전 34년 [[7월]] [[졸본성]]과 [[궁궐]]을 완성했다. * 기원전 32년 [[8월]]: 이상한 [[새]]가 대궐에 날아 들었다. [[겨울]] [[10월]] [[오이]]와 [[부분노]]가 [[태백산]] 동남방에 있는 [[행인국]]을 공격하여 멸망시켰다. 그 땅을 성읍으로 삼았다. * 기원전 28년 [[9월]]: 난새가 왕대에 모였다. 겨울 [[11월]] [[부위염]]이 [[북옥저]]를 격멸하고, 그 지역을 성읍으로 만들었다. * 기원전 24년 [[8월]]: 추모왕의 [[어머니]] [[유화부인|유화]]가 [[동부여]]에서 죽었다. 동부여 [[왕]] [[금와왕|금와]]가 [[태후]]의 예로 장사지내고, 그의 신묘를 세웠다. 겨울 10월 [[사신(외교)|사신]]을 [[부여]]에 보내 토산물을 주어 그 은덕에 보답했다. * 기원전 19년 4월: 추모왕의 [[아들]] 유리가 부여로부터 그 어머니와 함께 도망해오니, 추모왕이 기뻐하여 [[태자]]로 삼았다. 가을 9월 추모왕 [[붕어]]해 [[용산#s-5]]에 장사지내고, [[호]]를 동명성왕이라 했다.[* [[광개토대왕릉비]]에는 호가 추모왕이라 나와있다.] [[유리왕]]이 즉위했다. * 기원전 18년 가을 7월: 다물후 송양의 딸을 [[왕비]]로 맞았다. 9월 서쪽 지방으로 사냥을 나가 흰 [[노루]]를 잡았다. 겨울 10월 이상한 새들이 대궐에 모였다. * 기원전 17년 가을 7월: 골천에 이궁을 지었다. 겨울 10월 왕비 송씨가 죽었다. 유리왕이 골천 사람의 딸 [[화희]]와 [[한나라]] 사람의 딸 [[치희]]를 왕비로 맞는다. * 3년: 국내성으로 천도했다.[*A [[삼국사기]]] === 국내성 시기 === * 12년: [[왕망]]의 [[흉노]] 공격에 고구려인이 징발된다. 고구려인은 모두 새외로 나가 도적질했고, 왕망은 엄우로 하여금 고구려 장수 연비(延丕)[* 또는 구려후(句麗侯) 추(騶). 한서, 후한서, 양서, 북사 등에서 이 인물을 지목하고, [[정사 삼국지|삼국지]]에서는 구려후 도(騊)라고 한다.]의 목을 베게 하고 수도 장안으로 보낸다. 왕망은 고구려왕을 하구려후라고 고쳐 부른다.[*A][*B] * 13년 겨울 11월: [[부여]] 사람들이 침입하자 [[유리명왕|임금]]은 아들 [[대무신왕|무휼]]을 시켜 군대를 통솔하여 막게 하였다. * 14년 봄 정월: [[대무신왕|왕자 무휼]]을 [[태자]]로 삼아 군사와 국정의 일을 맡겼다. * 18년 겨울 10월: [[유리명왕|임금]]이 두곡의 이궁에서 돌아가셨다. 두곡의 동원(東原)에 장사 지내고 호를 유리명왕(瑠璃明王)이라고 하였다. [[대무신왕|대무신왕(大武神王)]]이 왕위에 올랐다. * 20년 겨울 10월: 부여왕 [[대소왕|대소(帶素)]]가 사신을 통해 붉은 [[까마귀]]를 보내왔다. 그 까마귀의 머리는 하나이고 몸은 둘이었다. * 22년 봄 2월: [[대무신왕|임금]]이 부여국 남쪽으로 진군하였다. [[괴유]]가 [[대소왕|부여왕]]을 붙잡아 목을 베었다 * 26년 겨울 10월: 임금은 직접 개마국(蓋馬國)을 정벌하여 그 왕을 죽였다. 12월: 구다국(句茶國)왕이 개마국이 멸망했다는 소식을 듣고, 자기에게도 화가 미칠까 두려워하여 나라를 들어 항복하였다. * 37년: [[대무신왕|임금]]이 [[낙랑]]을 습격하여 멸망시켰다. * 44년 가을 9월: [[광무제|한나라 광무제]]가 병사를 보내 바다를 건너와서 낙랑을 정벌하고, 그 땅을 빼앗아 군현을 만들었다. 이에 따라 살수(薩水) 이남이 [[한나라]]에 속하게 되었다. 겨울 10월: 임금이 돌아가셨다. 그를 대수촌(大獸村) 언덕에 장사지내고, 호를 [[대무신왕|대무신왕(大武神王)]]이라 하였다. [[민중왕|대무신왕의 아우]]가 왕위에 올랐다. *48년: [[민중왕|임금]]이 돌아가셨다. 호를 민중왕(閔中王)이라 하였다. [[모본왕|대무신왕의 맏아들]]이 왕위에 올랐다. * 51년: [[모본왕|임금]]이 날이 갈수록 포악해져 [[연산군|앉을 때에는 사람을 깔고 앉고, 누울 때에는 사람을 베고 누웠다. 만일 사람이 움직이기라도 하면 가차 없이 죽였으며, 신하 가운데에서 간하는 이가 있으면 활을 당겨 그를 쏘았다.]] * 53년 겨울 11월: 두로(杜魯)가 [[모본왕|임금]]을 죽였다. 마침내 [[모본왕|그]]를 모본 언덕에 장사 지내고, 호를 모본왕(慕本王)이라 하였다. [[태조대왕|유리왕의 아들 고추가의 아들]]이 왕위에 올랐다. * 55년 봄 2월: 요서에 열 개의 성을 쌓아 [[한나라]] 병사의 침략에 대비하였다. * 56년 가을 7월: [[동옥저|동옥저(東沃沮)]]를 정벌하고 그 땅을 빼앗아 성읍으로 삼았다. 국경을 개척하여 동으로는 '''창해(滄海)''', 남으로는 '''살수(薩水)'''에 이르렀다. *68년 가을 8월: 갈사왕(曷思王)의 손자 도두(都頭)가 항복해왔다. *121년: [[부여왕]]이 아들 위구태(尉仇台)를 보내 병사 2만 명을 거느리고, [[한나라]] 병사와 힘을 합쳐 막고 싸우니 [[고구려]] 군사가 크게 패하였다. * 124년 겨울 10월: [[한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A] * 146년: [[태조대왕|임금]]은 왕위를 내어주고 별궁으로 물러나 태조대왕이라고 칭하였다.[*D [[후한서]]] [[차대왕|태조대왕의 친동생]]이 왕위에 올랐다. * 165년 3월: [[태조대왕]]이 별궁에서 돌아가시니 나이가 119세였다. 겨울 10월: [[명림답부|명림답부(明臨荅夫)]]가 백성들의 고통을 참지 못하고 임금을 시해하였다. 호를 차대왕(次大王)이라 하였다. [[신대왕|태조대왕의 막내동생]]이 77세의 나이로 왕위에 올랐다. * 166년: [[명림답부]]를 [[국상|국상(國相)]]에 임명했다. * 168년: 한나라 현도군 태수 [[경림|경림(耿臨)]]이 침입해 우리 군사 수백 명을 죽였다. [[신대왕|임금]]이 스스로 항복하고 현도에 속하기를 빌었다.[*A] * 172년: [[한나라]]에서 많은 병사를 이끌고 [[고구려]]를 쳐들어왔지만 [[명림답부]]가 수천 명의 기병을 거느리고 싸우니 [[대패|한나라 군사들은 크게 패하여 한 마리의 말도 돌아가지 못하였다.]] * 179년 가을 9월: 국상 [[명림답부]]가 죽으니, 나이가 113세였다. 겨울 12월: [[신대왕|임금]]이 돌아가셨다. 고국곡(故國谷)에 장례를 지내고, 호를 신대왕(新大王)이라 하였다. [[태조대왕|신대왕의 둘째 아들]]이 왕위에 올랐다. * 191년: [[을파소]]를 국상에 앉히고 지성으로 나라를 받들어 정교를 밝히고 상벌을 신중하게 하니, '''백성들이 편안하고 나라 안팎이 무사하였다.'''[*A] * 194년: [[진대법|관리들에게 명하여 매년 봄 3월부터 가을 7월까지 관청의 곡식을 내어 백성들의 식구 수에 따라 차등 있게 빌려 주었다가 겨울 10월에 상환하게 하는 것을 법규로 정하였다. 모든 백성들이 크게 기뻐하였다.]][*A] * 197년: [[황건적의 난|중국에 큰 난리]]가 일어나 한나라 사람들이 난리를 피해 항복하여 오는 자가 대단히 많았다.[*C][*D] 5월: [[고국천왕|왕]]이 돌아가셨다. 고국천(故國川) 언덕에 장사 지내고, 호를 고국천왕(故國川王)이라 하였다. [[고국천왕의 동생|산상왕]]이 왕위에 올랐다. * 203년 가을 8월: 국상 [[을파소]]가 죽으니 온 나라 사람들이 통곡하였다. [[산상왕|임금]]은 고우루(高優婁)를 국상으로 삼았다. * 217년 가을 8월: 한나라 평주(平州) 사람 하요(夏瑤)가 백성 1천여 가(家)를 이끌고 항복해 왔다. * 227년 5월: [[산상왕|임금]]이 돌아가셨다. 산상릉(山上陵)에 장사 지내고, 호를 산상왕(山上王)이라 하였다. [[동천왕|산상왕의 아들]]이 왕위에 올랐다. * 234년: [[위(삼국시대)|위나라]]에서 사신을 보내 화친하였다. * 236년 2월: [[오(삼국시대)|오나라]]의 왕 [[손권|손권(孫權)]]이 사신 호위(胡衛)를 보내 화친을 청하였다. [[동천왕|임금]]이 그 사신을 잡아두었다가 가을 7월에 이르러 그의 목을 베어 위나라로 보냈다. * 238년: 위나라 [[사마의|태위(太尉) 사마선왕(司馬宣王)]]이 무리를 이끌고 [[공손연|공손연(公孫淵)]]을 쳤다. [[동천왕|임금]]이 주부(主簿)와 대가(大加)를 보내 병사 천 명을 이끌고 [[위(삼국시대)|그들]]을 돕게 하였다. * 242년: [[동천왕|임금]]이 장수를 보내 [[요동]]의 '''서안평(西安平)'''을 습격하여 깨뜨렸다. * 246년 가을 8월: 위나라가 [[관구검|유주자사(幽州刺史) 관구검(毌丘儉)]]을 보내 만 명을 거느리고 현도(玄菟)에서 나와 침입하였다. * 248년 2월: [[신라]]가 사신을 보내와 화친을 맺었다. 가을 9월: [[동천왕|임금]]이 돌아가셨다. 시원(柴原)에 장사를 지내고, 호를 동천왕이라 하였다. [[중천왕|동천왕의 아들]]이 왕위에 올랐다. * 270년 겨울 10월: [[중천왕|임금]]이 돌아가셨다. 중천(中川)의 언덕에 장례를 지내고, 호를 중천왕(中川王)이라 하였다.[*A] * 402년: [[후연]]의 [[숙군성]]을 공격하자 [[평주자사]] [[모용귀]]가 [[성(건축)|성]]을 버리고 도주함.[*A] 후연의 [[평주]]를 함락시킴.[* [[십육국춘추]]] === 평양성 시기 === == 멸망 이후 == == 연대 불명 == == 기타 사건 == == 이모저모 == * 삼국사기 기록으로만 보면 태조왕은 고구려 700년 역사의 1/7 이상을 혼자 쌈싸먹은 도인. ~~실제로는 장수왕이 쌈싸먹었지만~~ * 통일 중국과의 전쟁인 [[고구려-수 전쟁]]과 [[고구려-당 전쟁]]은 598년부터 668년까지 정확히 70년간 지속되었다. 중간에 휴지기가 있었다지만 가히 70년간 전쟁이 지속된 대전쟁이었다. == 외부 링크 == * [[http://db.history.go.kr/item/level.do?sort=sequence&dir=ASC&start=0&limit=20&page=1&prevPage=0&prevLimit=&itemId=tcko&levelId=tcko_0001_01_99&types=&searchKeywordType=subjectClass&searchKeywordMethod=LIKE&searchKeyword=%EA%B3%A0%EA%B5%AC%EB%A0%A4&searchKeywordConjunction=OR&searchKeywordType=itemInfo.itemId&searchKeywordMethod=EQ&searchKeyword=tcko&searchKeywordConjunction=AND&searchKeywordType=isLeaf&searchKeywordMethod=EQ&searchKeyword=1&searchKeywordConjunction=AND|한국사 데이터베이스]] [[분류:고구려]][[분류:연표]][[분류:나무위키 한국사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