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인천광역시의 기초자치단체)] [include(틀:계양구의 법정동)] ||<-4> '''[[인천광역시|{{{#000000,#dddddd 인천광역시}}}]]의 [[자치구|{{{#000000,#dddddd 자치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계양구 CI.svg|height=65]]}}}||{{{#!wiki style="margin: -5px 0" '''{{{+1 계양구}}}'''[br]桂陽區[br]{{{-1 Gyeyang-gu}}}}}}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인천광역시 계양구, 너비=100%, 높이=100%)]}}} || ||<-2> '''구청 소재지''' ||<-2> 계산새로 88 (계산동) || ||<-2> '''광역자치단체''' ||<-2> [[인천광역시]] || ||<-2> '''하위 행정구역''' ||<-2> 12[[행정동|동]][* 23개 [[법정동]], 12개 [[행정동]]] || ||<-2> '''면적''' ||<-2> 45.60㎢ || ||<-2> '''인구''' ||<-2> 282,158명[* 2023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o.kr/index.jsp|주민등록인구 통계]]] || ||<-2> '''인구 밀도''' ||<-2> 6,334.56명/㎢ || ||<-2> '''구청장'''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윤환(정치인)|윤환]] {{{-2 (초선)}}} || ||<|2><-2> '''구의회'''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6석[* 계양구 가선거구 (효성1동, 효성2동): 조덕제[br]계양구 나선거구 (작전1동, 작전2동, 작전서운동): 신정숙[br]계양구 다선거구 (계산1동, 계산2동, 계산3동): 조양희[br]계양구 라선거구 (계산4동, 계양1동, 계양2동, 계양3동): 문미혜, 김경식[br]비례대표: 신지수]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4석[* 계양구 가선거구 (효성1동, 효성2동): 정춘지[br]계양구 나선거구 (작전1동, 작전2동, 작전서운동): 여재만[br]계양구 다선거구 (계산1동, 계산2동, 계산3동): 황순남[br]계양구 라선거구 (계산4동, 계양1동, 계양2동, 계양3동): 이상호] || ||<-2> [[인천광역시의회|{{{#ffffff '''시의원'''}}}]]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4석[* 계양구 제1선거구 (효성1동, 효성2동): [[조성환(1968)|조성환]] (초선)[br]계양구 제2선거구 (작전1동, 작전2동, 작전서운동): [[김종득]] (재선)[br]계양구 제3선거구 (계산1동, 계산2동, 계산3동): 석정규 (초선)[br]계양구 제4선거구 (계산4동, 계양1동, 계양2동, 계양3동): 문세종 (초선)] || ||<|2> {{{#!wiki style="margin: 0px -10px;" '''국회의원'''}}} || [[계양구 갑|{{{#ffffff '''갑'''}}}]]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유동수]] {{{-2 (재선)}}} || || [[계양구 을|{{{#ffffff '''을'''}}}]]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이재명]] {{{-2 (초선)}}} || ||<|3> '''상징''' || '''구화''' ||<-2> [[진달래]] || || '''나무''' ||<-2> [[은행나무]] || || '''새''' ||<-2> [[까치]] || ||<-2> [[지역번호|{{{#ffffff '''지역번호'''}}}]] ||<-2> '''032''' || ||<-4> [[http://www.gyeyang.go.kr/open_content/main/|[[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3]]]] | [[https://www.facebook.com/happygyeyang/|[[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3]]]]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Happy_Gyeyang, 크기=23)] | [[http://blog.naver.com/gyeyang_gu|[[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3]]]] | [[https://www.youtube.com/channel/UC_CQyYD2xAynkbm2AIIl6A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 [목차] [clearfix] == 개요 == 계양구는 [[인천광역시]]의 동북부에 위치한 [[자치구]]다. 자치구의 이름은 인천 내륙 지역에서 가장 높은 [[계양산]]에서 [[유래]]하였다. 남쪽으로는 [[인천광역시]] [[부평구]], 북쪽으로는 [[경기도]] [[김포시]], 동쪽으로는 [[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남동쪽으로는 [[경기도]] [[부천시]], 그리고 서쪽으로는 [[인천광역시]] [[서구(인천광역시)|서구]]와 맞닿아 있다. [[인천광역시]]의 자치구·자치군 중에서 [[서울특별시]]에 직접 접경해있는 유일한 지역이다.[* [[상야동]]과 [[하야동]]의 동쪽 접경지역이 [[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과해동]]과 [[개화동]]이다. [[동양동]]은 일부 지역이 과해동과 [[오곡동]]과 맞닿는다. 다만 [[김포국제공항]]의 존재로 서울로 바로 갈 수 없기 때문에 [[경기도]] [[김포시]] [[고촌읍]]이나 [[부천시]] [[오정동]]을 통해서 접근이 가능하다.] [[부평구]]와 함께 서울 출퇴근자들의 선호도가 높고 많이 거주한다. 교외화 현상으로 서울의 인구가 경기도, 인천으로 유출되게 되면서 서울 서부 지역에서 계양구로 이사오는 서울 서부 지역 주민도 많은 편. 서울 서부 지역에 가면 계양구나 [[서구(인천광역시)|서구]] 검단 등에 빌라를 분양한다는 광고를 흔히 볼 수 있다. === 상징 === || [[파일:gyeyang slogan.gif|width=100%]] || [[파일:external/www.gyeyang.go.kr/symbol_character.gif|width=100%]] || || '''{{{#fff 슬로건}}}''' || '''{{{#fff 마스코트 신비}}}'''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gyeoyanggu.jpg|width=100%]]}}} || ||<-2> '''[[계양구청|{{{#fff 계양구청}}}]]''' || == 역사 == ||<-11> '''계양구 행정구역 변천사''' || || 주부토군[br](主夫吐郡, 470) || → || 장제군[br](長堤郡, 757) || → || 수주 [br](樹州, 945) || → || 안남도호부[br](安南都護府,[br]1150) || → || 계양도호부[br](桂陽都護府,[br]1215) || → || 부평도호부[br](富平都護府,[br]1413) || ||<|3> → ||<|3> 인천부 부평군[br]/경기도 부평군[br](富平郡, 1895/1896) ||<|3> → ||<|2> [[부천시|부천군]] 부내면[br](富川郡 富內面, 1914) ||<|2> → ||<|2> 인천부 편입[br](仁川府, 1940) ||<|2> → ||<|2> 인천시 북구[br]/인천직할시 북구[br](北區, 1968/1989) || → || '''인천광역시 부평구[br](富平區, 1995)''' || || → ||<|2> '''인천광역시 계양구 [br](桂陽區, 1995)''' || || 부천군 계양면 [br](富川郡 桂陽面, 1914) || → ||<-3> [[김포시|김포군]] 계양면 [br](金浦郡 桂陽面, 1973) || → || [[파일:/image/001/2009/08/30/AKR20090828188600005_03_i.jpg]] 계양산성 유적 계양구 일대를 가장 먼저 장악한 것은 [[백제]]였다. [[백제]]는 [[계양산]]에 [[계양산성]]을 축조하였으며, 오늘날 [[서구(인천광역시)|서구]] 공촌동 일대의 염전에서 생산한 [[소금]]을 수도인 [[위례성]]까지 운반하는 통로로 이용했다. (공촌동 염전 → 징매이 고개 → 계양구 → 신정동토성 → 한강 → [[위례성]]) [[계양산성]]에서는 4세기 대의 [[논어]] 목간이 발견되어 생각보다 [[백제]]의 [[유교]] 서적 도입이 빨랐다는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다. [[파일:external/www.hkbs.co.kr/136660730101.jpg]] 논어 목간 백제 이후 [[한강]] 일대를 장악한 [[고구려]]는 현 계양구, [[부평구]], [[서구(인천광역시)|서구]](검단 제외), [[부천시]], [[서울특별시]] [[구로구]] 서부 일대를 관할하는 주부토군(主夫吐郡)을 설치했다. [[신라]]가 통일을 이룩하면서 한주(漢州)에 속하게 되었다. [[경덕왕]] 때 장제군(長堤郡)으로 고쳤다. 주부토와 장제는 고대어인 '줄보뚝'을 한자로 각각 음차 및 훈차한 것으로, '줄보뚝'은 과거 한강이 범람하여 김포·부평평야 일대가 자주 침수되자 이를 막기 위해 긴 둑을 쌓았다는 데에서 유래한 지명으로 추정된다. [[계양산성]]에서 주부토(主夫吐)라는 글자가 적힌 기와가 발굴된 바 있다. [[파일:/image/001/2009/08/30/AKR20090828188600005_01_i.jpg]] 주부토가 새겨진 명문 기와 [[고려]]가 통일을 이룩하고 943년에 수주(樹州)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의종(고려)|의종]] 4년인 1150년에는 안남도호부(安南都護府), 60년 후인 [[고종(고려)|고종]] 2년(1215년)에 계양도호부(桂陽都護府)로 개편되었다.[* 따라서 2015년은 이름이 정해진 지 '''800년''' 되는 해였다.] [[충렬왕]] 34년인 1308년에는 길주목(吉州牧)으로 승격되었으며, [[매(조류)|매]]사냥을 좋아했던 [[충렬왕]]은 매방이 있는 계양을 자주 찾았으나 2년 후 [[충렬왕]]이 죽고 [[충선왕]]이 즉위하면서 1310년에 부평부(富平府)로 강등되었다. 이때 황어현이 부평부로 흡수되고 양천현이 부평부에서 떨어져 나갔으며 인주는 다시 경원부로 독립하였다.[* 주부토, 장제, 수주, 안남, 길주 등의 옛 이름은 현재 계양구, [[부평구]] 및 [[부천시]] 내의 학교명이나 도로명 등에도 사용되어 그 명맥을 잇고 있다.] 1914년 인천부의 영역이 개항장 일대로 축소되고 인천부의 잔여 지역이 부평군과 통합되어 '''부천군'''이 되면서, 현 계양구 지역은 부천군 [[계양동(계양구)|계양면]]([[계양동(계양구)|계양1·2·3동]]) 및 부내면 북부(계양구 중 [[계양동(계양구)|계양1·2·3동]]을 제외한 나머지 전역)에 해당되었다. 이 중 부내면은 일찍이 1940년에 인천부로 편입되었고, 계양면은 1973년 [[부천시|부천군]]이 폐지되면서 [[김포시|김포군]]으로 넘어갔다가, 1989년 [[인천광역시|인천직할시]] 북구로 편입되었다. 1995년 북구가 [[부평구]]로 명칭을 변경함과 동시에 계양구를 분구[* 종전 북구 중 [[경인고속도로]] 이북 지역.]하면서 현재에 이른다. 내무부 문서에 따르면, 계양산에서 구 이름을 따왔다. 이 지역의 더 자세한 역사에 대해서는 [[부평구/역사]] 문서를 참조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 문화재 === * 유형문화재: 부평도호부관아, 부평향교 * 문화재자료: 욕은지, 어사대 * 유적지, 기념물: 계양산성, 계산동 은행나무, 영신군 이이묘, 이찰ㆍ이율 형제정려, 이선봉묘역 * 비지정 문화재: 자오당지, 오조산, 부평부사 전정비, 봉일사지 삼층석탑 === 인구 === || [[파일:계양구 CI.svg|width=50]]'''[[계양구|{{{#000 인천광역시 계양구}}}]] {{{#000 인구 추이}}}''' [br] {{{-3 (1995년~현재)}}} || || [[1995년]] [[3월 1일]] [[부평구|북구]] [[경인고속도로]] 이북 지역 → '''계양구''' 승격 분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d143 75.39%, #888 0%, #888 100% , #AAA 0%)" {{{#fff 1995년 263,84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d143 96.31%, #888 0%, #888 100% , #AAA 0%)" {{{#fff 2000년 337,07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d143 95.84%,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335,43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d143 99.37%,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347,81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d143 95.52%,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334,33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d143 84.79%,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296,75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d143 81.18%,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10월 282,158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ffffff 행정동별 인구 통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d143 96.351%, #888 0%, #888 100%, #AAA 0%)" {{{#fff 작전서운동 33,72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d143 92.677%, #888 0%, #888 100%, #AAA 0%)" {{{#fff 계양2동 32,43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d143 79.974%, #888 0%, #888 100%, #AAA 0%)" {{{#fff 효성2동 27,99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d143 76.757%, #888 0%, #888 100%, #AAA 0%)" {{{#fff 효성1동 26,86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d143 75.943%, #888 0%, #888 100%, #AAA 0%)" {{{#fff 작전1동 26,58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d143 70.06%, #888 0%, #888 100%, #AAA 0%)" {{{#fff 계양3동 24,52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d143 64.794%, #888 0%, #888 100%, #AAA 0%)" {{{#fff 계산4동 22,67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d143 56.5%, #888 0%, #888 100%, #AAA 0%)" {{{#fff 계양1동 19,77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d143 53.74%, #888 0%, #888 100%, #AAA 0%)" {{{#fff 작전2동 18,80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d143 52.706%, #888 0%, #888 100%, #AAA 0%)" {{{#fff 계산1동 18,44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d143 52.474%, #888 0%, #888 100%, #AAA 0%)" {{{#fff 계산3동 18,36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d143 43.383%, #888 0%, #888 100%, #AAA 0%)" {{{#fff 계산2동 15,184명}}}}}} || || {{{-2 2023년 5월 기준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o.kr|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 }}}}}}}}} || 이웃동네 [[부평구]]와 마찬가지로 2010년 이후로는 지속적으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부평구와 마찬가지로 [[재개발]] 사업이 부진[* 그나마 [[효성동|효성2동]]과 [[박촌역]] 일대만 진행중이다.]하여 계양구 인구 상승에 한계가 왔으며, 빈집도 늘어나고 있다. 다만 현재 [[계양신도시]] 사업을 추진하고 있어 부평구와는 달리 인구가 오를 가능성이 있다.[* 부평구는 개발 가능한 땅이 거의 없을 뿐더러 그나마 남은 일신동/구산동은 군사시설과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의 존재로 개발이 어렵기 때문이다.] == 지역 특성 == 현재 계양구 지역은 1990년 이전까지만 해도 계산동과 효성동 일부 등을 제외하고 대부분이 부평, 김포평야를 구성하는 논 위주와 도시 변두리에 위치한 중소규모 공장들만 있었기에 개발이 덜된 지역이었다. 그러던 것이 경인지역의 [[베드타운]](Bedtown)으로 기획되면서 90년대부터 기획된 계산택지 등의 개발이 이루어지면서 많은 택지지구들이 들어섰다. 그로 인해 대부분의 지역이 주거지구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으며, 공업지대나 경제금융지대, 주상복합지대가 많은 인천 시내 타 지역과는 조금 다른 편이다. 작전동 신라아파트(1981년)[* 현재 신라아파트는 재개발로 철거후 브라운스톤 계양 스카이로 재건축 완료 상황이다], 동방아파트(1979년)는 인천 내 [[아파트]] 중에서도 오래된 편에 속한다. 동방아파트는 상당히 특이한 외관을 자랑하는데, 맨앞은 2층만 그 옆은 4층 그 뒤부턴 다 5층이다. 79년도에 바로 입주한 분의 말에 따르면 뒤에 집에 조망권을 가린다는 이유로 이런 식으로 지어졌다고 한다. 단지가 작아서 사업성 부족이라 그런지 재건축 이야기가 나오지 않고 있다. 신기한 건 그렇게 오래됐는데 관리가 잘 된 것인지 신라아파트나 80년대 지어진 아파트보다 멀쩡하다. 그래서 재건축 얘기가 안나오는걸지도 모른다. 아무튼, 그 외에 [[인천 도시철도]]가 지나가는 작전동과 계산동 주변에는 20년이 넘었거나 20년 가까이 된 [[아파트]]들이 많다. 이 [[아파트]]들을짓던 시기에는 뜬금없이 원자재값 폭등[[크리]]가 터져서 부실공사가 꽤 있었던 시기이다. 재개발을 시작한다면 동시다발적으로 진행이 될 것으로 추정되며, 부동산 [[헬게이트]]가 열릴 가능성이 다분하다. 그러나 2010년대 시점에서 재개발 사업은 지지부진한 편이다. [[2014 인천 아시안 게임]]을 위해 [[계양체육관]]이 건설되었고, [[작전역]] 일대에 광역복합환승센터를 건설할 예정인 등 여러모로 계양구에서도 조금씩이나마 꾸준히 개발이 이어지고 있다. 용종동의 오조산공원 맞은 편 부지에는 버스 터미널을 지으려고 했으나 주변 주민들의 반대로 백지화 되었다. 이후 터미널 부지에 인천 계양 코아루 센트럴파크라는 아파트와 해당 상가에 [[OBS]] 본사가 들어설 예정이었는데, 계양 코아루 센트럴파크 아파트는 2017년 6월에 준공되어 입주까지 완료하였지만, OBS는 예산 문제로 계속 미뤄지며 무산될 뻔 했다가 2021년 4월이 되어서야 OBS가 재입찰에 성공해서 사용 계약을 맺었다. 방송시설 제반 공사를 마친 후 경기도 부천에서 인천 계양구로 2023년 하반기 입주 예정이다.[* 그래서 해당 건물을 가보면 본사 이전 확정이라고 현수막을 아주 크게 붙여놓았다.]한편 서운동에는 서운국가산업단지를 조성 중이며, 2013년 9월 11일부터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의 계양IC에 화물공영차고지를 준공해 같은 달 23일부터 운영하기 시작했다. 한편, [[CGV 계양]] 길 건너 부지에 2008년 [[마블 코믹스]]와의 연계 사업인 실내 테마파크 마블시티가 들어설 예정이었지만, 공사 중 시공사의 부도로 인해 결국 2010년 지상 1층에서 공사가 중단되어 [[흑역사]]화 되었다. 현재는 그저 모든 작업이 중단된 건설 부지 주변에 흉물스럽게 철 담장만 둘러쳐진 상태. 2013년 중후반부부터 2014년 들어 현장의 시공사가 교체되었으나 공사는 여전히 중단 상태이며 2023년 현재까지 공사는 재개되지 않고 있다.[* 현재 용도를 변경해 흥진제이월드 계양문화복합시설을 건설한다고 밝혔지만, 아직까지도 전혀 진전되지 않았다. 안보이게 가려놨기에, 정 보고싶다면 맞은 편 CGV 건물에 들어가면 아주 잘 보인다.] 이마트 계양점 옆 부지에 메디플렉스세종병원이 2017년 3월 2일자로 문을 열었다. 2018년 9월 21일, [[문재인 정부]]가 9·21 주택 공급 대책에서 언급한 [[3기 신도시]] 계획에 포함되었다.기존 서운국가산단과 연동된 계양 테크노밸리 계획에 신도시를 포함시킨 것. 이로써 계양구에서는 1990년대 계산택지지구에 이어 대략 근 30년만에 신도시 계획이 확정되었다.[* 계양구에서 농사를 짓는 사람들이 계양지구를 반대하고 있다. ] == [[계양구/교통|교통]]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계양구/교통)] [[인천 도시철도 1호선|여러]] [[인천국제공항철도|철도 노선]]과 [[경인고속도로|고속]][[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도로]]로 인천 시내는 물론이고 서울로의 접근성이 아주 우수하다. 공항철도나 광역버스를 이용하여 서울 도심 지역까지 손쉽게 진입할 수 있으며, 나아가 바로 밑의 부평구에서 [[수도권 전철 7호선]]으로 환승해 강남까지도 쉽게 진입 가능하다. === [[경인아라뱃길]] === [[경인아라뱃길]]로 인해 장기동 일대와 나머지 계양구 일대가 나누어져 버렸다. 단순히 [[운하]]만 팠으면 상관이 없는데 이 운하로 인해 [[경인아라뱃길]] 이남에서 장기동으로 이어지는 도로 사정이 개판이 되어버렸다. [[김포섬]] 항목 참고. 한편 [[경인 아라뱃길]]을 빌미로 한때 [[강화군]]-[[김포시]]-[[서구(인천광역시)|인천 서구]] 북부(검단)-계양구 북부([[계양동(계양구)|계양1]], [[계양동(계양구)|3동]])의 통합이 추진되기도 했다. 하지만 [[인천광역시]]는 [[행정구역 개편/수도권/인천확장론#s-3.2|김포시가 인천에 들어오는]] 조건이 아니면 불가능하다는 입장이었고, [[강화군]]과 [[김포시]]의 시골 이미지를 경계했던 계양1동 주민들도 '''깡촌취급 받기 싫다!'''며 격렬하게 반발하여 무산되었다. == 상권 == 계양구의 번화가라고 할 수 있는 지역이 개발과 어느 정도 맞물려 있다. 1990년대 이전부터 개발되어 있던 [[작전역]] 주변 역세권, 1990년대 이후로 개발된 [[계산역]] 주변 역세권, 그리고 2000년대 계양구청 주변 상권(계산택지)[* 1990년대 계산택지가 개발되기 전에는 논밭이었다. 이 지역 일대가 [[https://news.v.daum.net/v/19930511165900431?f=o|인천계산택지개발지구사업]]으로 조성된 지역이라 줄여서 계산택지로 부르는데, 아파트 단지뿐만 아니라 술집들이 밀집해 있는 구청쪽 번화가를 지칭하는 의미로도 많이 쓰인다.] 등을 꼽을 수 있다. 계양구청 주변은 대학병원을 비롯하여 각종 상업지구를 조성하여 제대로 번화가로 꾸며볼 예정이었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IMF 때문에 대부분 계획이 취소되었다. 그래도 영화관과 대형마트는 예정대로 건설 되었다. 현재 구 내에 [[홈플러스 계산점|홈플러스]] [[홈플러스 작전점|두 곳]], [[이마트 계양점|이마트]] 한 곳, [[롯데마트 계양점|롯데마트]] 한 곳이 있으며 그 외에도 여러 중소형 할인마트들이 정말 많다. 메트로몰의 경우에는 다른 지역처럼 백화점 형태의 거대한 복합 몰과 함께 들어설 예정이었으나 한때 [[CGV 계양]]을 제외한 모든 매장이 철수하는 대위기를 맞았다. 이름을 몇 차례 바꾸는 등 살아나는 듯 했으나 결국 CGV 계양을 제외하고 모두 폐업했다. 그 밖에 계양구청부터 [[CGV 계양]]까지의 구역을 2014년의 [[아시안 게임]]을 위해 번화가로 꾸미고자 하고 있지만 그 중 절반이 [[모텔]]이다. 그래도 나름 계양구 내에선 번화가로서 자리잡은 편이다. 근데 사실 길게 이야기할 필요 없이 [[계양구청]]과 [[CGV 계양]] 일대, 그리고 [[지하철]] 역 주변의 소소한 번화가 외에는 이렇다 할 큰 번화가는 없다. [[계양구/교통]], [[인천광역시/상권]] 문서에서 설명하고 있지만 '''[[부평구|부평]]이나 [[서울]]으로의 접근성이 너무 좋아서''' 그렇다.[* 긴말 안해도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에다 [[경인고속도로]], 또 [[인천 지하철]]에다 [[인천국제공항철도]]까지. 멀리 갈 필요도 없이 부평 가는데 10분, [[홍대거리|홍대]] 가는데 30분도 안걸린다.] === 금융 === ||<-4> '''{{{#ffffff 인천 계양구에 위치한 금융기관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 ||<-4> '''{{{#1d1e23 제1금융권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 ||<-4> '''{{{#1d1e23 국가기관 }}}''' || ||<-4> [[우정사업본부|{{{#ffffff '''인천계양우체국 (5)'''}}}]] || ||<-4> '''{{{#1d1e23 국책은행 }}}''' || ||<-4> [[기업은행|{{{#ffffff '''중소기업은행 (4)'''}}}]] || ||<-4> '''{{{#1d1e23 특수은행 }}}''' || ||<-2> [[수협은행|{{{#ffffff '''수협은행 (1)'''}}}]] ||<-2> [[농협은행|{{{#ffffff '''농협은행 (3)'''}}}]] || ||<-4> '''{{{#1d1e23 시중은행 }}}''' || ||<-2> [[신한은행|{{{#ffffff '''신한은행 (2)'''}}}]] ||<-2> [[우리은행|{{{#ffffff '''우리은행 (2)'''}}}]] || ||<-2> [[하나은행|{{{#ffffff '''하나은행 (1)'''}}}]] ||<-2> [[KB국민은행|{{{#ffffff '''국민은행 (5)'''}}}]] || ||<-4> '''{{{#ffffff 제2금융권(상호금융)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 ||<-4> '''{{{#ffffff 농업협동조합 }}}''' || ||<-2> [[농협|{{{#fcaf16 '''계양농협 (6)'''}}}]] ||<-2> [[농협|{{{#fcaf16 '''부평농협 (2)'''}}}]] || ||<-2> [[농협|{{{#fcaf16 '''인천원예농협 (1)'''}}}]] ||<-2> [[농협|{{{#fcaf16 '''인천축산농협 (1)'''}}}]] || ||<-4> '''{{{#ffffff 새마을금고 }}}''' || || [[새마을금고|{{{#afeeee '''계양새마을금고 '''}}}]] || [[새마을금고|{{{#afeeee '''계산새마을금고 '''}}}]] || [[새마을금고|{{{#afeeee '''북인천새마을금고 '''}}}]] || [[새마을금고|{{{#afeeee '''효성새마을금고 '''}}}]] || ||<-5> '''{{{#ffffff 신용협동조합 }}}''' [[신협|{{{#ffa500 }}}]] || ||<-2> [[신협|{{{#ffa500 '''계양신용협동조합 '''}}}]] ||<-2> [[신협|{{{#ffa500 '''계산신용협동조합'''}}}]] || == 생활문화 == === [[계양구/교육|교육]]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계양구/교육)] 택지 개발로 인해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했고, 이는 주변 인프라, 특히 학교 부족 문제를 불러왔다. [[1995년]] 당시 계양구의 중심지라 할 수 있는 계산동에 위치한 인천안남[[초등학교]](당시 안남국민학교)의 경우에는 총 108학급, 특히 1학년과 2학년은 무려 '''21반'''까지 존재했다.[* '''1-1반 문패 아래 1-17반 문패'''가 붙어있는 괴랄함, 본 사람만 안다. 이는 당시 대부분의 수도권의 국민학교에서 공통적으로 벌어진 현상이었다. 1950년대 말 베이비붐세대가 70년대 후반부터 80년대에 자녀를 출산하게 되었는데, 이 때 태어난 학생들이 입학하게 되면서 갑작스럽게 교실이 부족하게 된 것. 계양구 지역에서는 '''2002년'''까지도 계속되었다.] 오전/오후반 분반으로도 답이 안 나와서 일부는 '''옆 안남중학교의 빈 교실'''까지 빌려쓸 지경이었다. 때문에 신관을 증설하면서 교무실과 화장실을 빼면 모두 교실로 채워넣었을 정도. 현재는 다른 학교가 신설되고 학령인구가 줄어들면서 [[학생]] 수가 감소하여 한 학년에 80명 남짓한 상태이다. 남아도는 신관은 [[유치원]]이 되어버렸다.안남초 뿐만이 아닌 다른 학교도 계속해서 신입생 수가 줄어가고 있다. [[계양신도시]] 개발이 마지막 희망일 듯 하다. 사교육에 대해 첨언하자면 대규모 학원가는 없고 그나마 학원가라고 부를 만 한 계산택지 지역에는 pc방, 술집, 클럽과 중소규모 학원이 공존하는 엄청나게 기괴한 모습을 보인다. 규모 있는 학원은 한 손에 꼽을 수 있을 정도이고, 그마저도 포화상태이다. 그나마 나은편인 계산택지가 이 정도로, 다른 지역은 더 심하다. 양질의 사교육을 원하는 학생들은 상동 학원가를 이용한다. === 문화시설 === 대체로 [[공원]] 시설이 잘 되어 있다. 길을 갈 때 발에 채이는 게 [[공원]]이며 관리도 잘 되고 있는 편. 서운동의 [[서운체육공원]] 옆에는 [[2014 인천 아시안 게임]]의 경기장으로 쓰였던 [[계양경기장]]이 건설되어 있으며, 또한 그 주변으로 여러 공원과 캠핑장을 '''또''' 건설 중이다. 게다가 [[계양산]]도 공원 시설들을 대대적으로 손을 보고 있다. 단, 계산택지 한정으로 나머지 지역은 공원이 별로 없다. [[계양산]]은 인천 본토[* 인천광역시 전체에서 가장 높은 산은 [[강화군]]의 [[마니산]].]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몇 안되는 녹지 가운데 하나이고, 약 2시간 정도면 정상까지 갔다가 올 수 있기에 가벼운 운동코스로 인기가 높다. 얼마 전 주부토로를 따라 계양산으로 가는 길도 정비했다. 그리고 나름대로 계곡이라 부를 만한 곳까지 있는 곳이다. 그런데 여기다 [[롯데그룹]]이 골프장을 짓겠다고 해서 몇 년째 박터지게 싸우고 있었다가 지방선거 결과로 인해 다시 역전되었다. 조례로 막는단다.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449112.html|#관련기사]] 그리고 [[롯데그룹|롯데]]가 골프장 개발을 위해 계양산 부지에 사는 [[도롱뇽]]들을 긁어모아 삽으로 찍어죽이는 학살을 저질렀다. 과거 농수로 역할을 하던 서부간선수로가 존재하는데, 당초 신도시 개발 계획에 의하면 복개하고 개발될 예정이었다. 다만 IMF 크리가 터지고 신도시 계획이 다른 지역으로 옮겨가면서 [[흑역사]]. 지금도 간간히 복개하고 개발하자는 떡밥이 던져지지만, [[물]]이 좀 더럽긴 해도 인천에서 몇 안되는 [[물]]이 흐르는 지역인데 차라리 [[자연]]을 복원하고 휴식터로 개발하자는 주장과 대립하였다. 현재는 계산택지지구 주변 한정으로 흙을 파 내고 옆에 바위로 꾸미고, 벚나무를 심는 등 여러모로 산책로, 자연 휴식 공간 등으로 가꾸고 있다. 마찬가지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주변에 있는 과거 부평평야의 흔적이 남아있어서 [[논]]이 다수 존재하지만, 남은 논도 인천권역에 속하는 지역은 일단 개발 예정이다. 참고로 '''이 이야기가 나온 지는 10년도 더 됐다.''' 이렇게 이대로 [[흑역사]]가 되나 했지만 [[2014년]] [[2014 인천 아시안 게임|인천 아시안게임]]과 맞물려 몇몇 아시안게임 경기장과 함께 공원화가 되는것으로 확정되었다. 또한 서운초 인근의 농지에 아파트 단지가 개발되는 등 조금이나마 농촌 지역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매년 10월 5일을 전후로 항상 계양구민의 날 행사와 함께 축제를 여는데 지방행사 치고는 스케일이 꽤나 크다. 그래서 앞에서 초대가수의 공연을 보려면 항상 일찍 가야 한다. 초대가수도 오는데 보통 앞에는 트로트 가수들이 많이 공연을 하며 거의 후반부에 유명가수 1~2명 정도가 나온다. 2013년에는 [[허각]]하고 [[에이핑크]], 2014년에는 [[오렌지캬라멜]], 2015년에는 초대가수로 [[EXID]]가 왔으며 2016년에는 초대가수로 [[거미(가수)]]와 걸그룹 [[여자친구(아이돌)|여자친구]], 2017년에는 [[장윤정]]과 [[마마무]], 2018년에는 [[다비치]]와 [[오마이걸]]이 왔다. [* 마침 이때 활동하게 될 노래가 [[Remember Me(오마이걸)|불꽃놀이]]인지라 [[https://twitter.com/F_Rank_Life/status/1036238637619240961|노렸다는 말까지]] 나오기도 했다.] 2019년에는 [[김연자]], [[노라조]], '''[[(여자)아이들]], [[오마이걸]]'''[* 이 두 그룹은 [[컴백전쟁: 퀸덤|퀸덤]] 촬영 중 제일 처음으로 방송 외부에서 만나는 스케쥴이 될 예정이였다.]이 올 예정이였지만, 당시 [[2019년 동아시아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ASF 확산]]의 영향으로 취소되었고 2020년 이후로는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대규모로 열진 않고 간소하게 치루다 실외 마스크 제한이 해제된 [[https://www.gyeyang.go.kr/open_content/main/bbs/bbsMsgDetail.do?bcd=board_4&msg_seq=13353|2022년에 다시 정상화]] 되어 [[장민호]], [[로시]], [[STAYC]], [[김필]]이 출연했고, 2023년에는 [[이찬원]], [[송가인]], [[트라이비]]가 출연했다.[* 이 중 [[허각]]과, [[예린|여자친구 중 한 멤버]], [[현빈(트라이비)|트라이비 중 한 멤버]], [[로시]]는 이 곳 출신이기도 하다.] 축제의 백미는 [[불꽃놀이]]인데, 쏘아올리는 규모가 꽤 커서 서울에서도 관측할 수 있을 정도다. === 치안 === [[인천계양경찰서]] 한 곳이 계양구 전체의 치안을 담당하고 있다. 2000년에 [[인천 계양구 놀이터 살인 사건]], 2003년에 [[인천 작전동 이발소 여주인 살인사건]], 2008년에 [[인천 병방동 60대 여성 엽기 살해사건]] 등의 [[미제 사건]]이 발생한 곳이지만, 치안은 현재 좋은 편이다. [[https://mois.go.kr/pdf/safety-grade(table%2C%202015-2018).pdf|행정안전부의 최근 4년간 지역안전지수]]에 따르면, 가장 최근인 2018년에 범죄 분야에서 2등급을 받았고, 1등급도 받은 적이 있어서 인천에서 [[연수구]][* [[인천광역시]]에서 유일하게 1등급을 받았다.], [[서구(인천광역시)|서구]][* 계양구와 같이 2등급을 받았다.]와 함께 치안이 좋은 편에 속한다. 단, 번화가 쪽은 치안을 장담할 수 없다. [[인천 편의점 강도살인 사건]]이 일어났었다 === 의료기관 === [[한림병원]](414병상), [[인천세종병원]](304병상)이 계양구에서 가장 큰 종합병원으로 의료기관은 충분한 편이다.[* 근데 두 건물이 매우 가까운 위치에 있다.] 그 외 자잘한 병원들이 있으며, 상위 기능은 국제성모병원, 길병원이나 인천성모병원에 의존한다. == [[계양구/정치|정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계양구/정치)] == 하위 행정구역 == || [[파일:계양행정.jpg|width=100%]] || [[파일:계양법정.jpg|width=100%]] || || 계양구의 '''행정동''' || 계양구의 '''법정동''' || [[계양동(계양구)|계양1·2·3동]]은 구 [[부천시|부천군]](1914~1973)→[[김포시|김포군]](1973~1989) 계양면, 나머지는 구 부천군 부내면(1914~1940)에 해당된다. === [[효성동|효성1동, 효성2동]] - 甲 === 관할 법정동은 효성동이다. [[천마산#s-1.3]]의 남쪽 자락에 위치해 있다. 대략 효서로 북쪽이 1동, 남쪽이 2동이다. 아파트와 주택이 곳곳에 위치한 주거지구이다. * '''효성1동''': 인구는 '''26,803명'''.[*P 2023년 6월 주민등록인구통계] 안남로 동쪽으로 [[e편한세상 계양 더 프리미어]](1,646세대) 등 아파트단지가 많이 있다. 서쪽에 공장지대가 있는데, 택지개발이 추진 중지만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재개발안이 가결되긴 했다.[[http://news.donga.com/3/all/20140123/60371943/1|기사]] 경인교대부설초, 명현초, 효성남초, 효성동초, [[명현중]], [[인천효성중학교|인천효성중]], [[인천효성고등학교|인천효성고]]가 있다. * '''효성2동''': 인구는 '''27,928명'''.[*P] [[경인고속도로]]와 면한 지역은 공장지대이고, 그 주변으로 주거지역이 얇고 길게 펼쳐져 있다. 서쪽 끝에 육군 사격훈련장이 있다. 효성서초, [[북인천여자중학교|북인천여중]]이 있다. === [[계산동(계양구)|계산1동, 계산2동, 계산3동, 계산4동]] - 乙 === 관할 법정동은 계산동이며, 계산4동은 추가로 법정동 용종동(일부)을 관할한다. [[경인선]] 개통으로 부평의 중심지가 현 [[부평역]] 인근으로 이동하기 전까지 역사적인 [[부평]]의 중심지였다. 1동과 2동은 북쪽의 [[계양산]]과 서쪽의 [[천마산#s-4]] 자락에 위치해 있다. 3동과 4동은 계양구의 중심부에 위치해 있다. * '''계산1동''': 인구는 '''18,372명'''.[*P] [[경인교대입구역]] 주변이라고 보면 된다. [[경인교육대학교]] 인천캠퍼스, 인천시교통연수원, 계산시장이 있다. 학교로는 부평초, 해서초, [[북인천중학교|북인천중]]이 있다. * '''계산2동''': 인구는 '''15,148명'''.[*P] 경명대로 이북에 해당한다. 주요 시설로 극동아파트(629세대), 계산체육공원, 계산도서관, [[경인여자대학교]]가 있다. 학교는 안산초, 계산초, [[계산고]]가 있다. * '''계산3동''': 인구는 '''18,328명'''.[*P] 주부토로와 장제로 사이에 낀 주거지역으로 현대아파트(1,248세대), 계산주공아파트(1,140세대), 하나아파트(998세대), 팬더아파트1~2차(504세대) 등 대부분 아파트단지 위주이다. 학교는 안남초, 부현초, [[계산여자중학교|계산여중]], [[인천안남중학교|인천안남중]]이 있다. * '''계산4동''': 인구는 '''22,658명'''.[*P] 계산택지지구의 일부인 용종마을, 초정마을(용종동 소재), 은행마을이 해당된다. [[계양구청]], 계양우체국, 계양구보건소, [[계양소방서]], [[인천계양경찰서]], [[중부지방고용노동청 인천북부지청]], [[롯데마트 계양점]], [[홈플러스 계산점]]이 있는 계양구의 중심이다. 길주초, 부현동초, 신대초, [[계산중]], [[계산공고]], [[계산여고]], [[계양고]]가 있다. === [[작전동|작전1동, 작전2동, 작전서운동]] - 甲 === 관할 법정동은 작전동이며, 작전서운동은 추가로 법정동 [[서운동(계양구)|서운동]]도 관할한다. * '''작전1동''': 인구는 '''26,557명'''.[*P] 아파트와 오피스텔, 저층 빌라가 혼재된 주거지역. 작전초, 화전초, [[작전중학교|작전중]], [[안남고]], [[작전고]], [[작전여고]]가 있는데, 지도를 보면 3개 중/고등학교와 된밭근린공원이 다이아몬드 형태를 이루고 있다. * '''작전2동''': 인구는 '''18,727명'''.[*P] [[계양대로]]가 동 중앙을 관통하며, 남쪽 [[부평IC]]부터 북쪽 [[경인교대입구역]] 근처까지가 모두 작전2동에 해당되는 동네이다. 계양구의회가 북쪽 끝에 있다. [[홈플러스 작전점]]이 있다. [[인천 버스 7700]]이 개통되고 청라국제도시가 개발된 후 이 지역에 위치한 [[작전역]]이 환승 거점이 되었다. 학교는 성지초 하나 뿐이다. * '''작전서운동''': 인구는 '''33,679명'''[*P]으로 계양구 행정동 중 인구가 가장 많다. 1998년에 작전3동과 서운동이 통합되었다. 작전동 지역은 서부간선수로[* 계양구민 사이에서 굴포천이라 하면 이 하천을 뜻하기도 한다.] 서쪽이자 도두리로, 장제로와 맞닿은 지역으로 메트로몰([[CGV 계양]]점 입점), [[인천세종병원]], [[한림병원]], [[이마트 계양점]], 작전도서관, 계산택지의 일부분인 도두리마을, 까치마을이 있다. 서운동 지역은 서부간선수로[* 서부간선수로는 한강에서 빠져나온 물을 인근 농업지역에 농업용수로 공급하는 농수로이다. 농수로 주변을 따라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으며 현재는 [[비(날씨)|비]]가 오지 않으면 물이 흐르지 않는다. 겨울엔 꽁꽁 얼어붙기도 해서 스케이트를 즐기는 사람도 있는데 꽁꽁 언 줄 알았던 얼음이 가끔씩 살얼음인 경우가 있다.] 동쪽에 해당하며 북쪽으로는 계산천, 동쪽으로는 굴포천과 접한다. [[2014 인천 아시안 게임]]에서 [[2014 인천 아시안 게임/사이클(트랙)|사이클(트랙)]], 배드민턴, 양궁 경기장으로 사용된 인천국제벨로드롬, [[계양체육관]], 계양아시아드양궁장이 있다. 추가로 대부분이 빌라로 구성된 살라리택지가 있고, 서운고 위로 아파트가 건설되었다. 학교는 서운초, 작동초, [[서운중학교(인천)|서운중]], [[인천계수중학교|인천계수중]], [[서운고]]가 있다. === [[계양동(계양구)|계양1동, 계양2동, 계양3동]] - 乙 === 옛 계양면에 해당되는 지역으로 구명의 기원이 된 동이기도 하다. 1989년 김포군에서 인천직할시 북구로 편입되었다. * '''계양1동''': 관할 법정동은 갈현동·귤현동(일부)·노오지동·다남동·둑실동·목상동·박촌동·선주지동·오류동·이화동·장기동이다. 인구는 '''19,725명.'''[*P] [[부천시|부천군]](1914~1973)→[[김포시|김포군]](1973~1989) 시절 계양면 소재지였던 곳이다. 계양구에서 가장 면적이 넓고 가장 개발이 덜된 지역으로 [[경인 아라뱃길]]이 동의 가운데를 지난다. 이 때문에 계양구는 [[경인 아라뱃길]]로 인해 갈라져 버린 [[기초자치단체]] 3곳 중 하나가 되었다.[* 나머지는 [[서구(인천광역시)]], [[김포시]].] 철도의 혜택을 받는 지역은 [[박촌역]]이 있는 박촌동, [[귤현역]]과 [[계양역]]이 있는 귤현동 뿐이다. 두 곳 모두 역 주변이나 근처에만 아파트와 단독주택이 있다. 장기동(행정복지센터, 황어장터 3.1만세운동기념관 위치)에도 아파트단지가 있긴 하지만 나머지는 전부 허허벌판이다. 행정복지센터가 장기동에 있는 덕분에 최남단 박촌동에서는 주민센터 방문이 까다롭다. 계양초, 소양초, [[계양중학교|계양중]]이 있다. * '''계양2동''': 관할 법정동은 방축동·병방동·용종동(일부)·임학동이다. 인구는 '''32,648명.'''[*P] 90년대 초반~중후반쯤 계산택지개발사업과 같이 조성되어 시가지 자체가 계산동과 붙어 있다. 임학동은 주택 위주의 주거지역이고 병방동에는 학마을아파트단지가 있다.[* 학마을 서해,영남,서원,한진] 방축동에는 인천 어린이과학관이 있다. 계양2동에서 관할하는 용종동에는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계양IC]][* 정확히는 용종동에 한 쪽 절반, 병방동에 다른 쪽 절반이 걸쳐 있다.]가 위치해 있으며, 그 외에는 논밭이다. [[임학역]]이 동 내부를 지나간다. 학교는 병방초, 양촌초, [[인천양촌중학교|인천양촌중]], 인천예일중, [[임학중학교|임학중]], [[인천세원고]], [[인천예일고]]가 있다. * '''계양3동''': 관할 법정동은 귤현동(일부)·동양동·상야동·평동·하야동이다. 인구는 '''24,487명.'''[*P] 동양지구와 귤현지구의 아파트 건설 및 입주로 인하여 인구수가 증가하였고, 그 결과 2015년 4월 1일부로 계양1동에서 계양3동으로 신설, 분리하게 되었다. 시가지는 동양동과 귤현동에 조그만하게 형성되어 있는데, 귤현동에는 [[계양 센트레빌]] 1~3단지(1,425세대), [[귤현차량사업소]], 귤현초가 있고 동양동에는 동양주공아파트 1~2단지(1,298세대), 당산초, [[인천동양중]]이 있으며 계양테크노밸리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하야동은 인천광역시의 최동단이다. 상야동에는 인천 자치구 내 단 둘뿐인 분교인 계양초 상야분교가 있다. == 기타 == [[인천광역시]]의 [[자치구]] 중에 유일하게 [[서울특별시]]와 접한다. 이는 [[서울특별시]]가 [[경기도]] 내에 있는 [[위요지]]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부천시|부천군]]→[[김포시|김포군]] 계양면이 인천에 편입되기 전까지 서울특별시는 경기도 안의 위요지였다. 비슷한 사례로 [[대구광역시]]가 있지만, [[인천광역시]]는 일부 지역(계양면)을 편입해와서 [[서울특별시]]와 접경하게 된 반면, [[대구광역시]]는 [[군(행정구역)/대한민국|군]] 단위 지자체를 통째로 편입([[달성군]])하여 [[경상남도]]와 접경하게 되었다는 차이가 있다. [[네이버 웹툰]] [[뷰티풀 군바리]]에서 초반 [[육군훈련소]] 이후 주 무대이기도 하다. 드라마 [[도깨비(드라마)|도깨비]] 촬영장소가 된 곳이 많다. 2018년 12월 발표된 [[3기 신도시]]에 계양 테크노밸리가 포함되었다. 관할 전화국은 북구(현 부평구)시절 부평전화국(현 KT 부평지사) 관할이었다가 [[1989년]] [[11월]] 부평전화국 계산분국(현 KT 계양지사)이 개국과 동시에 해당 전화국 관할로 수용변경 및 국번도 90국대(현 500국대), 510국대~520국대에서 540국대~550국대로 수용변경되어 현재에 이르렀음에도 불구하고, 오류동 신동아아파트 단지와 장기동의 장기지구 일부, 귤현동 서부지역 등은 아이러니하게도 KT 부평지사가 재관할한다. 참고로 장기지구와 귤현동 서부지역에는 KT 부평지사 재관할 구역과 계양지사 관할 구역이 혼재되어있다. == 출신 / 관련 인물 == 출생지나 출신 학교의 소재가 계양구인 경우 기술한다. * 스포츠 선수 * 축구선수 [[김남일]] * 축구선수 [[김정우(축구인)|김정우]] * 축구선수 [[이천수]] * 축구선수 [[임은수(축구선수)|임은수]] * 야구선수 [[김동한(야구선수)|김동한]] - 원래 출생지는 이 곳이었으나 인근에 야구부가 없어서[* 옛 북구인 부평과 계양지역은 축구가 강세인 지역으로 초등학교에 야구부가 있는 학교가 거의 없었다. 야구부가 있는 초등학교는 [[중구(인천광역시)|중구]], [[동구(인천광역시)|동구]], [[미추홀구]] 등 원도심권에 많이 몰려 있다.] 서울 강서구로 전학가서 학창시절을 보냈다. * 가수 * [[보이그룹]] [[THE NEW SIX|TNX]]의 멤버 [[최태훈]] * [[보이그룹]] [[xikers]]의 멤버 [[진식(xikers)|진식]] * [[걸그룹]] [[걸스데이]]의 멤버이자 연기자인 [[방민아]] * [[걸그룹]] [[러블리즈]]의 멤버 [[서지수(1994)|서지수]] * [[걸그룹]] [[여자친구(아이돌)|여자친구]]의 멤버 [[예린]] * [[걸그룹]] [[드림노트]]의 멤버 [[보니(드림노트)|보니]], [[미소(드림노트)|미소]] * [[걸그룹]] [[트라이비]]의 멤버 [[현빈(트라이비)|현빈]] * [[걸그룹]] [[베스티]]의 전 멤버 [[다혜(베스티)|다혜]] * [[걸그룹]] [[프레셔스(아이돌)|프레셔스]]의 멤버 [[이수(프레셔스)|이수]] * [[걸그룹]] [[포미닛]]의 멤버이자 연기자인 [[남지현(1990)|손지현]] * 솔로가수 [[로시]] * 솔로가수 [[베이지(가수)|베이지]] * 솔로가수 [[허각]] * 배우 * 배우 [[김보라]] * 배우 [[박서준]] * 배우 [[이다윗]] * 배우 [[유승호]] - [[중학교]] 때까지 살다가 일산으로 이사. * 배우 그룹 [[5URPRISE]]의 멤버이자 연기자인 [[강태오]] * 배우 [[김수정(2004)]] - [[스타골든벨]]에서 "정답입니다"라는 멘트로 큰 인기를 끌었던 아역배우 * 배우 [[이은성]] * 코미디언 * 코미디언 [[이세영(코미디언)|이세영]] * 코미디언 [[김원훈|김원훈]] * 인터넷 방송인 * 유튜버 [[훼사원]] - 계산동에 한 공영주차장에서 영상 촬영을 하며, 원래 거주지는 [[안산시]]였으나 이 곳으로 이사왔다. * 유튜버 [[오킹]] * 스트리머 [[게렌(인터넷 방송인)|게렌]] * 인터넷 방송인 [[신태일(인터넷 방송인)|신태일]] * 유튜버 [[박승현(보디빌더)|박승현]] * 기타 * 인플루언서 [[유명성]] * 프로게이머 [[이운재(프로게이머)|이운재]] * 프로게이머 'Clozer' [[이주현(프로게이머)|이주현]] * 모델 [[고소현(모델)|고소현]] [[분류:계양구]]